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구매의도

Search Result 20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농식품 쇼핑물 특성과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Mi;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93-95
    • /
    • 2021
  •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질병(COVID-19)은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쳤다. 그로 인해 학교 개학 연기와 재택근무 등으로 가정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났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 제한에도 식료품은 여전히 인간의 기본 필수품이다. 전염병이 유행하는 동안 식료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출은 온라인 소매상에서 큰 폭의 증가를 보이며 온라인 쇼핑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판매 품목 중 신선도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농식품은 다른 제품보다 더딘 온라인 쇼핑의 성장 행태를 보이고 있다. 시장 상황을 보아 제품의 특성으로 인하여 농식품의 온라인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타 제품군과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활성화를 위해 농식품 쇼핑몰의 특성과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농산물 쇼핑몰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활성화를 위한 농식품 쇼핑몰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혁신성이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에서 거래 위험에 대한 저항을 낮추어 구매의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Shopping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among American Consumers (미국 소비자들이 지각만 온라인 쇼핑속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

  • Kim, Eun-Young;Kim, You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0 no.12
    • /
    • pp.63-83
    • /
    • 2002
  • 본 연구는 미국 소비자들이 지각한 온라인 쇼핑속성에 대한 차원을 밝히고. 온라인 속성에 대한 중요성과 상품범주별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밝혀 상품범주별 마케팅 전략과 인터넷 소비자 관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가정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미국 소비자 303 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질문지법에 의해 자료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행하였고, LISREL8에 의해 측정모델과 구조적 관계 모델을 동시에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가 지각한 온라인 쇼핑에 대한 속성은 거래 및 비용, 사이트 디자인, 구매유인 프로그램, 상호 관계성의 4개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온라인 상품은 구매의도에 따라 인지적 상품, 경험적 상품, 서비스 3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셋째, 지각된 온라인 쇼핑속성의 중요도와 각상품군 구매의도와의 구조적 관계모델을 추정한 결과,“거래 및 비용”은 3개의 상품군에 대한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구매유인 프로그램”은 경험적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소비자들에게 중요하게 지각되는 인터넷 특정 속성 즉, 보완, 배달 및 비용을 초점으로한 상품범주별 차별화된 이점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자 상거래와 관련 보완, 환불정책 등에 관한 소비자 교육과 보호법이 요구되고 있다.

Key Determinants of Online Wine Purchasing Intention (와인의 온라인 구매의 주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Kang, Sora;Han, Su-Jin;Kim, Yoo-J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12
    • /
    • pp.123-138
    • /
    • 2013
  • This paper was to figure out why online wine purchasing is not activated despite of the many advantages of having online transactions and to fine key determinants of online wine purchasing inten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online wine purchase intention,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terminants and online wine purchase intention. Data was collected from those who have experienced in using online wine store to purchase wine, and data was used to tes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The finding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social influence(subjective norm, image) were key determinants of online wine site trust, but they were not related to online wine site trust. It also was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subjective norm we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online wine purchase intention whereas it had no relationship with image. In addition, online wine site trust was shown to influence on online wine purchase intention. Finally, the mediating effects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subjective norm, and online wine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rawn.

Online Market Segmentation by Gen Y Consumers' Internet Use Motivations (Y세대 소비자의 인터넷 사용동기에 의한 온라인시장세분화)

  • Kim, Eun-Young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7 no.4
    • /
    • pp.693-705
    • /
    • 2008
  • 본 연구는 인터넷 사용동기에 근거한 온라인 시장을 세분화하고자 하였다. 표본은 미국 남서부지역의 대학생으로 총 219명의 Y세대 소비자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군집분석(Cluster Analysis)과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였다. 군집분석결과, 온라인소비자는 3개의 세분시장 즉, "쾌락적 소비자", "실용적 소비자", "비능동적 소비자"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개인적 특성 중, 성별과 연령에 따라 세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능동적 소비자 집단 (쾌락적소비자, 실용적 소비자)이 비능동적 소비자 집단보다 인터넷 사용시간과 온라인쇼핑에 드는 비용을 더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구매성향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충동구매성향이 낮지만, 세 집단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쾌락적 소비자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실용적 소비자, 비능동적 소비자 순이었다. 계획구매성향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쾌락적 소비자와 실용적 소비자 두 집단이 비능동적 소비자보다 계획구매성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구매의도는 실용적소비자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쾌락적 소비자, 비능동적 소비자 순이었다. 구체적으로 상품군별 구매의도차이를 검증한결과, 실용적소비자는 "책 또는 잡지", "액세서리와 보석"에 대한 온라인 구매의도가 가장 높은 반면, 쾌락적 소비자는 "여행티켓 또는 예약", "오락 및 여가상품"에 대한 온라인 구매의도가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Y세대 소비자를 위한 온라인 시장세분화에 따른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논의되었다.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review in online (다차원적인 온라인 사용후기의 영향)

  • Suh, Moon-Shik;Ahn, Jin-Woo;Lee, Ji-Eun;Park, Sun-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62-367
    • /
    • 2009
  • 온라인상의 쇼핑에서 사용후기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사용후기를 보는 원인에 관한 분석에 대해서는 아직 부족함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상이기 때문에 가지는 위험 중에서도 사용후기를 통해서 어떤 위험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우선 알아볼 필요성이 있을 것 같다. 이의 연구결과 기능적 위험을 가장 크게 지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사용후기를 보는 이유로서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의류에 관련된 논문들을 보면 온라인상에서 구매를 꺼려하는 이유가 직접 눈으로 보고 만질 수 없다는 기능적 위험을 가장 크게 가지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대리 시용구매를 할 수 있는 사용후기를 이용하여 의류제품을 온라인상에서 구매하는 것이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 긍정적인 후기를 보고 구매하려는 의도가 나타났었고 부정적인 후기를 보고 구매하지 않으려하므로 사용후기가 구매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용후기를 중심으로 메시지를 보고 메시지에 대한 태도와 제품에 대한 태도, 그리고 구매의도 뿐만 아니라 메시지의 유형에 따라서 구전 의도나 사이트 재방문 의도라는 구매 행동에도 차이가 날 것이라고 추측했다. 연구 결과를 보면 유형별로 각각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부정적인 메시지로 인해 제품에 대한 좋지 않은 태도를 가지게 됨으로써 제품을 구입하려는 사이트 재방문 의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Effects of Consumers' Shopping Motivation on the Consumer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Comparison of Chinese and Vietnamese Consumers (소비자의 쇼핑 동기가 온라인 쇼핑에 대한 신뢰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과 베트남 소비자를 중심으로)

  • Won, Sung Bin;Sun, Zeng-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8
    • /
    • pp.71-80
    • /
    • 2016
  •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which proved that "seeking convenience", "seeking low-cost" and "pleasures of shopping" are the major shopping motivation of online shopping. Research is conducted by using the trust as mediator, purchase intention as dependent variable. Also,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Vietnamese consumers are applied in analysis of the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eking low-cost" and "pleasures of shopping" have positive effects on trust. Second, all shopping motivation have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rd, the trust has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urth, consumers' shopping motivation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Chinese and Vietnamese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the strategic implications for operators at online shopping area.

The Effect of Review Attributes on Brand Attitude, Purchase Decision and e-WOM Intention in Online Shopping Mall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리뷰 속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결정 및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Zhang, Han;Kim, Joon-S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7
    • /
    • pp.113-127
    • /
    • 2021
  • This study classifies review attributes into ratings, number of comments and image information in online shopping mall to verify their impact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decision and e-WOM intention. Use SPSS 23.0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review attributes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s, purchase decision and e-WOM intention, but the number of comments has not affect on purchase decision. Brand attitude has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decision and e-WOM intention. Brand attitude has media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ngs, image information and purchase decision,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view attributes and e-WOM intention. As these results, consumers don't always like to have a lot of comments. and should allow to focus on high ratings and photo reviews as much as possible when writing reviews.

Impact of Information Contents on Information Service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at Online Purchase Sites of Movie Merchandise (온라인 구매사이트의 정보콘텐츠가 정보서비스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화상품을 중심으로)

  • Cho, Se-Hyung;Lee, Choong-M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7
    • /
    • pp.323-33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mpact of information contents at online purchase sites of movie merchand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vie-understanding information(synopsis, actors, reviews)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information service satisfaction irrespective of consumer involvement; 2) Movie-understanding and movie-going information(time, place, price, purchasing method) are alike in having a meaningful influence on online purchasing intention. However, movie-going information has a meaningful influence in case of lower consumer involvement, while movie-understanding information has a meaningful influence in case of higher consumer involvement.; 3) Information service satisfaction gives a strong influence on online purchasing intention irrespective of the level of consumer involvement. In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improve diversity and quality of movie-understanding information to enhance consumer satisfaction. Also,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movie-understanding and movie-going information in order to enhance online purchasing intent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give an insight to build a creative marketing strategy of online purchase sites of movie merchandise.

Effect of Flow on Purchase Intension (플로우(Flow) 경험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Kim, Byung-Cheol;Choi, Soo-Ho
    • Survey Research
    • /
    • v.3 no.2
    • /
    • pp.17-4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low experience on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1) the purchase intention through internet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cognition of users' experience. (2) The "Flow" experiences during the time of navigating internet shopping-mall sites lead to different results due to the separate motive of searching internet shopping-mall sites. (3) It should analyze the market segmentation of internet users, using Flow experience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on-line and off-line purchase intention. (4) Finally, it should study more profoundly on "experiential" Flow and "goal-directed Flow that it ha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Flow experiences between separate purposes of searching internet shopping-mall sites.

  • PDF

Impact of Information Quality and User Interface Quality of Web-Site on Online Purchasing Intention of Cultural Products: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Involvement (웹사이트 정보품질 및 사용자인터페이스품질이 문화상품 온라인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관여도의 조절효과)

  • Cho, Se-H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2
    • /
    • pp.931-944
    • /
    • 2013
  • With the expansion of EC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e industry, Web-site shopping of cultural products have become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purchasing channels for customers, as well as one of the competitive distribution channels for film distributors or theater group.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nformation quality and user interface quality on information service satisfaction and online purchasing intention of cultural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oth information quality and interface quality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information service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2) Information service satisfaction gives significant impact on online purchasing intention irrespective of the level of customer involvement. 3) Information quality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online purchasing intention in case of high level of customer involvement, while interface quality gives strong impact on online purchasing intention in case of low level of consumer involvement. In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level of customer involvement for building a successful marketing strategy of online purchase sites of cultural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