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옹방강(翁方綱)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옹방강(翁方綱)의 시경학(詩經學) - '한송겸채(漢宋兼采)'의 경향을 중심으로 - (Weng fang-gang(翁方綱)'s Studies on the Book of Odes - Focused on Adoption of research methods of hanxue(漢學) and songxue(宋學))

  • 양원석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385-405
    • /
    • 2018
  • 본 논문은 청대(淸代) 건가(乾嘉) 시기의 학자 옹방강(翁方綱)의 경학(經學) 가운데, 특히 시경학(詩經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주요 내용과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옹방강(翁方綱)은 한학(漢學)과 송학(宋學) 연구 방법의 장점을 동시에 채용한 경학 연구, 즉 '한송겸채(漢宋兼采)'의 경학 연구 방법론을 주장한 학자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송겸채(漢宋兼采)'의 경학 연구 방법론이 실제 그의 경학 연구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그의 시경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옹방강(翁方綱)은 "시경(詩經)" 연구에 있어서, 시서(詩序)를 존신하고 "모전(毛傳)"의 해석을 신뢰하였으며 고훈(古訓)을 중시하였고 의경(疑經)의 풍조를 반대하는 등 한학적(漢學的) 경향을 보이면서도, 또한 정현(鄭玄)과 공영달(孔穎達)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주희(朱熹)의 "시집전(詩集傳)"에 대해서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등 송학적(宋學的) 경향도 보이고 있었다. 즉 옹방강(翁方綱)은 "시경" 연구에 있어서 한학과 송학의 연구 방법을 적절히 채택하여 이를 운용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朝鲜秋史与清文人学术交流之小考 -以翁方纲與阮元为中心 (A Study of Korean Kim Jeonghui and Qing Dynasty Scholars Academic Exchanges -Focus on Weng Fanggang and Ruan Yuan-)

  • 최창원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1호
    • /
    • pp.157-164
    • /
    • 2020
  • After the Qing Dynasty overthrow of the Ming dynasty, this is far-reaching influenced on the Ming Dynasty's Sovereign state of the Joseon dynasty. Not only did regulations prohibit the entry into various books published by the Qing Dynasty, In addition, the "Northern Expedition" of Song Siyeo put forward the mainstream political proposal of the Northern Expedition and Qing Dynasty.Even in this context, Representatives of scholars such as Hong Daeyong, Bak Jega, Kim Jeonghui on the Joseon dynasty peninsula at the time, put forward the idea of "Learning from Central Plains" through several visits to Shuntian Prefecture (now Beijing), And gradually formed the well-known Silhak (Practical Learning) ideological of "Bukhak, (Northern Learning)" in the Joseon dynasty history. the Joseon dynasty Silhak ideological scholar of Kim Jeonghui also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Weng Fanggang and Ruan yuan other famous Qing Dynasty Textual scholar, Fruitful achievements in Chinese Classical Studies Epigraphy, Calligraphy.He founded the "Chusa-che" style of calligraphy Chusa, the "Chusa-che" styled is although born out of the clerical script, but more composition and See also asymmetrical in harmony, Strong and vigorous brush strokes, Every word vibrant, Make it a master of gold stone calligraphy in the Joseon Dynasty.This study based on some records of Kim Jeonghui's visited to Shuntian Prefecture(now Beijing), this article examines the academic activities of seeking truth to facts in Korea and the Qing Dynasty at the time, and the impact on these activities on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

추사(秋史) 서예술(書藝術)의 심미안(審美眼) 연구(硏究)- 특(特)히 문인화(文人畵) 정신성(精神性)을 중심(中心)으로 (The review of Aesthetic Eye for Chusa, Kim jeong hee's calligraphy arts- Especially, Focused on the spirituality of literati paintings)

  • 권윤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283-291
    • /
    • 2020
  • 추사는 우리 문화역사에서 진주와도 같다. 그의 불우했던 시대적인 환경이 그를 더욱 더 정진하게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그의 예술은 찬란한 꽃을 피울 수 있었다. 그는 명문가에서 태어나 성장하고, 20대 약관의 시기에 이미 청조 문화의 당대 거장인 옹방강·완원과의 만남을 통하여 자신의 학문적 세계를 넓게 확립할 수 있었다. 특히 그가 유배생활을 했던 적거지(謫居地)에서의 서예술활동은 추사체를 확립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세한도를 그림으로서 그의 문인 정신의 진수를 보여주었다. 수많은 서신을 통하여 그의 문화·예술·사상도 살펴볼 수 있다. 나아가 청대의 고증학을 바탕으로 실사구시의 사상과 철학도 살펴볼 수 있다. 본고는 추사의 문인예술에 대한 심미안(審美眼)을 세한도(歲寒圖)·불작난도(不作蘭圖) 등을 통하여 정신성 측면에서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이는 추사 예술의 본질이 되는 심미안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