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열환경지표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1초

실내의 상하온도차에 대한 온열감성평가를 위한 HRV 분석 (HRV Analysis for Evaluationg Thermal Comfort to Vertical Difference of Room Temperature)

  • 최현배;이낙범;김동규;임재중;금종수;이규형;최호선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 논문집
    • /
    • pp.270-274
    • /
    • 1998
  • HRV(heart rate variability)분석에 있어서 LF와 HF변수들은 교감신경계나 부교감신경계와 같은 인체내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나타내는 유용한 지표로 사용되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나 실험환경의 상대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상하온도차에 따라 변화하는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HF/LF변수비를 통해 조사하였다. 전반적인 실험결과를 볼 때, 머리의 온도가 23˚인 경우 두한족열이 두열족한에 비해 HF/LF수치값이 대체로 높은 양상을 보여주었다. 두열족한의 경우 머리/발 온도가 $25^{\circ}C$/19$^{\circ}C$인 경우와 일부피험자를 제외한 27$^{\circ}C$/12$^{\circ}C$조건에서 높은 수치결과를 나타내었고, 두한족열에 있어서는 머리/발 온도가 2$0^{\circ}C$/26$^{\circ}C$인 경우와 23$^{\circ}C$/26$^{\circ}C$인 경우에 전반적으로 높은 수치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열취약성 평가를 통한 열환경 개선 정책 제시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Policies for 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Using Vulnerability Assessment - A Case Study of Daegu, Korea -)

  • 김권;엄정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열환경 개선 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기 위해 정책과 연계한 열 취약성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평가지표 선정을 위해 국내 17개 도시의 열환경 개선 정책과 국내 외 35개 선행연구의 열환경 평가지표를 고찰하였고, 최종적으로 열환경 개선정책과 연계된 15개 열취약성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는 열지수, PM10 농도, 지표면 온도, 건물 표면적, 5세 미만 인구, 심혈관 질환자 수 등이 있다. 또한, 선정된 평가지표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였다. 평가지표의 적용을 위해 사례지역인 대구광역시의 열환경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는 $30m{\times}30m$ 해상도를 기준으로 수집하였다. 이후 Z-Score와 매트릭스 방법을 활용하여 4개 등급으로 구분된 대구광역시의 열환경 취약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대구광역시에서 열에 가장 취약한 1등급의 면적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동구였으며, 그 다음으로 달서구, 북구 순으로 높았다. 또한, 대구광역시의 139개 동 중에서 열취약성 1등급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은 동은 동구의 안심1동이었는데, 15개 지표의 표준화 지수를 살펴본 결과 열취약성과 가장 높은 관계성을 가지는 요인이 되는 것은 기초생활수급자의 수, 심혈관 계통 사망자의 수, 열지수, 지표면온도 순 이었다. 이에 따라, 안심1동의 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시행해야하는 정책은 무더위 쉼터의 확충과 관리, 온열환자 감시체계 및 DB 구축, 도심내 그늘 확대 등의 정책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열환경 개선 정책과 평가지표를 연계시켜 활용함으로써 도시 군관리계획, 지구단위계획 등에서 전략적이며 효율적인 열환경 개선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내(室內) 온열환경지표(溫熱環境指標)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s of Indoor Thermal Comfort Index in Building)

  • 정창원;호리코시 데츠스미;윤인;최영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11-21
    • /
    • 1999
  • This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valuation and indiction of human thermal comfort in building environment. The issue of defining the boundaries of acceptable thermal comfort conditions in buildings and urban ma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 for building design and also may have urban design by climate considerations. And then it is to apply the thermal comfort condition to environmental design by using passive methods in Korea. Since 1920. architects have conducted studies to measure thermal comfort in houses under hot and humid conditions, while industrial hygienists have studi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n the performance of factory workers. Thermal comfort can be influenced by many variables. This paper conducted to review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 human heat balance equation, and to analyse in order to reveal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thermal comfort index in two traditional essays, Fanger's PMV and Gagge's ET* Their comfort indexes compared with each other. They were based on human heat balance equation and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the laboratory tests. The researchers and the architectural engineers using thermal comfort index shall be careful in decided the use of indexes and be necessary to recognize the value concept of the design criteria for thermal comfort. Therefore, The opinion of the authors is that different comfort standards have to apply for each building and urban with different climatic conditions.

  • PDF

여름철 낮 그늘시렁의 차양이 온열쾌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Pergola's Shading Effects on the Thermal Comfort Index in the Summer Middays)

  • 류남형;이춘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52-61
    • /
    • 2013
  • 본 연구는 여름철 낮 그늘시렁의 차양이 온열쾌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여름철 차양 및 겨울철 방풍을 고려하여 갈대발로 천개면 등을 차폐한 3가지 유형의 그늘시렁(가로 4m${\times}$세로 4m${\times}$높이 2.7m) I(천개면 차폐) II(천개면, 서향면 차폐) III(천개면, 서향면, 북향면 차폐)을 4층 옥상에 구축하였다. 그리고 1차 실험은 2013년 8월 14일부터 16일까지 대조구, 그늘시렁 I, III을 대상으로, 2차 실험은 2013년 8월 26일부터 28일까지 대조구, 그늘시렁 I, II를 대상으로 기상변수(기온, 습도, 복사, 풍속)를 측정하였다. 그늘시렁의 차양이 인체가 흡수하는 복사환경과 $T_{mrt}$$SET^*$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그늘시렁의 차양으로 인해 인체가 흡수한 복사량의 저감은 단파복사가 장파복사에 비해 훨씬 크게 나타났다. 대조구 대비 인체가 흡수한 단파복사량 차이의 최댓값 ${\Delta}K_{abs,max}$는 그늘시렁 I과 III에서는 $-119W/m^2$$-158W/m^2$였으며, 그늘시렁 I과 II에서는 $-145W/m^2$$-159W/m^2$였다. 대조구 대비 인체가 흡수한 장파복사량의 차이의 최댓값 ${\Delta}L_{abs,max}$는 그늘시렁 I과 III에서는 $-15W/m^2$$-17W/m^2$였으며, 그늘시렁 I과 II에서는 $-8W/m^2$$-7W/m^2$였다. 그늘시렁의 차양에 의해 인체가 흡수한 $T_{mrt}$$SET^*$ 값도 낮아졌다. $T_{mrt}$는 1차 실험에서는 그늘시렁 I과 III에서 각각 최대 $16.0^{\circ}C$$21.4^{\circ}C$, 그리고 2차 실험에서는 그늘시렁 I과 II에서 각각 최대 $18.8^{\circ}C$$20.8^{\circ}C$ 저감되었다. $SET^*$는 1차 실험에서는 그늘시렁 I과 III에서 각각 최대 $2.9^{\circ}C$$2.6^{\circ}C$ 그리고 2차 실험에서는 그늘시렁 I과 II에서 각각 최대 $3.5^{\circ}C$$2.6^{\circ}C$ 저감되었다. 대조구 $SET^*$ 대비 그늘시렁 II, III의 $SET^*$ 저감효율은 그늘시렁 I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풍속의 차이 때문이었다. 따라서 그늘시렁 수직면의 차폐시에는 차양 못지않게 통풍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생각된다. 대조구의 3일간 평균 최고기온이 $37.5^{\circ}C$였던 1차 실험기간 결과에서는 $SET^*$ 값이 하루 중 대부분 시간대에서 온열 쾌적대 및 수용대의 상한 값인 $28.7^{\circ}C$$30.4^{\circ}C$를 초과하였다. 반면에 대조구의 3일간 평균 최고기온이 $34.4^{\circ}C$였던 2차 실험결과, $SET^*$ 값이 그늘시렁 I에서는 18~12시와 오후 14~18시, 그늘시렁 II는 15~18시에만 온열 쾌적대에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그늘시렁 I, II에서 $SET^*$ 값은 하루 중 대부분 시간대에서 온열 수용대에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혹서기에 그늘시렁의 온열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갈대발 등에 의한 차양뿐만 아니라, 덩굴식물이나 녹음수에 의한 차양을 도입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늘시렁의 차양효과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T_{mrt}$$SET^*$는 실효성이 있었다고 판단되며, 향후 옥외 조경공간의 온열환경 평가 지표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천정형 정풍량 시스템에어컨의 적용높이에 따른 실내온열환경 특성 (Comparison of the PMV and ADPI according to Adapted Height of Ceiling-type System Air-conditioner in Large space)

  • 성상철;김혁순;진심원;오명도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90-595
    • /
    • 2009
  • PMV and ADPI were numerically investigated in a large space of various ceiling height with air-conditioning systems of two type. The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it is small that the growth of cooling load according to ceiling height rise in a large space without windows. In case of system air-conditioner of duct type embedded in the ceiling, the air mixing effect in indoor is superior to a case installed 4way cassette type in it. For controling thermal comfort at indoor, a system air-conditioner of duct type embedded in the ceiling is little influenced according to ceiling height rise in a large space considered.

  • PDF

거주공간에 대한 급·배기 일체형 디퓨저의 환기 및 온열환경 유지성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Ventilation and Thermal Environment for a Combined Type Diffuser in a Residential Space)

  • 임석영;장현재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74-81
    • /
    • 2017
  • In this study, the combined-type diffuser developed by the Authors, in a previous study, was applied to a residential space. The performance of a ventilation and thermal environment, created by the use of a combined-type diffuser was compared to the pan-type diffuser widely used in apartment houses. In cooling conditions, because of the relatively high air flow rate of ceiling cassette-type air conditioners, the characteristics of airflow distribution in a room were governed by the air conditioner's airflow. In heating conditions, because of the low air flow rate of the diffuser, the characteristics of airflow distribution were governed by the buoyancy effect created by cold external walls and a hot floor. In terms of the Air Diffusion Performance Index (ADPI), which is a thermal environmental index, the result of a combined-type diffuser was greater than a pan-type diffuser in both of cooling and heating conditions. Consequently, the combined-type diffuser showed equal or superior ventilation and thermal environment performance compared to a pan-type diffuser.

천장형 유닛을 설치한 교실 내의 인체 주변 온열환경에 관한 실측연구 (A Field Measuring Study on the Thermal Environment of Human Surrounding in the Classroom Equipped with Ceiling Unit)

  • 조성우;임영빈;이경희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40-246
    • /
    • 2006
  • This paper performed to investigate on vertical temperature distribution, effective draft temperature (ETD) and PMV (Predicted Mean Vote) in the classroom, which is located YangSan city (Kyungsangnam-Do), Korea, is equipped with ceiling unit. The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F.L+10 cm (ankle) and F.L+120 cm (neck) of a measuring point which is adjacent corridor in the classroom showed about $1^{\circ}C$ but of measuring point which is adjacent outdoor expressed up to $4^{\circ}C$, The effective draft temperature (ETD) is -2.3 and -0.52 and 0.67 at near ceiling unit but is 1.2 and 3.3 at far from ceiling unit. The PMV of total classroom showed the range of 'Cold' and 'Slightly Cold.' Therefore, to achieve comfort condition in the classroom is equipped with ceiling unit, the location of ceiling unit and discharge angle and discharge distance from ceiling unit are very important elements.

초고층 복합주거단지의 친환경 계획요소 평가를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Method by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Elements of High-rise Residential Complex)

  • 황중만;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522-1530
    • /
    • 2014
  • 초고층 복합주거 유형은 도심지에서 신도시 개발 및 도시재생에 있어 중요한 위치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초고층 주상복합의 경우 친환경계획요소에 대한 정리와 실제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고층 친환경계획요소를 단지, 건물내부, 설비 및 유지관리로 구분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 거주자를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는 M-IPA를 이용하여 초고층 복합주거 친환경 계획요소의 개선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 결과 첫째, 단지 부문은 복합적 토지이용, 친환경 교통은 유지관리를 지속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물내부 부문은 생태적 단지환경, 실내공기환경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고, 실내온열환경은 유지관리를 지속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설비/유지관리는 재료 및 설비와 에너지 관리 지표가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림의 여름철 평균복사온도 저감 추정 연구 (A Study of the Urban Tree Canopy Mean Radiant Temperature Mitigation Estimation)

  • 안승만;손학기;이규석;이채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3-106
    • /
    • 2016
  • 이 연구는 제안한 평균복사온도의 차감비교기법을 통해 도시림이 여름철 옥외 환경에 미치는 온열완화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고 평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항공 라이다 측량시스템 기반 3차원 점군자료로부터 도시림이 있는 모의 대상지와 도시림이 없는 모의 대상지 두 사례를 구축하여 SOLWEIG 기반에서 평균복사온도를 산출하고 두 값들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시림 캐노피가 연구지역 전체 일평균 $T_{mrt}$를 약 $5^{\circ}C$ 정도 저감하며 태양의 위치와 지면 조건에 따라 시간평균 $T_{mrt}$$33^{\circ}C$까지 저감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들은 도시미기후 지표(풍속, 습도, 대기 온도 등) 및 생명기상(인지온도 등) 연구들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삼림 기반 공공 녹색정책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급·배기 일체형 디퓨저의 환기 및 온열환경 유지성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Ventilation and Maintaining Thermal Environment for a Combined Type Diffuser)

  • 임석영;장현재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232-241
    • /
    • 2016
  • Installing a ventilator for an apartment house composed of over 100 dwelling units was mandated in 2006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In the case of mechanical ventilators, the air change rate is kept stable, however 68% of dwellers do not operate their ventilator because of an increased electrical bill and noise. In the case of natural ventilators, the former problems are settled, but there are concerns about cold draught and an increase of heating/cooling cost. Authors are developing a heat recovery type natural ventilator which is a natural ventilator equipped with total heat recovery element, and it is expected that those problems of mechanical ventilator and natural ventilator are resolved by this. The combined type diffuser of this study is an under developed fit to the heat recovery type natural ventilator above. There are no standard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for this type of diffuser. Due to this issu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the ventilation and maintained a thermal environment for the combined type diffuser by comparing it with existing diffus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erformances of the combined type of diffusers showed different features from the existing ones, and was estimated to be high enough in the performances ab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