• 제목/요약/키워드: 와건물지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31초

혼파초지에 방목한 유 산양(Saanen)의 건물섭취량, 증체량 및 방목지 소요면적 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ry Matter Intake, Body Weight Gain and Required Animal Unit of Grazing Dairy Goats (Saanen) in Mixture)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3-388
    • /
    • 2009
  • 본 연구는 혼파초지에서 유 산양을 방목 이용하였을 때의 건물섭취량, 증체량 및 두당 방목초지의 소요면적을 산출하고자 2007년 4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충남대학교 동물사육장내 혼파초지에서 수행하였다. 공시초지는 2006년 9월 21일 orchardgrass (40%) + tall fescue (20%) + perennial ryegrass (10%) + alfalfa (15%) + red clover (15%)를 ha당 30 kg 파종하여 경운초지로 조성한 혼파초지에서 수행하였다. 방목면적은 총 $5,000\;m^2$로 4목구(구당 평균 $1,250\;m^2$)의 윤환 방목으로 12회 방목하였다. 공시축은 Saanen종으로 13두(평균 31.1 kg)를 방목하였다. 방목기간 중 월 별로 조사한 혼파초지의 평균 조단백질 함량은 20.4%, NDF와 ADF 함량은 각각 65.3%와 31.1%이었으며, 건물소화율은 68.9%이었다. 두당 평균 건물섭취량은 1.253 kg 이었으며, 체중 당 3.01%을 섭취하였다. 방목기간 (184일)의 두당 평균 증체량은 17.4 kg이었고, 일당증체량은 98g이었다. 유 산양(체중 50 kg 기준)의 두당 방목초지의 소요면적은 $467.7\;m^2$로 산출되었는데 이를 Animal unit (AU/ha)로 환산하면 약 2.14 AU/ha에 해당하였다.

고온 및 저온에서 육묘된 파프리카 묘의 소질과 정식 후 초기 생육 반응 (Qualities and Early Growth Responses of Paprika Seedlings Grown in High and Low Temperatures)

  • 조윤희;김치선;김정만;구양규;김호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5호
    • /
    • pp.719-72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온 및 저온의 육묘 온도가 파프리카 묘의 소질 및 정식 후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육묘 온도는 다용되고 있는 $23^{\circ}C$를 대조구로 하여 고온을 $31^{\circ}C$, 저온을 $15^{\circ}C$로 처리하였다. 육묘 온도에 따라 자란 묘의 초장, 줄기직경, 생체중, 건물중, 엽수, 엽면적 등은 $15^{\circ}C$$31^{\circ}C$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그리고 그 묘들의 정식 4주 후 식물체 특성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 대비 $15^{\circ}C$$31^{\circ}C$ 처리구의 단위 시간 당 건물중 및 엽면적의 증가 속도는 육묘 기간보다 정식 후에 크게 높아졌다. 정식 후 4주 간 자란 $15^{\circ}C$$31^{\circ}C$ 처리구의 식물체의 작물생장속도와 엽면적지수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상대생장율과 순동화율은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15^{\circ}C$처리구의 정식 후 생장 속도 및 순동화율의 증가는 정식 후 정식 전에 비해 크게 높아진 광합성 능력에서 기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파프리카의 저온 및 고온 육묘온도는 묘 및 정식 후 식물체의 생육을 저하시켰다. 그리고 정식 후의 식물체의 회복 속도는 $31^{\circ}C$보다 $15^{\circ}C$에서 육묘된 묘에서 빨랐다.

건물주위의 가스 확산사고에 대한 CFD 난류 해석기법 검토 (Investigation of Turbulent Analysis Methods for CFD of Gas Dispersion Around a Building)

  • 고민욱;오창보;한용식;도규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42-50
    • /
    • 2015
  • 도심지역을 단순 모델링한 실규모 공간에서 누출된 프로판 확산과정에 대해 대와동모사(Large Eddy Simulation: LES), 분리와동모사(Detached Eddy Simulation: DES) 및 비정상 레이놀즈평균기법(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RANS)을 이용한 3가지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전산해석은 FLUENT 14를 이용하였고 격자계는 ICEM-CFD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그 결과 건물 주변의 프로판 농도분포는 주변 와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이러한 와구조를 합리적으로 예측하는 정도에 따라 농도분포가 크게 차이날 수 있음을 알았다. LES와 DES는 비교적 유사한 와구조와 프로판 농도분포를 보이지만 RANS는 너무 부드러운 농도분포를 보여 복잡한 비정상적인(Unstedy) 난류 유동장을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어 가스연료 누출 초기의 농도분포 전개과정을 예측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해석결과와 계산시간까지 고려한다면 DES 방법이 실규모에서의 가스연료 누출 확산과정에 대한 CFD 해석방법으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용기 양묘 시 폐암면 혼합 비율에 따른 몇 가지 수종의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Several Kinds of Trees According to Mixture Ratio of Used-Rockwool in Pot Nursery)

  • 김호철;차승훈;최정호;유성오;이수원;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2-145
    • /
    • 2007
  • 몇 수종을 대상으로 한 용기 양묘에서 폐암면 혼합 배지 이용 시 폐암면과 다른 배지의 혼합 비율에 따른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폐암면 혼합 비율에 따른 소나무의 생육 특성에서 생체중, 건물중 및 수고는 50% 와 70% 혼합배지에서 기장 좋았지만 원줄기 직경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비자나무에서 생체중과 수고는 70% 혼합배지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원줄기 직경과 신초수는 50% 와 70% 혼합배지에서 많이 증가하였다. 상수리나무에서 생체중, 수고 및 원줄기 직경은 50%와 70% 혼합배 지에서 좋았고, 건물중은 혼합배지와 대조구간 차이를 나타났으나 혼합 비율간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잎의 엽록소 함량도 70% 혼합배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광합성도 가장 활발하였다. 들메나무에서 생체 중은 70% 혼합배지에서 월등히 많이 증가하였지만, 수고와 원줄기 직경은 폐암면 혼합배지와 대조구 간 차이만 나타나고 혼합 비율간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잎의 엽록소 함량은 처리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혼합 배지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광합성은 70% 혼합배지에서 아주 활발하였다.

섬오갈피 부정근 배양 시 오옥신과 사이토키닌이 생장과 생리활성물질 생산에 미치는 영향 (Auxin and Cytokinin Affect Biomass and Bioactive Compound Production from Adventitious Roots of Eleutherococcus koreanum)

  • 이은정;김명기;백기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678-684
    • /
    • 2010
  • 섬오갈피 부정근의 생장과 생리활성물질 생산에 적합한 MS 배지 내 오옥신(IBA, NAA, IAA)과 사이토키닌(BA, kinetin, TDZ)의 종류와 농도를 구명하고자 250mL 삼각플라스크를 이용하여 5주간 액체 진탕 배양하였다. IBA $5mg{\cdot}L^{-1}$ 처리구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높았으며, 부정근 내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NAA나 IAA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오옥신과 사이토키닌의 혼용처리에 따른 부정근의 생장은 IBA $5mg{\cdot}L^{-1}$와 TDZ $0.1mg{\cdot}L^{-1}$와의 혼용 처리구가 IBA 단용 처리구에 비해 생체중과 건물중이 각각 1.4배와 1.6배 증가하여 가장 높은 생장량과 생리활성물질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BA와 kinetin과의 혼용 처리는 IBA 단용 처리와 비교해 부정근의 생장과 생리활성물질 생산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하여 MS 배지 내 오옥신과 사이토키닌을 IBA $5mg{\cdot}L^{-1}$와 TDZ $0.1mg{\cdot}L^{-1}$로 혼용 처리 할 경우 섬오갈피 부정근의 생장량과 생리활성물질 함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백제(百濟) 목탑지(木塔地) 편년(編年)과 축기부(軸基部) 축조기법(築造技法)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ronological Recordings and construction method of Wooden Pagoda Sites of Baekjae)

  • 조원창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4호
    • /
    • pp.65-82
    • /
    • 2008
  • The wooden pagoda sites which have been confirmed in Baekjae's former territory so far have flattened surface of the earth or foundation pert made by digging up the earth. In particular, the latter is found more often in the pagoda sites of Baekjae, which is essential and absolutely necessar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pagoda structure. The wooden pagoda sites with foundation part made by digging up the earth under the stylobate are found at Yongjeongli ruined temple site of Woongjin area, and at Neung-sa temple site, Wangheung-sa temple site, Geumgang-sa temple site, and Mireuk-sa temple site of Sabi period. They are also observed at Hwanglyong-sa nine-storied wooden pagoda of Shilla and at Biin five-storied stone pagoda of early Goryeo. They are important data improving that the construction technologies of Baekjae continued to be applied to build stone or wooden pagodas, transcending time and space. Recently, the site assumed as a wood pagoda site of Hanseong area was examined in Gyeongdang sect ion of Pungnap mud fortification. If this is proved to be a real wooden pagoda site, this digging-up construction technology of foundation part ann be concluded to be a traditional engineering technology of Baekjae which was frequently used from Hanseong period to Sabi period. On the other hand, this digging-up construction technology of foundation part has been found only at pagoda sites and main building sites of temple ruins, and it helps examine their symbolism.

  • PDF

스카이브릿지의 안전성확보를 위한 FPS 설계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f Structural Design Method of Friction Pendulum System for Fail Safe of a Sky-Bridge)

  • 김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502-3507
    • /
    • 2013
  • 스카이브릿지가 연결되는 건물에 강접합될 경우에는 비정형성이 크게 되어 지진하중에 매우 불리하게 거동할 수 있다. 따라서, 마찰진자베어링(FPS)이나 납고무베어링(LRB)와 같은 연결시스템을 사용하여 스카이브릿지와 구조물을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시스템은 큰 지진하중이 발생하였을 때 스카이브릿지가 연결된 건물에서 분리되어 낙교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직방향 인장력에대해서 저항성이 없는 마찰진자감쇠기를 이용한 연결시스템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검토해야할 사항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 시공된 누리꿈 스퀘어를 예제구조물로 선택하였고 예상되는 지진하중이 가해졌을 때 스카이브릿지 연결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응답을 분석하여 낙교를 방지할 수 있는 설계 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

친환경 계획요소가 초고층 복합주거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Element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of the High-Rise Residential Complex)

  • 황중만;이주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38-450
    • /
    • 2014
  • 주택유형의 변화와 친환경 주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계획요소의 정량적 검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초고층 복합주거의 경우 친환경계획요소에 대한 정리와 실제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고층 친환경계획요소를 단지, 건물내부, 설비 및 유지관리로 구분하여 실제 거주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거주만족도(만족도, 충성도, 선호도)와 친환경계획요소의 영향 관계를 PLS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단지 친환경 계획요소의 개선은 만족도를 충족시켜 실제 거주자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물내부의 친환경 계획요소의 증가는 실제 거주자의 만족도와 선호도를 모두 충족시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설비/유지관리의 친환경 계획요소는 실제 주민의 선호요인으로 도출되었으나 만족도에 대한 가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병원 종사자들의 실내자각증상에 관한 요인분석 (A Study on Indoor Subjective Symptoms of Workers at Dental Hospitals)

  • 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5-346
    • /
    • 2012
  • 본 연구는 치과진료실의 실내 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종사자의 실내자각증상과 관련성을 조사하여 치과위생사 개인의 발전과 건강 증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전국(서울, 경기, 대구, 포항)의 종합병원, 치과병원, 치과의원의 치과위생사 210명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 1일부터 2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 조사를 시행한 후 회수하여 응답이 불분명한 5명을 제외한 205명에 대해서 분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근무 중 휴식시간 유무별로는 근무 중 휴식시간이 없는 치과위생사가 67.3%로 높은 분포를 보였고, 건물 밖 외출 여부별로는 때때로가 54.6%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건물 밖 외출횟수별로는 1회 86.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근무기관의 계절별 자연환기 정도별로는 봄, 여름, 가을, 겨울 모두 1일 2회 이내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1일 4회 이내 19.0%, 기타 9.8%, 1일 10회 이내와 하루 종일 2.4% 순이었다. 실내자각증상 호소율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4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2.45로 나타났다. 먼저 영역별로는 평균이 '목증상'과 '눈증상'이 각각 2.54로 가장 높았으며, 문항 중에는 평균이 '눈이 잘 피로해진다'가 3.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무환경 특성에 따른 실내자각증상은 야간진료 여부별로는 야간진료를 하는 치과위생사가 그렇지 않은 치과위생사보다 실내자각증상이 낮았으며, 야간진료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07, p<.05). 실내자각증상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는 물리환경(r=.259, p<.001)과 직무요구(r=.311, p<.001), 관계갈등(r=.172, p<.05), 조직체계(r=.158, p<.05), 보상 부적절(r=.197, p<.01), 그리고 직무스트레스(r=.275,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철근콘크리트조 초고층건물의 3차원 시공단계 해석 및 시공중 변형 계측 (Three Dimensional Construction Stage Analysis and Deformation Monitoring of a Reinforced Concrete Highrise Building)

  • 정대계;유은종;하태훈;이성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573-58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시공중인 58층의 철근콘크리트조 고층건물에서 진동현식게이지를 통해 계측된 기둥의 축방향 변형률과 레이져 스캐닝을 통해 구한 횡변위를 3차원 시공단계해석에 의한 예측치와 비교하였다. 예측치는 ACI 209와 PCA의 재료모델식, PCA report의 축소량 산정알고리즘을 3차원 구조해석 프로그램으로 개발한 ASAP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비교결과 평면의 중앙부 기둥의 축방향 변형율 계측치는 시공단계 해석치와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각 모서리에 두 개씩 배치된 기둥의 경우 비교적 큰 오차를 나타내었다. 레이져 스캐닝에 의한 횡변위 계측결과는 해석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층당 계측치가 큰 변동을 나타내므로 향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계측 및 데이터 처리기법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