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라인구매의도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3초

농식품 쇼핑물 특성과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상미;하규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3-95
    • /
    • 2021
  •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질병(COVID-19)은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쳤다. 그로 인해 학교 개학 연기와 재택근무 등으로 가정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났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 제한에도 식료품은 여전히 인간의 기본 필수품이다. 전염병이 유행하는 동안 식료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출은 온라인 소매상에서 큰 폭의 증가를 보이며 온라인 쇼핑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판매 품목 중 신선도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농식품은 다른 제품보다 더딘 온라인 쇼핑의 성장 행태를 보이고 있다. 시장 상황을 보아 제품의 특성으로 인하여 농식품의 온라인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타 제품군과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활성화를 위해 농식품 쇼핑몰의 특성과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농산물 쇼핑몰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활성화를 위한 농식품 쇼핑몰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혁신성이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에서 거래 위험에 대한 저항을 낮추어 구매의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미국 소비자들이 지각만 온라인 쇼핑속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Shopping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among American Consumers)

  • Kim, Eun-Young;Kim, Youn-Kyung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63-83
    • /
    • 2002
  • 본 연구는 미국 소비자들이 지각한 온라인 쇼핑속성에 대한 차원을 밝히고. 온라인 속성에 대한 중요성과 상품범주별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밝혀 상품범주별 마케팅 전략과 인터넷 소비자 관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가정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미국 소비자 303 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질문지법에 의해 자료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행하였고, LISREL8에 의해 측정모델과 구조적 관계 모델을 동시에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가 지각한 온라인 쇼핑에 대한 속성은 거래 및 비용, 사이트 디자인, 구매유인 프로그램, 상호 관계성의 4개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온라인 상품은 구매의도에 따라 인지적 상품, 경험적 상품, 서비스 3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셋째, 지각된 온라인 쇼핑속성의 중요도와 각상품군 구매의도와의 구조적 관계모델을 추정한 결과,“거래 및 비용”은 3개의 상품군에 대한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구매유인 프로그램”은 경험적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소비자들에게 중요하게 지각되는 인터넷 특정 속성 즉, 보완, 배달 및 비용을 초점으로한 상품범주별 차별화된 이점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자 상거래와 관련 보완, 환불정책 등에 관한 소비자 교육과 보호법이 요구되고 있다.

와인의 온라인 구매의 주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Key Determinants of Online Wine Purchasing Intention)

  • 강소라;한수진;김유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23-138
    • /
    • 2013
  • 본 논문은 온라인 거래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와인 거래가 활성화 되지 않는 이유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온라인와인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술 수용모형(TAM)에 신뢰를 적용한 온라인 와인 구매 의도 모형을 설정하여 실제 온라인상으로 와인을 구매할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또한 독립변수(유용성, 사용용이성, 주관적 규범, 이미지)와 온라인 구매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온라인 와인 사이트 신뢰의 매개효과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용성과 사회적 영향(이미지, 주관적 규범)이 온라인 와인 사이트의 신뢰형성에 기여하는 반면, 사용용이성은 온라인 와인 사이트 신뢰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용성, 사용용이성, 주관적 규범이 온라인 와인 구매의도와 관련성이 높고, 이미지는 온라인 와인 구매의도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와인 사이트 신뢰가 온라인 와인 구매의도의 주요 선행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와인 사이트 신뢰가 유용성, 주관적 규범과 온라인 와인 구매의도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온라인 와인 판매 사이트에서 고객의 구매 의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Y세대 소비자의 인터넷 사용동기에 의한 온라인시장세분화 (Online Market Segmentation by Gen Y Consumers' Internet Use Motivations)

  • 김은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93-705
    • /
    • 2008
  • 본 연구는 인터넷 사용동기에 근거한 온라인 시장을 세분화하고자 하였다. 표본은 미국 남서부지역의 대학생으로 총 219명의 Y세대 소비자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군집분석(Cluster Analysis)과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였다. 군집분석결과, 온라인소비자는 3개의 세분시장 즉, "쾌락적 소비자", "실용적 소비자", "비능동적 소비자"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개인적 특성 중, 성별과 연령에 따라 세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능동적 소비자 집단 (쾌락적소비자, 실용적 소비자)이 비능동적 소비자 집단보다 인터넷 사용시간과 온라인쇼핑에 드는 비용을 더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구매성향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충동구매성향이 낮지만, 세 집단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쾌락적 소비자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실용적 소비자, 비능동적 소비자 순이었다. 계획구매성향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쾌락적 소비자와 실용적 소비자 두 집단이 비능동적 소비자보다 계획구매성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구매의도는 실용적소비자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쾌락적 소비자, 비능동적 소비자 순이었다. 구체적으로 상품군별 구매의도차이를 검증한결과, 실용적소비자는 "책 또는 잡지", "액세서리와 보석"에 대한 온라인 구매의도가 가장 높은 반면, 쾌락적 소비자는 "여행티켓 또는 예약", "오락 및 여가상품"에 대한 온라인 구매의도가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Y세대 소비자를 위한 온라인 시장세분화에 따른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논의되었다.

다차원적인 온라인 사용후기의 영향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review in online)

  • 서문식;안진우;이지은;박선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2-367
    • /
    • 2009
  • 온라인상의 쇼핑에서 사용후기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사용후기를 보는 원인에 관한 분석에 대해서는 아직 부족함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상이기 때문에 가지는 위험 중에서도 사용후기를 통해서 어떤 위험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우선 알아볼 필요성이 있을 것 같다. 이의 연구결과 기능적 위험을 가장 크게 지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사용후기를 보는 이유로서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의류에 관련된 논문들을 보면 온라인상에서 구매를 꺼려하는 이유가 직접 눈으로 보고 만질 수 없다는 기능적 위험을 가장 크게 가지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대리 시용구매를 할 수 있는 사용후기를 이용하여 의류제품을 온라인상에서 구매하는 것이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 긍정적인 후기를 보고 구매하려는 의도가 나타났었고 부정적인 후기를 보고 구매하지 않으려하므로 사용후기가 구매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용후기를 중심으로 메시지를 보고 메시지에 대한 태도와 제품에 대한 태도, 그리고 구매의도 뿐만 아니라 메시지의 유형에 따라서 구전 의도나 사이트 재방문 의도라는 구매 행동에도 차이가 날 것이라고 추측했다. 연구 결과를 보면 유형별로 각각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부정적인 메시지로 인해 제품에 대한 좋지 않은 태도를 가지게 됨으로써 제품을 구입하려는 사이트 재방문 의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소비자의 쇼핑 동기가 온라인 쇼핑에 대한 신뢰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과 베트남 소비자를 중심으로 (Effects of Consumers' Shopping Motivation on the Consumer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Comparison of Chinese and Vietnamese Consumers)

  • 원성빈;손증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71-80
    • /
    • 2016
  • 본 연구는 전자상거래 및 온라인 쇼핑 분야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소비자의 온라인 환경에서의 쇼핑 동기로 편의적, 쾌락적, 경제적 동기의 3가지 요인을 도출하여 온라인 쇼핑에 대한 신뢰도를 매개변수로, 구매의도를 종속변수로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또한 중국과 베트남 2개 국가 소비자들의 성향차이를 조절변수로 설정하고 소비자의 쇼핑 동기가 온라인 쇼핑에 대한 신뢰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쇼핑 동기 중 편의적 동기를 제외한 쾌락적, 경제적 동기 변수는 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소비자의 쇼핑 동기 중 모든 변수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쇼핑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소비자의 쇼핑동기가 온라인 쇼핑에 대한 신뢰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중국과 베트남 소비자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국시장과 베트남시장에 진출하는 기업들에게 현지화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리뷰 속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결정 및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view Attributes on Brand Attitude, Purchase Decision and e-WOM Intention in Online Shopping Mall)

  • ;김준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113-127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리뷰의 속성을 평점, 댓글의 양 및 이미지정보로 분류하여 브랜드 태도와 구매결정 및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리뷰 속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결정 및 온라인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댓글의 양은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태도는 구매결정에, 온라인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평점, 이미지정보와 구매결정 간의 영향관계에서, 또한 리뷰 속성과 온라인 구전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브랜드 태도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소비자가 무조건 댓글의 양이 많은 것을 선호하지 않으며, 리뷰를 작성할 때 최대한 높은 평점과 포토후기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온라인 구매사이트의 정보콘텐츠가 정보서비스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화상품을 중심으로 (Impact of Information Contents on Information Service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at Online Purchase Sites of Movie Merchandise)

  • 조세형;이충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23-335
    • /
    • 2012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온라인 시장에서 제공되는 영화상품의 정보콘텐츠는 고객의 구매의사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콘텐츠의 내용이 영화상품 구매고객의 정보서비스만족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러한 영향이 영화상품에 대한 고객관여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밝히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정보콘텐츠의 정보서 비스만족도는 관람정보(시간, 장소, 가격, 구매방법)보다는 내용정보(줄거리, 배우, 관람후기)가 고객관여도 수준에 관계없이 유의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고객의 온라인구매의도에는 관람정보와 내용정보 모두 영향을 미친다. 고객관여도가 낮은 경우는 관람정보가, 높은 경우에는 내용정보가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효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정보서비스만족도는 고객관여도의 수준과 상관없이 온라인구매의도에 강력한 영향을 준다. 결국,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내용정보의 다양성과 품질 제고가 필요하며 온라인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내용정보와 더불어 관람정보의 개선도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화상품의 온라인구매사이트를 통한 마케팅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플로우(Flow) 경험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ow on Purchase Intension)

  • 김병철;최수호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3권2호
    • /
    • pp.17-45
    • /
    • 2002
  • 본 연구는 Flow 경험이 인터넷 사용자의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서 인터넷을 항해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기존의 구매의도 관련 변인들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고찰하기 위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 사용자의 (On-line)구매의도는 인터넷 사용자의 경험의 정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쇼핑몰을 항해하는 동안 경험하게 되는 Flow는 인터넷 쇼핑몰을 탐색하는 동기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Flow경험을 높게 인지한 사용자일수록 온라인을 통한 구매의도(또는 구매의도 관련변인)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온라인을 통한 구매과정을 설명하는데 Flow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목적적 Flow를 경험하는 인터넷 사용자의 경우 Flow 변인이 다른 구매의도 관련 변인들(태도, 효용, 위험)보다 온라인을 통한 구매의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적 Flow를 경험하는 인터넷 사용자는 인터넷 쇼핑몰을 구매장소로 인지하기 보다는 즐거움(fun)의 장소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웹사이트 정보품질 및 사용자인터페이스품질이 문화상품 온라인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관여도의 조절효과 (Impact of Information Quality and User Interface Quality of Web-Site on Online Purchasing Intention of Cultural Products: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Involvement)

  • 조세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931-944
    • /
    • 2013
  • 전자상거래의 확산과 문화산업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문화상품의 온라인 거래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를 취급하는 웹사이트의 품질수준이 고객의 구매의사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 및 인터페이스 품질이 문화상품 고객의 정보서비스만족도와 온라인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들 관계가 문화상품에 대한 고객관여도에 따라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실증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품질 및 인터페이스품질은 모두 정보서비스 만족도와 온라인구매의도에 유의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정보서비스만족도가 높을수록 고객의 온라인구매 의도가 높아지며 이는 고객관여도의 수준과 상관없다. 셋째, 고객관여도가 낮은 경우 정보품질이 온라인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이지 못하며 인터페이스품질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대로 고객관여도가 높은 경우는 정보품질은 유의적 영향을 주지만 인터페이스품질은 유의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고객의 정보서비스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보 및 인터페이스 품질 모두의 제고가 필요하며, 온라인구매의도의 경우 고객의 관여도 수준에 따라 중요한 품질요인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화상품 구매사이트의 효과적인 구축 및 운영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