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열감각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각 환경기온하에서의 성인남자 피부온에 관한 연구

  • 심부자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250-251
    • /
    • 1996
  • 인간의 온열환경에 대한 적응은 인간-의복-환경 System사이의 산열과 방열의 열교 환을 통해 보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체온 조절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체와 의 관계와의 열교환은 주로 피부표면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피부온은 외계로의 방열을 예측 하여 인간의 체온조절반응을 나타내며, 온열감각을 좌우하는 인자로 의복의 온열생리, 의 복의 보온력, 쾌적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생리적인 지표가 되어 착의의 적부를 검토하는 데 의미를 지니면서 의복설게의 기초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기후 및 변화된 온열환경에 적응된 인체의 각 환경기온하에서의 피부온을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장시간의 노출에 의한 변동을 파악하여 쾌적 착의의 관점에서 인체와 환경사이에 존재하는 의복에 있어서 설계의 기초가 되는 피부온의 의의를 재검토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rmal Comfort Sensation in the Variation of Air-velocity and Temperature in Air-conditioner (에어컨의 기류 및 온도 변동에 따른 인체 순응에 관한 연구)

  • 장문간;금종수;조관식;이기섭;최광환;정용현;김동규;김형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41-146
    • /
    • 2001
  • 실내 공기조화를 하는 거주역에 대한 온열환경요소의 자극 변화를 통해 실내 에너지를 절약할 수도 있으며 쾌적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의 온열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온열요소 중 비교적 영향이 크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온도 및 기류의 변동으로 한국인의 온열감각(온냉감, 쾌적감,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온도 및 기류별 실험을 통하여 22$^{\circ}C$, 24$^{\circ}C$, 26$^{\circ}C$의 각 온도에 대한 패케지 에어컨의 강, 중, 약 기류에 대한 인체순응 시간과 인체 변화를 파악하였다. 또한 인체순응시간을 고려한 온도 상승 실험을 통하여 24$^{\circ}C$, 26$^{\circ}C$에서 1$^{\circ}C$온도 상승시 인체의 온열쾌적감의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온도 상승을 통한 인체 순응시간을 도출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초기공조 조건을 24C$^{\circ}C$ 로 한 경우 인체순응을 통한 온도 상승으로 30분 후의 공조중기와 공조후기에 온도 및 기류의 지속적인 변동 자극으로 온냉감은 "약간 서늘하다"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온도상승으로 인한 쾌적존의 높은 온도에서도 기류의 영향으로 쾌적감은 30분 이후부터 "쾌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인체순응을 고려한 온도 및 기류의 자극을 통하여 공조초기부터 공조말기의 장시간에도 인체가 지속적인 쾌적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rmal sensation based humidity controls for improving indoor thermal comfort and energy efficiency in summer (온열감각 기반 습도제어를 통한 여름철 건물의 열쾌적 및 에너지성능 향상)

  • Moon, Jin Woo;Chin, Kyung-Il;Kim, Sang-Chul;Lee, Kwang Ho
    • KIEAE Journal
    • /
    • v.14 no.1
    • /
    • pp.75-81
    • /
    • 2014
  •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benefit of actively controlling humidity to improve thermal comfort and energy efficiency in climate zones other than hot-dry. For this research purpose, three thermal control strategies, which adopted different initiative degrees in humidity control, were developed - i) temperature controls, ii)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s, and iii) thermal sensation controls.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strategies were experimentally tested in a full scale mock up of an office environment. The study revealed that air temperature was better controlled in the occupied zone under the first two strategies than the thermal sensation based strategy. On the other hand, the thermal sensation-based strategy maintained thermal sensation levels more comfortably. In addition, energy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when humidity was actively controlled for thermal comfort. The thermal sensation-based control strategy consumed significantly less electricity than the first two strategies. From these findings, this study indicated that adoption of an active humidity control system based on thermal sensation can provide increased thermal comfort as well as energy savings for summer seasons in climatic zones other than hot-dry.

An Interactive Game with a Haptic Mouse (햅틱마우스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게임)

  • Cho, Seong-Man;Jung, Dong-June;Heo, Soo-Chul;Um, Yoo-Jin;Kim, Sang-Yo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5
    • /
    • 2009
  • In this paper, we develop a haptic mouse system for immersive human computer interaction. The proposed haptic mouse system can provide vibrotactile feedback as well as thermal feedback for realistic virtual experience. For vibrotactile and thermal feedback, we use eccentric motors, a solenoid, and a peltier actuator.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osed haptic mouse, we implement a racing game prototype system.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our haptic mouse is expected to be useful in experiencing virtual world.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Comfort Sensation of Korean and Physiological Signal Part I : Analysis of Subjective Judgement in Winter Experiment (한국인의 온열쾌적감 및 생리신호에 관한 연구 (Part I : 겨울철 체감실험 결과))

  • 주익성;김동규;금종수;최광환;이구형;임금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07-112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겨울철 난방시 한국인의 온열감각과 온열환경지표 사이의 상관관계 및 ASHRAE Standard 55-74의 쾌적영역과 한국인의 쾌적영역을 체감실험을 통해 규명 및 제시하는 것이다. 유니폼을 착용한 피실험자는 온도, 습도, 기류 등이 조절되는 환경시험실에서 2시간동안 체재하면서 매 15분 마다 전신온냉감, 쾌불쾌감 등을 신고하였다. 또한 인체의 3부위에서 피부온도, 환경시험실의 온도 및 습도를 매 20초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이상의 체감실험을 통해 아래의 결론을 얻었다. 1)평균피부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TSV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열적으로 중립감을 느낄 때의 평균피부온도는 청년 34.$0^{\circ}C$, 고령자 33.5$^{\circ}C$이다. 2)TSV=0일때 청년의 중립 SET*는 25.5$^{\circ}C$, 고령자의 중립 SET*는 27.$0^{\circ}C$이다. 3)한국인의 쾌적범위는 청년의 경우 SET*의 경우 24.2-26.8$^{\circ}C$, 고령자의 경우 SET*25.7-28.2$^{\circ}C$로 ASHRAE St.55-74의 권장 쾌적범위 (22.0-25.4$^{\circ}C$)보다 다소 고온지향적이다.

  • PDF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Thermal Responses to Local Heating of the Human Body in a Cold Environment (한랭환경하에서 인체의 국소가온 자극이 온열생리.감각반응에 미치는 영향)

  • Shin, Joung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745-1753
    • /
    • 2001
  • 본 연구는 한랭 환경 하에서의 인체의 국소 가온 자극이 생리, 감각반응에 끼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건강한 성인여자 7명을 대상으로, 기온 $25^{\circ}C$, 습도50%의 환경 하에서 균일한 국소 가온을 부하 했을 때 피부온, 고막온, 손가락, 발가락 혈류량, 온냉감, 쾌적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소가온에 의해 가온 부위 피부온은 유의하게 상승하고 가온 부위에 따라 상승도에는 유의한 차가 보였다. 2) 국소가온에 의해 고막온은 머리의 가온 시에 높은 상승, 전완의 가온 시에 상승하고, 다른 가온 부위에서는 하강의 경향이 보였다. 3) 국소가온에 의해 혈류량의 변화는 3개의 군으로 분류된다. 가온과 함께 손가락 혈류량이 증가하는 군, 발가락 혈류량이 변화하는 군, 양쪽의 혈류량이 적게 변화하는 군으로 나누어진다. 이것을 각 피험자의 평균 피부온 수준 즉 체온조절 수준과 관계 있는 것으로 논할 수 있다 4)국소 가온에 의해 각 부 위 피부온으로의 파급효과는 머리, 상완의 가온 시에 크지만 대퇴, 하퇴 다리의 가온 시에는 대부분의 부위에서 영향이 보이지는 않았다. 5) 이와 같이 국소 가온에 의 한 생리, 감각반응은 가온 부위에 따라 다르고 머리, 상완의 가온 시에는 생리반응이 크고 하퇴, 다리의 가온시에는 국소의 감각변화가 컸다.

  • PDF

Effects of Design and Material Change of Firefighter Station Uniform on Thermal Physiological and Subjective Responses (소방 기동복의 디자인과 소재 변화가 착용자의 온열생리 반응 및 주관적 감각에 미치는 영향)

  • Kim, Hee-Eun;Kim, Seong-Suk;Son, Su-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44 no.4
    • /
    • pp.776-787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physiological and subjective responses to different types of firefighter station uniforms made with various designs and materials. Six healthy 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at consisted of 20 min of rest, 30 min of treadmill exercise, and 30 min of recovery in a hot and humid environment (34℃ and 65%RH). The experimental clothing conditions were as follows. 1) a fitted T-shirt and trouser made of 100% polyester (FC-Uniform), and 2) flame retardant T-shirts made of acrylic and cotton as well as trousers with aramid and polyester, designed for overfitting (Contro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dy temperature, and sweat rate between the two conditions; however, the heart rate with the FC-Unifor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p=.025). The clothing microclimate temperature at the chest of the FC-Unifor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p=.037), and a difference of 1℃ was maintained until the recovery was complet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responses; however, participants experienced a humidity sensation faster with FC-Uniform in the recovery phase. The results indicate that changes in the design and material of firefighter station uniforms ma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educing the thermal stress of firefighters.

Effects of Ondol Sleep Environment on the Thermo-physiological Response of the Human Body (온돌 수면환경이 인체의 온열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 Kim, Jung-Sook;Sung, Su-Kwang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
    • v.1 no.2
    • /
    • pp.173-18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ual sleeping environments in Ondol rooms depending on the season.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on five healthy women. The bedroom environments using Ondol were measured in five cases (three apartments and two houses). The environments in bedroom, bedding temperature, skin temperature and thermal sensation were measured continuously through the seven days for each season in real life. This data of sleeping environments were analyzed in the view of seasonal variations and housing types. Annual average bedroom temperatures: $26.2{\sim}31.0^{\circ}C$ in apartments, $15.7{\sim}33.6^{\circ}C$ in houses. Annual average bedroom humidity: 48.3~82.1% RH in apartments, 64.9~87.0% RH in houses. During sleeping, temperatures of contact surfaces like sheets and under quilts ranged between $30.5^{\circ}C$ and $34.1^{\circ}C$ regardless of season or housing type. Annual average rectal temperature was $36.8^{\circ}C$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ason or housing type. In the point of thermal sensation, neutral temperature of the bedroom was $25.9^{\circ}C$ in apartments and $20.3^{\circ}C$ in houses. It was concluded that in spite of thermal environmental variations according to the seasons, skin, bedding and bedroom temperatures in apartments were better and more stable than those of houses. It is regarded that while houses are brick structured, apartments are steel-frame structured. Due to better insulation and air tightness, apartments were affected less from outdoor temperature and maintained higher room temperature than houses.

  • PDF

Thermoregulation on Menstrual Cycle -Effects of Ambient Temperatures- (생리주기에 따른 체온조절에 관한 연구 -환경온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 황수경;최정화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2
    • /
    • pp.339-349
    • /
    • 2001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mbient temperatures and menstrual cycle on Resting Metabolic Rate(RMR), Rectal Temperature(Tre), Skin(forehead, chest, abdomen, forearm, hand, thigh, leg, foot) Temperatures, and subjective thermal sensations in 8 young Korean females(ages 22-25, voluntarily). The Tre and the Skin Temperatures were measured in once every five minute for one hour. RMR was measured three times at 30 minutes intervals by indirect calorimetry. All measurements were gathered during Luteal Phase(LP), Menstruation(M), and Follicular Phase(FP) at two levels of ambient temperatures; low(17~21$^{\circ}C$) and middle(21.1~$25^{\circ}C$). LP were the highest values during FP and M in RMR, Tre, forehead temperature, chest temperature and abdomen temperature, while the leg(leg and foot) and arm(forearm and hand) temperatures were higher during FP rather than during LP at each ambient temperature. The downward curve of Tre in the experiment was larger during FP than LP. The values in subjective thermal sensations were most comfortable during LP than M and FP at each ambient temperature. The LP-FP differences in core and mean skin temperatures, and resting metabolic rate, were more significant at middle ambient temperatures than at low ambient temperatu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