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천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나라 온천의 온도 및 성분 특징 (Temperature and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Hot Spring Water in Korea)

  • 이철우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1.1-121.1
    • /
    • 2010
  • We analyzed the temperatur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376 hot springs in Korea. It took about three days for the temperature to stabilize after the pumping test. After the stabilization, in-situ and laboratory analyses of the hot spring water were carried out.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DS were $29.95^{\circ}C$ and 2,071mg/L,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ranging $25-30^{\circ}C$ were recorded from 70% of hot springs, and $30-35^{\circ}C$ of 15.4%. The maximum temperature was about $78^{\circ}C$. The value of TDS in 79% of the wells was below 1,000 mg/L. 5.5% of the wells, mostly developed near seashore, shows higher values than 10,000mg/L of TDS suggesting the influence of seawater. The hot spring water shows 8.49 of pH representing a weak alkali. For the mineral compositions dissolved in the hot spring in Korea, Na (431 mg/L) and Ca (188 mg/L) are the major cations, and Cl (840 mg/L) and $SO_4$ (213 mg/L) are the major anions.

  • PDF

부산시 동래 온천지역의 양수량, 온천수위, 강수량의 관련성 연구

  • 차용훈;함세영;정재열;장성;손건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455-458
    • /
    • 2004
  • This study uses time series analyses to evaluate fluctuation of water levels in a geothermal water well due to pumping, in relation to rainfall at Dongrae hot-spring site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tile Korean peninsula. The volume of water pumped from the public study wells ranges from 542 to 993 m$^3$/month, and the minimum water level ranged from 35 to 144.7 m during the measured period. Auto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withdrawal rate at the public wells, water levels and rainfall. The autocorrelation of the withdrawal rate shows distinct periodicity with 3 months of lag time, the autocorrelation of rainfall shows weak linearity and short memory with 1 months of lag time, and the autocorrelation of water levels shows weak linearity and short memory with 2 months of lag time. The cross-correlation between the pumping volume and the minimum water level shows a maximum value 1 at a delayed time of 34 months. The cross-correlation between rainfall and the minimum water level shows a maximum value of 0.39 at a delayed time of 32 months.

  • PDF

온천수 내 리튬 분포: 국내 심부 지하수환경의 리튬 지화학 연구 (Lithium Distribution in Thermal Groundwater: A Study on Li Geochemistry in South Korean Deep Groundwater Environment)

  • 서현수;이정환;박선주;오준섭;최재훈;이종태;윤성택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6호
    • /
    • pp.729-744
    • /
    • 2023
  • 전기 자동차 및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리튬의 가치가 크게 증가하였다. 리튬은 주로 페그마타이트, 열수변질을 받은 응회암질 퇴적 점토 및 대륙성 염수에서 발견된다. 전 세계적으로 지하수로 공급되는 염호와 유전 염수는 세계 리튬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대륙 염수의 주요 리튬 공급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심부 지하수, 특히 지열수도 리튬의 잠재적 공급원으로 연구되고 있다. 심부 지하수의 리튬 농도는 상당한 물-암석 반응과 염수와의 혼합을 통해 증가할 수 있다. 심부 지하수 중의 리튬 탐사를 위해서는 그 기원과 거동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인 규모에서 국내 온천지역 지열수의 수문지화학 특성과 진화에 관한 예비연구를 바탕으로, 심부 지하수 환경에서의 리튬의 분포를 평가하고 그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구화학적 요인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총 555개의 온천 지하수 시료 자료는 수화학적 특성에 따라 뚜렷한 지화학 진화 특성을 갖는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리튬의 부화 기작을 평가하기 위해 리튬 농도가 90번째 백분위수(0.94 mg/L)를 초과하는 시료(n = 56)에 대해 자세히 고찰하였다. 리튬의 농도는 수화학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Na(Ca)-Cl유형, Ca(Na)-SO4유형, pH가 낮은 Ca(Na)-HCO3 유형 순이었다. Ca(Na)-Cl 유형에서 리튬 부화는 해수침투에 따른 역이온 교환으로 발생한다. 백악기 화산퇴적 분지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Ca(Na)-SO4 유형 지하수에서 용존 리튬의 부화는 열수 변질 점토 광물의 산출 및 화산활동과 관련이 있는 반면, 낮은 pH의 Ca(Na)-HCO3 유형 지하수에서는 심부 CO2의 상승 혼입에 의한 기반암의 풍화 촉진으로 인해 리튬 부화가 일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본 광역 예비 지화학 연구 결과는 심부 지질환경에서의 수문지화학 진화에 대한 이해와 함께 향후 경제성 있는 리튬 탐사 지침과 관련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레지오넬라균 출현위해도에 대한 현행 온천수 수질기준의 적합성 분석 (Validation of Korean Water Quality Standards to Hot Springs for Agreement with Legionella-Incidence Risk)

  • 김진남;이소영;조영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9-266
    • /
    • 2015
  • 온난화, 고령화, 세계화로 인하여 변화하는 국내 보건환경에 현행 수질기준이 적합할 지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총대장균군 만으로 규정된 현행 온천수 수질기준의 타당성을 환경유래 내열성세균인 레지오넬라균 오염도를 검출로 평가하였다. 온천수에서 레지오넬라균을 검출한 7개의 논문에 보고된 미생물 자료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레지오넬라균의 검출 유무의 오즈비는 총대장균군과 유의한 상관도를 보였다[odds ratio (OR), 3.1 (1.5−6.4, 95% CI), p = 0.002]. 그러나, 레지오넬라균 오염을 분변성 중온균인 총대장균군 지표가 감지할 수 있다는 점은 단순히 설명되지 않기에, 그 기작을 검토하였다. 레지오넬라균의 검출 유무는 일반세균수와 더 높은 오즈비를 보였고[4.0(2.2−7.2), p < 0.001], 40°C 미만의 수온범위에서 수온과 강한 상관도[OR, 4.3(1.4−13.6), p = 0.011], 50°C 이상에서는 수온과 음의 상관도를 보였다[OR, 0.2 (0.1−0.4), p < 0.001]. 따라서, 수온에 의하여 세균의 현존량이 결정되는 현상 때문에 총대장균군수와 레지오넬라균 유무가 연관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르면, 총대장균군보다 일반세균수가 더 직접적으로 비분변성 병원체의 증감을 반응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일반세균수를 단일 수질관리 기준으로 사용하거나, 현행 기준에 일반세균수를 추가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문헌 기록에 나타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지질자원 조사활동 연구 (Study on Survey Activities for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Based on the Records of Ancient Literatures)

  • 원병호;이성록;김성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50권1호
    • /
    • pp.45-59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역사서 중 객관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는"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을 이용하여 지질자원과 관련된 역사 기록들을 발췌하고 당시의 국가적인 인식과 사회 상황을 파악하였다. 기록 발췌를 위해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이용하였고 키워드(화산, 채광, 온천, 운석) 검색을 통해 관련 기록들을 수집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화산과 운석과 같은 지질 현상을 실록에 기록할 만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국가의 관리들이 현장에 파견되어 현상을 조사하였다. 온천의 경우, 왕의 명령으로 온천 탐사를 진행하고 발견된 유망한 지역을 개발하는 현장에 관한 기록이 있다. 지질자원에 관련된 기록 중 채광에 관련한 기록이 가장 많은데, 발견된 광물의 종류와 지역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조선 후기의 채광 역사를 통해서 지질자원 개발의 자본주의적인 흐름과 개발을 위한 근대적인 조직 개설 등의 지질자원 발달사를 파악할 수 있다.

자외선으로 손상된 무모생쥐의 피부에 알칼리환원온천수의 침수치료효과 (The Effects of Balneotherapy in Alkaline Reduced Spring Water on Skin Injury Induced by UV Irradiation in Hairless Mice)

  • 윤양숙;김동희;김단;박미순;장병수;이지연;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1호
    • /
    • pp.21-29
    • /
    • 2011
  • 피부질환의 개선을 위한 수치료요법은 예로부터 세계 각지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알칼리환원온천수를 이용한 수치료요법이 손상된 피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무모생쥐(hairless mice)의 등 부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피부 손상을 인위적으로 유발한 후 매일 실온에서 40분간 침적시켜 21일간 수치료를 실시한 후 생쥐의 피부조직을 분리하여 검경하였다. 수치료를 하는 동안 실험군의 피부 회복속도가 대조군에 비해 더 빠른 경향으로 관찰되었다. 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표피층 비후 및 염증세포 침착 현상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으며, 비만세포의 증가 및 탈과립 현상 또한 적게 나타났다. 이는 온천수에 함유된 황성분의 박피효과 및 항균작용과 함께 온천수의 항산화능이 피부조직의 치유에 도움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극저준위 액체섬광계수기와 파형분석법을 이용한 지하수 및 온천수중 $^{222}Rn$의 신속측정법 (A Rapid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222}Rn$ in Groundwater and Hot Spring Water using Ultra Low-Level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and Pulse Shape Analysis)

  • 김창규;김철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03-115
    • /
    • 1995
  • 계측이 간단하며 화학적 분리가 필요 없는 액체섬광계수법을 이용하여 일부 지하수 및 온천수중 $^{222}Rn$의 최적 분석조건을 검토하였다. $^{222}Rn$의 분석을 위한 최적 파형분석(PSA) 준위는 Optiphase HiSafe3 형광체 (Cocktail)에서 110, 그리고 톨루엔계열 형광체 (Toluene-based cocktail)에서는 90이었다. $^{222}Rn$의 계측효율은 Optiphase HiSafe3 형광체를 이용한 경우 ${\alpha}$영역에서의 계수효율은 유리용기는 282.2%, 테프론용기에서는 271.6%였으며, 톨루엔계열 형광체를 이용한 경우에는 유리용기와 테프론 용기에서 각각 262.3%, 247,5%였다. Optiphase HiSafe3 형광체와 테프론용기를 사용하여 60분간 계측하는 경우 ${\alpha}$-선 피크영역에서 $^{222}Rn$의 검출하한치는 $0.30Bq/{\iota}$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검토한 분석법은 일부 지하수 및 온천수중 $^{222}Rn$의 분석에도 응용되었다.

  • PDF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도달시간의 신뢰성 평가 -온천천 유역을 대상으로- (Reliability evaluations of time of concentra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focusing on Oncheoncheon basin-)

  • 윤의혁;박종빈;이재혁;신현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1호
    • /
    • pp.71-80
    • /
    • 2018
  • 하천 관리에 있어 도달시간은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이다. 특히 사회적으로 다양한 하천 활용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친수공간으로써 하천에서의 정확한 도달시간 산정은 홍수시 주민 대피 시간 확보 등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과거 도달시간 산정에 대한 연구는 자연 하천의 복합 유역에서의 단일 수문사상에 대하여 연구가 수행되어왔으며, 도심하천의 단일유역을 대상으로 복합 수문 사상에 대한 도달시간 산정방법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 집중호우에 의하여 빈번한 침수 피해가 발생된 부산광역시 대표 도심하천인 온천천 유역에 대하여 과거 10년(2006~2015년) 동안의 강우-유출량 자료를 이용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였고, Matlab 기반의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12시간 이상 무강우를 기준으로 총 254개의 강우 사상을 분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총 강우량, 총 유출량, 첨두 강우량/총 강우량, 첨두 유출량/총 유출량, 지체시간, 도달시간 등 총 6개의 변수를 산정하여 인공신경망 모형의 훈련 및 검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훈련에 과 예측 및 검증에 활용된 입력 변수의 상관관계는 각 각 0.807 및 0.728로 나타났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심하천의 도달시간 산정결과의 신뢰성 분석에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WCA2D 모형을 이용한 부산 온천천 유역 고해상도 도시 침수 해석 (High-resolution Urban Flood Modeling using Cellular Automata-based WCA2D in the Oncheon-cheon Catchment in Busan, South Korea)

  • 최현진;이송희;우현아;노성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5호
    • /
    • pp.587-599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홍수의 빈도와 위험성이 증가함에 따라, 도시 침수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넓은 공간 영역에서 고해상도 2차원 침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 모의 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천수 방정식(shallow water equations)에 기반한 물리적 해석 방법은 고해상도 침수 예측을 위해 많은 컴퓨터 자원과 계산 시간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전환 규칙과 가중치 기반 시스템을 사용하여 침수의 시공간 변화를 모의하는 셀룰러 오토마타(cellular automata) 기반 2차원 침수 해석 모형 Weighted Cellular Automata 2D (WCA2D)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부산 온천천 유역의 침수 사상 모의를 통해 재현하여 국내 도시 유역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Open Computing Language (OpenCL)와 Open Multi-Processing (OpenMP)과 같은 병렬계산(parallel computing)기술을 적용한 버전을 순차계산(sequential computing)결과와 비교하여 연산성능을 평가 하였다. 연구결과, WCA2D 모형에 의한 최대 침수심 분포는 과거침수 피해지도와 유사하게 모의되어, 복잡한 지형특성을 가지는 도시유역 침수의 시공간적 변화를 해석하기에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또한,병렬 계산 적용시 순차 계산 버전에 비해 OpenCL과 OpenMP는 약8배~14배, 5배~6배 연산 효율이 향상되어 효율적인 도시 침수 모의가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