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라인 후기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초

온라인 구매후기에 나타난 소비자의 비건 패션제품 평가 차원 (Evaluation of Vegan Fashion Products by Consumers in Online Review)

  • 정지운;윤소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9-428
    • /
    • 2023
  • This study examines customer reviews from online stores of Korean vegan fashion brands to determine the qualities that customers value in vegan fashion item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case study of online reviews-2,285 review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for vegan fashion product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esthetics, material characteristics, affordability, and characteristics. This suggests that evaluation standards for vegan fashion items operate at multiple levels. The animal welfare aspect of the produc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closely by how well the clothes fit. High-quality vegan materials and the use of recycled materials that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were emphasi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ven for vegan products, stylistic features remain an essential component of fashion items. To understand the main aspects of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in the current vegan fashion market, this study differs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examined online reviews of vegan fashion brands. This comprehensive analysis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customer preferences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thical considerations alongside style in the evaluation of vegan fashion item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the industry. Moving forwar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that vegan fashion brands should develop their products as well as their brands, capitalizing on the demand for ethically conscious and stylish options.

의류상품 구매후기를 읽는 동기와 인터넷 점포 고객 유형화 (Motives for Reading Reviews of Apparel Product in Online Stores and Classification of Online Store Shoppers)

  • 홍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82-296
    • /
    • 2012
  • This study identified the types of motives for reading consumer reviews of apparel products for online stores and classified shoppers into the groups based on motives. Data were collected from eleven Korean women by a focus group interview and from 313 females by an online survey. Respondents were in their 20s' and 30s' with significant experience reading consumer reviews of apparel products for online stores. The seven motives found by interviews were reduced to four types of motives by factor analysis: Right product choice and judgment of product value, risk reduction, saving time and money, and fun/killing time. The motive for the right product choice and judgment of product value was the highest and the motive for fun/killing time was the lowest.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motives: Utilitarian shoppers (25.8%), shopping-task oriented shoppers (36.8%), multiple-motive shoppers (19.7%), and moderate-motive shoppers (17.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ge groups and the amount of reading reviews posted on a product and the duration of reading reviews for online stores. In addition,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eveloped.

인터넷 오픈마켓 의류상품의 사용후기를 통한 부정적 구전 (Negative e-WOM based consumer reviews of clothing on Internet open market site)

  • 김성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5호
    • /
    • pp.49-6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rive the categories of negative e-WOM (electronic word of mouth) via consumer review. Disclosing the details of negative e-WOM based consumer reviews has never been done before. For this reason, a content analysis was adopted to provid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 of 630 consumer reviews posted on the open market internet site, www.auction.co.kr. Th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th, 2008 to March 10th, 2009.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egative e-WOM based consumer review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cognitive evaluation and the expression of consumer's emotion. The category of cognitive evaluation is consisted of negative e-WOM of product, negative e-WOM of service, and warning about the risk of purchasing products. The category of expressing consumers' emotion are composed of venting customers' dissatisfaction and passive response of dissatisfaction. Investigating the details of negative e-WOM has a number of implications. Most importantly, the results revealed multidimensional structure of negative e-WOM. This understanding of negative e-WOM communication allows marketers to improve products and services that better meet customers' current and future needs.

인터넷 쇼핑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의류상품 구매후기 정보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Important Information on Consumer Reviews in Internet Shopping)

  • 홍희숙;진인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761-774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umer review information considered important by consumers when making a purchase decision to buy apparel products onlin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Eleven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extensive experience in reading consumer reviews posted on online apparel stor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nsumer review information considered important by participants is the information related to seven product attributes (size, fabric, design, color, sewing, price, and country of origin), seven benefits (functional, financial, esthetic, emotional, social, utilitarian benefits, and product value compared to price) of the apparel product and four store attributes (return/refund, delivery, reputation/credibility, and customer service). The findings from the study can serve as an important tool in developing survey questions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of consumer review information and help online retailers plan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reviews.

Inception v3를 이용한 화장품 추천 시스템 (Recommended System for Cosmetics Using Inception v3 module)

  • 장영훈;샤이드 무하마드 라자;김문성;추현승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72-374
    • /
    • 2020
  • 최근 화장품이나 뷰티산업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장에 다양한 뷰티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그로 인해 오히려 본인에게 적합한 제품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온라인을 통해 구매하는 경우 구매후기 및 광고에 의지해야 하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 상점을 방문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오프라인 상점을 방문한 경우에도 자신에게 적합한 화장품을 추천받는 것 또한 다분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온라인 환경에서 소비자에게 맞는 상품의 광고 및 정보를 받을 수 있는 화장품 추천 서비스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서비스는 AI기능을 적용하여 기존의 방식보다 소비자 친화적인 서바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의미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eaning of Parents to Depression : Medi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 조설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87-198
    • /
    • 2022
  •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의미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부모의 의미의 연령차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청소년 후기, 성인 초기, 중년기, 노년기 각각 100명씩 총 4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의 의미는 삶의 의미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우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삶의 의미와 우울은 부정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 후기, 성인 초기, 중년기, 노년기의 연령에 따라 부모의 의미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한 결과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구조방정식을 통해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의미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의미는 삶의 의미를 낮춤으로써 우울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따라서 부모의 의미를 증진하고 삶의 의미를 높이는 방안을 통해 청소년 후기와 성인기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용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온라인 거래의 증가가 지역 소매 상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effects of online commerce on the local retail commercial area)

  • 이강배
    • 경제분석
    • /
    • 제25권2호
    • /
    • pp.54-95
    • /
    • 2019
  • 본 연구는 온라인 거래량의 증가가 지역 상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양적 질적 분석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2002년부터 2016년까지 15년간의 '전국사업체조사'와 '온라인 쇼핑 동향조사' 및 '지역소득조사' 결과와 한국은행의 거시경제 지표 중 '지역별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등락률', '종가기준 연평균 원달러 환율 등락률'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거래금액의 증가가 소매업종 점포수의 감소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업종별로 구분하면 기타 가정용품 소매업, 음·식료품 및 담배소매업, 문화, 오락 및 여가용품 소매업 그리고 종합소매업 순으로 감소의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종합소매업에 포함된 대형종합소매업과 체인화 편의점은 온라인 거래액이 증가함에도 점포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가정용품 등 업종의 점포수 감소한 주요 이유는 매장의 규모가 작은 경우 온라인 거래 대비 제품 품질 직접 비교 및 구매 경험 만족도 등 관점에서 차별성 및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온라인 거래액이 증가할 때 점포수가 증가한 소매업종은 체인화 편의점, 기타 상품 전문 소매업 모형, 섬유, 의복, 신발 및 가죽제품 소매업, 그리고 대형종합소매업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거래 증가에 따라 음식점 점포수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온라인 거래의 증가 및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배달앱 등이 활성화되고 블로그 및 SNS 등을 통한 맛 집 소개 및 사용 후기 전파 등이 증가하여 온라인 거래의 긍정적 영향이 작용한 것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오프라인 기업들이 온라인 대비 차별성과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매장에서 소비자들이 직접 비교하고 착용하고 경험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임대료는 온라인 거래가 증가함에도 상승하였는데 이는 1층 중대형매장의 임대료를 분석한 것에 기인한다. 즉, 온라인 거래가 증가하여도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매장 수요는 증가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변화와 위기에 대응하는 지역 중소 소매업체들의 사업전략 조정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이에 대한 중앙 또는 지방정부 차원의 지원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토픽 모델링에 기반한 온라인 상품 평점 예측을 위한 온라인 사용 후기 분석 (Online Reviews Analysis for Prediction of Product Ratings based on Topic Modeling)

  • 박상현;문현실;김재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3-125
    • /
    • 2017
  • Customers have been affected by others' opinions when they make a purchase.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people are sharing their experiences such as reviews or ratings through online or social network services, However, although ratings are intuitive information for others, many reviews include only texts without ratings. Also, because of huge amount of reviews, customers and companies can't read all of them so they are hard to evaluate to a product without rating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ology to predict ratings based on reviews for a product. In a methodology, we first estimate the topic-review matrix using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echnic which is widely used in topic modeling. Next, we predict ratings based on the topic-review matrix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which is based on the backpropagation algorithm. Through experiments with actual reviews, we find that our methodology can predict ratings based on customers' reviews. And our methodology performs better with reviews which include certain opinions. As a result, our study can be used for customers and companies that want to know exactly a product with ratings. Moreover, we hope that our study leads to the implementation of future studies that combine machine learning and topic modeling.

The Analysis regarding Inducing and Hindering Factors of Online Fashion Product Browsing

  • Lee, Su-Jin;Lee, Jin-Hw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0호
    • /
    • pp.67-8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패션상품을 브라우징을 하는 과정에서 브라우저에게 미치는 쇼핑몰의 유인요소 및 저해요소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패션상품을 온라인으로 브라우징을 하는 것에 관심이 있는 20대~50대 여성을 대상으로 브라우징 관련 질문을 제시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자들의 답변을 바탕으로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브라우징의 유인 요소 및 저해 요소를 가격 요인, 판촉 요인, 구매 후기 요인, 시각적 정보 요인, 제품 정보 요인, 서비스 요인 등의 여섯 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브라우징의 유인요소 및 저해요소 등의 내용을 바탕으로 쇼핑몰 측면에서 브라우징 환경을 잘 구상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관련 업종의 실무적인 전략과 마케팅에 도움이 될 것이며, 오늘날 비약적으로 발달하는 정보통신기술과 관련한 새로운 형태의 쇼핑몰 브라우징 환경에 관한 논문에 기초자료를 제시할 것이다. 또, 브라우징 과정에서 쇼핑몰의 저해요소와 관련하여 겪게 되는 부정적인 감정과 관련한 부분은 소비자의 심리와 연관한 패션상품 브라우징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소비자의 공연 경험에 다가가기 - 온라인 게시글 분석을 통한 공연 경험의 구성요소 탐구 - (Getting Closer to Consumer Performance Experience: Research on Performance Experience Components through Online Post Analysis)

  • 고예나;이중식;김은미;이수민
    • 예술경영연구
    • /
    • 제52호
    • /
    • pp.75-105
    • /
    • 2019
  • 오늘날 문화소비를 연구하는데 있어 실제 관람객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 작업은 핵심적이다. 이는 소셜미디어 등 표현할 수 있는 미디어 공간이 증가하면서 실제로 사람들이 많은 공연 경험들을 기록으로 남기고 있기 때문에 이 전에는 접근이 불가능했던 주관적인 경험의 기록들을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이 연구는 사람들의 공연 경험이 실제로 어떤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온라인상에 존재하는 공연 경험에 대한 사람들의 실제 표현에 기반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유형의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먼저 관람 전에 공연 추천을 요청하는 글을 올릴 때 원하는 공연을 어떻게 표현하는가를 지식인과 카페 플랫폼에서 수집해 수식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람들은 동반자나 나이와 같은 개인의 구체적인 상황이 반영된 수식어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티켓예매사이트의 공연 후기 글을 통해 관람 후 경험이 어떻게 묘사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 연구에서 공연 경험 만족 요소로 알려져 왔던 스토리나 음악과 같은 요소 외에도 동반자, 재관람 의도, 관람 경력과 관련된 표현이 중심을 이루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 뿐아니라 실용적 의의와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