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 동영상

Search Result 18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Comparative Analysis of OTT Service Reviews Before and After the Onset of the Pandemic Using Text Mining Technique: Focusing on the Emotion-Focused Coping and Nostalgia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코로나 19 전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리뷰 비교분석 연구 - 정서 중심 대처와 노스탤지어를 중심으로)

  • Ko, Minjeong;Lee, Sang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1
    • /
    • pp.375-388
    • /
    • 2021
  •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during the COVID-19 by comparing blog reviews of an over-the-top (OTT) online video service from before and during the pandemic. We anticipate that the COVID-19 outbreak prompts the use of the OTT service as part of an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derived from the loss of personal control and the subsequent avoidance motivation. We also posit that a strong yearning for life before COVID-19 will increase interest in the content that fulfills a need for nostalgia. Our analysis of Netflix reviews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f the effects of an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and nostalgia on OTT service usage. First, the titles of the reviews posted during COVID-19 indicate that consumers were less likely to mention OTT services other than Netflix, more interested in domestic content, and used OTT services as an avoidance-denial strategy. Second, the blog content demonstrates that while pre-COVID reviews tend to focus on the practical benefits of OTT services, those posted during the pandemic focus on mood, emotions, and dialogue. In addition, interest in comedy and romance genres increased during COVID-19. Third, we identified a greater preference for realistic or everyday content that depicted the pre-pandemic era. This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VID-19 on video streaming usage in Korea. In addition,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field of marketing by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online video service users during COVID-19 and identifi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OTT services in the midst of a pandemic.

A Study on Design of Site utilizing Video and Audio (동영상을 활용한 의료사이트 설계 및 구현)

  • 이호택;정명희;홍의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12-316
    • /
    • 2001
  • 인터넷의 보급과 네트웍기술의 발달은 실생활과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고 시공간에 제작이 많았던 의료분야 역시 이러한 변화를 적극 수용하여 다양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한 의료정보 제공 및 건강 상담 차원을 넘어 고혈압이나 당뇨 같이 지속적으로 의사 관찰이 필요한 만성질환의 진료를 지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의료 사이트가 제시되어 있다. 환자 자신은 건강 상태를 스스로 관리하고 그 정보를 주치의와 공유함으로서 의사는 온라인 상에서도 환자를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고 특정 전문 분야에 관련된 회사들간 네트워크를 구현하여 새로운 의학 정보 공유 및 상호 컨설팅이 가능하고 공유된 전문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별로 환자가 의료혜택을 고르게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구축한 사이트는 전문적인 정보제공 이외에도 그래프가 포함된 전자차트 기능과 의사소통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의료 상담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한 동영상 게시판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시켰다.

  • PDF

Development of an Avatar Interface for the Korean Sign Language using in On-line Games (온라인 게임에서의 수화 아바타)

  • Song, Haeng-Sook;Lee, Nam-Jae;Bae, Woo-Jung;Ahn,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831-834
    • /
    • 2002
  • 온게임 채팅 창에서 자주 사용되는 간단한 문장들을 게임 창에 옵션으로 두어 사용자들이 문장 선택에 따라 수화 동영상 아바타가 상대방 화면에 나오는 인터페이스를 추가한다. 이는 게임환경에서 동영상을 제공하며 친숙함을 더하는 한 층, 장애들이 사용하는 수화를 게임하면서 배울 수 있어 청소년들이 더불어 사는 사회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하였다고 본다.

  • PDF

이코노연재 / 온라인 통해 기존 매체를 능가하는 빠른 정보 전달 가능

  • Kim, In-Suk
    • Digital Contents
    • /
    • no.10 s.89
    • /
    • pp.48-59
    • /
    • 2000
  • 디지털 혁명이 목전에서 일어나고 있다. 문자, 음성, 사진,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이 하나로 통합된 채 초고속 광통신을 타고 세계를 누빈다. 멀티미디어 시대라 일컫는 21세기는 이렇듯 잡지, 신문, 방송, 영화, 정보통신 간의 경계선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들을 탄생시키고 있다. 전자잡지, 인터넷 신문, 인터넷 방송 등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기존 미디어가 갖는 특성은 물론, 인터넷이 지니고 있는 불특정 다수의 리얼타임 정보전달, 즉 동시에 보고,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쌍방향 통신에 의한 피드백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져 21세기 새로운 언론 매체로 각광받고 있다.

  • PDF

On-line Learning Effect Applying PBL-based PSC-Note (PBL 기반 PSC-Note를 적용한 온라인 학습 효과)

  • Kim, Hwa-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05a
    • /
    • pp.453-455
    • /
    • 2021
  •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online learning has become an essential learning, not an option. In this reality, online learning method that depends on passive video viewing have limitations of poor academic performance and low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In this work,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apply PSC-Note to the PBL teaching method to improve learners'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also improve learning achievement.

  • PDF

HDR Video Reconstruction via Content-based Alignment Network (내용 기반의 정렬을 통한 HDR 동영상 생성 방법)

  • Haesoo Chung;Nam Ik Cho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8 no.2
    • /
    • pp.185-193
    • /
    • 2023
  • As many different over-the-top (OTT) services become ubiquitous, demands for high-quality content are increasing. However, high dynamic range (HDR) contents, which can provide more realistic scenes, are still insufficient. In this regard, we propose a new HDR video reconstruction technique using multi-exposure low dynamic range (LDR) videos. First, we align a reference and its neighboring frames to compensate for motions between them. In the alignment stage, we perform content-based alignment to improve accuracy, and we also present a high-resolution (HR) module to enhance details. Then, we merge the aligned features to generate a final HDR fram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our method outperforms existing methods.

Critique of the Flash Animation Contents in the Children's Educational Website (어린이 영어 교육용 사이트에서 플래시 애니메이션의 활용에 관한 연구)

  • 김영애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751-754
    • /
    • 2002
  • 학습자 중심이라는 큰 장점을 가지고 급속도로 발전해 가는 온라인 교육의 세계적인 흐름에서 어린이 영어 교육사이트에 있어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높여주고 동기를 유발시키며, 추상적인 언어를 살아있게 해 주며, 적은 용량으로 애니메이션을 표현할 수 있는 플래시 애니메이션 활용의 필요성을 알아보았고, 기존 영어교육사이트의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분석해 본 결과.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동영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상황의 이해, 학습동기 유발, 집중력 향상 등의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사용자에 대한 많은 연구와 플래시 애니메이션의 적극적인 활용과 개선을 통해 어린이를 위한 온라인 영어 교육이 충분히 제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

  • PDF

Factors Influencing on the Flow and Satisfaction of YouTube Users (유튜브 이용자의 몰입경험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Lee, Kang-You;Sung, Dong-Ky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2
    • /
    • pp.660-675
    • /
    • 2018
  •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the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video services affect the 'flow' as positive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f users. For the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289 people using YouTube, and then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nteractivity, newness of recommendation service, diversity of content, and entertainingness of contents all affect the lower level of flow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the accuracy of the recommendation service did not affect the flow experience, but positively affects the level of satisfaction. Finally, it is also confirmed that flow has a direc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and mediates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helpful to understand user'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online video platform service and suggest the discussion points to be considered by the industry to satisfy users.

CDN서비스-1,000억원 시장을 잡아라

  • Park, Hyeon-Su
    • Digital Contents
    • /
    • no.4 s.155
    • /
    • pp.40-42
    • /
    • 2006
  • 올해 CDN서비스 시장은 포털 업체들의 동영상 검색 서비스강화, 온라인게임업체들의 대형게임 출시, 월드컵 등으로 1,000억 원 규모로 성장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기존 CDN서비스 업체들 뿐 아니라 신규업체들이 속속 진입, 그 어느 때보다 경쟁이 치열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User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Video Contents Story Analysis and Viewing Pattern Analysis (영상 스토리 분석과 시청 패턴 분석 기반의 추천 시스템 구현)

  • Lee, Hyoun-Sup;Kim, Minyoung;Lee, Ji-Hoon;Kim, Jin-Deo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12
    • /
    • pp.1567-1573
    • /
    • 2020
  •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has brought the era of one-man media. An individual produces content on user own and uploads it to related online services, and many users watch the content of online services using devices that allow them to use the Internet. Currently, most users find and watch content they want through search functions provided by existing online services. These features are provided based on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who uploaded the content. In an environment where content needs to be retrieved based on these limited word data, user unwanted information is presented to users in the search results.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the system actively analyzes the video in the online service, and presents a way to extract an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held by the video.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extract morphemes based on the story content based on the voice data of a video and analyze them with big data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