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열환경지표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Approach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Control and Energy Saving Using the PMV Index (PMV지표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난방제어에 따른 온열환경 및 에너지소비량 시뮬레이션)

  • Seong, Nam-Chul;Yoon, Dong-Wo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 no.1
    • /
    • pp.19-25
    • /
    • 2010
  • Thermal comfort provide satisfaction of thermal environment and affects productivity of occupants in residential building. However, temperature control can not provide the thermal comfort at all the time. because thermal comfort is influenced by many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ir velocity, radiation temperature, activity level and clothing ins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predicted mean vote(PMV) index is used as control. And, Thermal comfort is evaluated both PMV control and temperature control by simulation. Each other cases were compared, in which set-point temperatures of $22^{\circ}C$ and $24^{\circ}C$ and, set-point PMV index through the respective heating season in the simulation. The results show that PMV control is better to maintain comfort state and save energy than temperature control.

Analysis of Physiological Signals for Thermal Comfort (온열쾌적감 평가를 위한 생리신호의 분석)

  • 최현배;김동규;임재중;금종수;이구형;최호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18-12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온열환경에 따른 쾌적감을 조사하기 위하여 온열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서 생리신호를 분석하였다. 생리신호로는 인체의 자율신경계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HRV변수 및 대뇌의 각성수준을 나타내는 CNA파형의 변이도를 이용하였다. HRV스펙트럼분석을 통해 얻어진 HF/LF변수를 이용하여 주어진 환경하에서 교감 및 부교감 신경의 활동성을 조사하였고, CNA 파형에서는 경고신호가 주어진 뒤 0.5-1초 구간의 면적값을 이용하여 온열쾌적감과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HRV스펙트럼분석에서는 휴지기에 비해 발과 얼굴부위에 대한 HF/LF값이 높은 사실을 통해 교감신경에 비해 부교감신경이 지배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바과 얼굴이 주위온도에 따른 인체의 쾌적감을 변화시키는데에 있어서 주된 부위임을 나타내며 HRV스펙트럼분석 및 CNV파형의 관찰이 온열환경에 대한 쾌적감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 PDF

각 환경기온하에서의 성인남자 피부온에 관한 연구

  • 심부자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250-251
    • /
    • 1996
  • 인간의 온열환경에 대한 적응은 인간-의복-환경 System사이의 산열과 방열의 열교 환을 통해 보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체온 조절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체와 의 관계와의 열교환은 주로 피부표면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피부온은 외계로의 방열을 예측 하여 인간의 체온조절반응을 나타내며, 온열감각을 좌우하는 인자로 의복의 온열생리, 의 복의 보온력, 쾌적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생리적인 지표가 되어 착의의 적부를 검토하는 데 의미를 지니면서 의복설게의 기초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기후 및 변화된 온열환경에 적응된 인체의 각 환경기온하에서의 피부온을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장시간의 노출에 의한 변동을 파악하여 쾌적 착의의 관점에서 인체와 환경사이에 존재하는 의복에 있어서 설계의 기초가 되는 피부온의 의의를 재검토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on Air Flow Velocity Changes using HRV Analysis (기류속도 변화에 따른 온열쾌적성 평가를 위한 HRV 분석)

  • 이낙범;배동석;임재중;이기섭;금종수;이구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163-167
    • /
    • 1999
  • 사회와 생활수준의 발달로 인간은 자연환경하에서 생활보다 인공적 환경하에서의 생활이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인간은 쾌적한 생활공간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를 위한 온열환경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이러한 생활공간에서의 쾌적한 온열환경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요인으로는 온도와 습도 그리고 기류 등이 있다. 또한 온열환경에 대한 인간의 감성적 측면도 쾌적한 온열환경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대류난방시 인간에게 가장 쾌적한 환경을 제시할 수 있는 기류 속도의 범위를 찾고, 이를 평가하는데 객관적인 지표를 설정하기 위해 온도에 따른 기류조건을 제시하고, HRV 분석을 통하여 인체의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18$^{\circ}C$, 21$^{\circ}C$, 24$^{\circ}C$ 각각의 온도에서 draft를 초래하지 않는 0.15m/sec의 기류속도일 때 가장 높은 MF/(LF+HF) 값을 보여 쾌적한 기류조건으로 나타났고 이는 쾌불쾌감신고(CSV)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심전도 신호를 통한 HRV 분석은 기류조건에 따른 온열쾌적성의 평가에도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지표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환경하에서의 감성평가 척도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 PDF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for the Vertical Room Air Temperature Difference and for the Control of Air Stream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 Analysis (실내 상하온도차와 기류방식 제어에 따른 온열쾌적성 평가를 위한 생리신호분석)

  • 이낙법;임재중;배동석;금종수;최호선;이구형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1
    • /
    • pp.147-155
    • /
    • 1999
  • 온열쾌적감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들로는 온도, 습도, 기류 등의 물리적 요인과 성별이나 체질 등 뿐만 아니라 온열환경에서 느끼는 인간의 감성적인 측면도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온열 환경 중에서 실내의 상하온도차와 기류방식의 제어에 따른 생체반응의 변화, 및 감성의 변화를 관찰하여 온열환경에 따른 인간의 온열쾌적감을 평가하기 위해 생리신호를 측정, 분석하였다. 인간에게 가장 쾌적함을 주는 최적의 실내 상하온도차와 기류제어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평가방법으로 MST(mean skin temperature)분석 및 HRV(heart rate variability) 분석과 EEG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실내의 상하온도차는 23$^{\circ}C$의 머리부위 온도에서 발 부위와의 온도차가 -3$^{\circ}C$일 때 가장 쾌적한 조건으로 나타났고, 기류제어방식은 감성기류조건에서 가장 쾌적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내의 상하온도차와 기류방식에 대한 온열환경의 쾌적조건을 설정하였고, HRV 분석과 EEG의 주파수 분석이 주판신소설문평가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이러한 생리신호의 분석이 인간의 감성적 측면을 고려한 온열쾌적성을 펑가하는데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지표로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Effect of Thermal Environment and Illuminance on the Occupants Works based on the Electroencephalogram and Electrocardiogram Analysis (뇌파와 심전도 분석을 기반으로 한 온열환경 및 조도가 재실자의 업무에 미치는 영향)

  • Kim, Hyung-Sun;Lim, Jae-Hyun;Kim, Hyoung-Tae;Kim, Hyoung-Sik;Kuwak, Won-Tack;Kim, Jin H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7 no.3
    • /
    • pp.95-106
    • /
    • 2014
  • This research analyzed biosignal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emotion from lighting felt by the occupants and task type under various indoor thermal environments and illuminance, and examined the biosignals' impacts on work. To this end, the indoor thermal environment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PMV (predicted mean vote) index value, and various indoor environments were created by changing the brightness of LED stands. In this manner, a variety of indoor environments were constructed, an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is research evaluates the sensibility response to lighting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in the given environment and incorporates different types of error searches. In this way, changes were analyzed by measuring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electrocardiograms (ECG). As a result, all biosignals on the task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thermal environment change. When PMV index value was 0.8 (temperature: $25^{\circ}C$, humidity: 50 %), concentration and attention were the most activated. However, the biosignal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illuminance change. Concentration on an occupant's work capability was confirm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thermal environment. As for the subjective emotional response to lighting, the occupants felt comfort as illuminance was lower, while they felt discomfort as illuminance was higher.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thermal environment change.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comfort sensation of Korean (Part II : Analysis of subjective judgement in summer experiment) (한국인의 온열쾌적감에 관한 연구 (Part II : 여름철 체감실험 결과))

  • 금종수;김동규;최광환;김종열;이구형;최호선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2
    • /
    • pp.65-73
    • /
    • 1998
  • 본 연구는 여름철에 수행된 체감실험 결과이다. 연구의 목적은 함국인을 대상으로 여름철 체감실험을 통해 SET*(PMV)와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ASHRAE Standard 55-74의 쾌적영역과 한국인의 쾌적영역을 비교 검토한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인에 대하여 생리 및 심리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냉방시 온열쾌적감을 분석하여, 온열환경지표(PMV, SET*)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청년 및 고령자에 대하여 각각 쾌적영역을 제시하였다. 냉방시 체감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년층의 중립 SET*(TSV=0)는 26.4$^{\circ}C$이었지만, 고령자의 경우는 26.9$^{\circ}C$ 이었다. 2. 청년과 고령자의 발한은 평균피부온도 34$^{\circ}C$ 근처에서 급격하게 상승하였다. 3. 청년층의 온열적 중립영역은 SET* 25.4~27.5$^{\circ}C$(0.20$0^{\circ}C$(0.43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Comfort Sensation of Korean and Physiological Signal Part I : Analysis of Subjective Judgement in Winter Experiment (한국인의 온열쾌적감 및 생리신호에 관한 연구 (Part I : 겨울철 체감실험 결과))

  • 주익성;김동규;금종수;최광환;이구형;임금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07-112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겨울철 난방시 한국인의 온열감각과 온열환경지표 사이의 상관관계 및 ASHRAE Standard 55-74의 쾌적영역과 한국인의 쾌적영역을 체감실험을 통해 규명 및 제시하는 것이다. 유니폼을 착용한 피실험자는 온도, 습도, 기류 등이 조절되는 환경시험실에서 2시간동안 체재하면서 매 15분 마다 전신온냉감, 쾌불쾌감 등을 신고하였다. 또한 인체의 3부위에서 피부온도, 환경시험실의 온도 및 습도를 매 20초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이상의 체감실험을 통해 아래의 결론을 얻었다. 1)평균피부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TSV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열적으로 중립감을 느낄 때의 평균피부온도는 청년 34.$0^{\circ}C$, 고령자 33.5$^{\circ}C$이다. 2)TSV=0일때 청년의 중립 SET*는 25.5$^{\circ}C$, 고령자의 중립 SET*는 27.$0^{\circ}C$이다. 3)한국인의 쾌적범위는 청년의 경우 SET*의 경우 24.2-26.8$^{\circ}C$, 고령자의 경우 SET*25.7-28.2$^{\circ}C$로 ASHRAE St.55-74의 권장 쾌적범위 (22.0-25.4$^{\circ}C$)보다 다소 고온지향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