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 채점 시스템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Online Scoring System for Constructed Response Items (서답형 문항 온라인 채점 시스템의 개발과 적용)

  • Cho, Jimin;Kim, Kyunghoo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2
    • /
    • pp.39-51
    • /
    • 2014
  • In high-stakes tests for large groups, the efficiency with which students' responses are distributed to raters and how systematic scoring procedures are managed is important to the overall success of the testing program. In the scoring of constructed response item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ether the raters themselves are making consistent judgments on the responses, and whether these judgments are similar across all raters in order to establish measures of rater reli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develop and carry out a pilot test of an online scoring system for constructed response items administered in a paper-and-pencil test to large groups, and to verify the system's reliability. In this study, we show that this online system provided information on the scoring process of individual raters, including intra-rater and inter-rater consistency, compared to conventional scoring methods. We found this system to be especially effective for obtaining reliable and valid scores for constructed response items.

  • PDF

Online-based Lecture Management System (온라인 기반의 강의관리 시스템)

  • Hur, Tai-Sung;Lee, Ji-Hoon;Kim, Cheon-Teak;Lee, Sa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227-228
    • /
    • 2013
  • 대학에서 이루어진 강의에 대한 강의 지원시스템은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완벽한 강의지원이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대학 강의에 적합한 온라인 강의지원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발 시스템은 대학에서의 데이터베이스과목 관리에 목표를 두고 주로 시험과 채점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다. 강의관리를 위한 출석관리, 리포트관리, 퀴즈와 같은 수시시험관리 및 정규(중간, 기말)고사의 실시 및 채점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시험의 경우 객관식, 주관식, 단답식 그리고 SQL로 나누어 개발되었다. 특히 SQL의 경우 구분분석을 통해 채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채점관리에 주력하였다. 주관식 및 단답형의 경우는 수작업을 통한 채점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이 모든 과정을 학생 스스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채점과 관련한 문제를 해소하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C Programming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Analysis Method Using Online Scoring System (온라인 채점 시스템을 활용한 C 프로그래밍 자기주도학습 과정 분석)

  • Jeon, Jun-Ho;Yi, Soyul;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413-414
    • /
    • 2019
  • 최근 프로그래밍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수업시수 문제로 학교 수업시간만으로는 성과를 거두기는 어렵다. 온라인 채점 시스템은 학생의 코드를 평가하고 피드백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자기주도적인 프로그래밍 학습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채점 시스템을 사용해서 C 프로그래밍 기초 학습을 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제출코드와 피드백을 분석하려고 하며, 학생들의 프로그래밍 학습경험과 학습참여도 등을 조사하여 대상학생을 선정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대상 학생들의 소스코드 및 피드백을 분석하여 자기주도학습 과정을 분석하고, 문제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언한다.

  • PDF

A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l using Online Judge System (온라인 채점 시스템을 활용한 문제해결학습 모형 탐색)

  • Jeon, Jun Ho;Jung, Ungyeol;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417-418
    • /
    • 2018
  • 오늘날 SW 중심사회에서 컴퓨팅 사고력은 꼭 필요한 핵심역량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소프트웨어(SW) 교육, 정보 교육을 강화하였다. 온라인 채점 시스템은 학생들이 문제해결 소스코드를 제출하면 이를 평가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므로 자기주도적인 문제해결학습 경험과 프로그래밍 스킬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채점시스템에 탑재된 문제들은 반구조화된 형태로 되어 있어 학생들이 컴퓨팅 사고단계 중 1단계인 문제공식화(추상화) 단계를 충분히 연습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한 문제해결학습 학습모형을 제안하고, 논의한다.

  • PDF

Automatic Database Lectur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 강의 관리 자동화 시스템)

  • Hur, Tai-S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12
    • /
    • pp.267-274
    • /
    • 2014
  • Even though computer based college lecture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long ago and has been used ever since, developing perfect lecture management is not simpl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ystem is to develop appropriate online lecture supportive management program suitable for college lectures. This system [ADLEMS] mainly focuses on the management of college database lectures, exams, and grades. This system supports management and grading of attendance, reports, quizzes, mid-term, and final exams. Exam management categorizes into multiple choice questions, essay questions, short answer questions, and SQL. Especially for SQL, division analysis was applied when developing grading system for more effective grade management. For essay questions and short answer questions, manual [hand] grading method was used. Every student can verify the grading process in person to alleviate the problems occurring during the grading process.

Web-based online evaluation system for essay question (주관식 평가를 위한 웹기반 온라인 평가 시스템의 구현 및 적용)

  • Kim, Hong-Ki;Hong, Dong-Kw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8 no.2
    • /
    • pp.251-259
    • /
    • 2004
  • Widespread internet service has brought many changes to modern life. Internet installed at school and intra-school computer network presented various education activities such as web-based instruction, immediat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progress in studying. In this paper an essay question evaluation system for web service is studied for rapid measurement of accomplishment of student. This system provides evaluation of answers consisting a simple sentence and not demanding one word. If an essay question has exactly specified answer sheets and scoring criterion, this system give highly accurate scoring results, which shows nearly the same scoring of a teacher, needs very short time for evaluation, and represents real-time feed back result, so it is expected very high efficiency for the evaluation of an essay question.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Essay Test System (온라인 논술시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Han, Won-Gyo;Nam, Jae-Yea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8 no.1
    • /
    • pp.113-125
    • /
    • 2004
  • A new on-line essay test system that write the articles to manuscript paper which has two hundred squares for characters, look over and correct the manuscript paper in environment of on-line network like the real essay test is designed and implemented in this thesis. Using this system, a participant can write the articles to manuscript paper, a scorer look over and can correct the articles on manuscript paper directly. When looking over and correcting manuscript paper in this system, scorer can use a pen-mouse and a tablet. To reduce the network traffic, bitmap format of the manuscript paper is compressed to JPEG format before it is transmitted to server. The system is cost-effective and has lots of advantages in efficiency and usabilit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system can be used to improve the field of on-line subjective examinations as a counterproposal.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Essay Test System (온라인 논술시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Han, Won-Gyo;Nam, Jae-Yea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8 no.1
    • /
    • pp.1-13
    • /
    • 2004
  • A new on-line essay test system that write the articles to manuscript paper which has two hundred squares for characters, look over and correct the manuscript paper in environment of on-line network like the real essay test is designed and implemented in this thesis. Using this system, a participant can write the articles to manuscript paper, a scorer look over and can correct the articles on manuscript paper directly. When looking over and correcting manuscript paper in this system, scorer can use a pen-mouse and a tablet. To reduce the network traffic, bitmap format of the manuscript paper is compressed to JPEG format before it is transmitted to server. The system is cost-effective and has lots of advantages in efficiency and usabilit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system can be used to improve the field of on-line subjective examinations as a counterproposal.

  • PDF

Implementation of an Item Pool System with XML (XML 기반 학습 평가 시스템의 구현)

  • 김일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441-445
    • /
    • 2003
  • 사이버 교육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각종 멀티미디어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기존 교육 방식을 보조하거나 대체하게 되었다. 온라인 학습자들을 평가하고 교육과정을 개선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교육 컨텐츠에 비하여 부족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JSP 와 JDBC 기술을 이용하여 문제 은행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기존의 학습 평가 시스템과는 달리, 데이터 표현을 위하여 XML 언어를 사용하였으며, 객관식 문제의 난이도 조절을 위한 피드백 및 단답형 주관식 문제에 대한 채점방식에 대한 고려를 평가 시스템 설계에 포함하였다. 문제은행은 문항의 형태, 내용, 난이도 등을 포함한 문항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저장하여, 보다 정확한 학습 평가 시스템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an Evaluating System for Programming Assignment Applying Smart Client (스마트 클라이언트를 적용한 프로그래밍 과제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Jang, Jung-Il;Ji, Jeong-Hoon;Woo, 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80-1382
    • /
    • 2007
  • 인터넷의 발달로 온라인 원격강의나 E-Learning 형태의 교육이 많이 확산되었다. 온라인 교육의 확산으로 웹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들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교과목의 특성상 실습위주로 진행되는 프로그래밍 관련 교과목에서는 자동화 된 과제평가 시스템이 필요하다. 프로그래밍 과제평가 시스템에서는 과제제출, 소스코드 업로드, 컴파일 및 실행, 채점, 표절검사 등의 과제평가를 위한 기본적인 작업들을 수행된다. 위와 같은 작업들이 모두 평가시스템 서버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서버에 많은 부하가 걸린다. 또한 공정한 평가를 위해 보안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클라이언트 기술을 이용한 과제평가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과제평가 시스템의 서비스를 분산시켜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고, 보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생들에게 공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