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도 오류 보정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Sensor Network Technology for Blood Management System (혈액관리 시스템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연구)

  • Lee, Min-Goo;Kang, Jung-Hoon;Lim, Ho-Jung;Yoon, Myung-Hyun;Yoo, Jun-J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4a
    • /
    • pp.162-164
    • /
    • 2006
  • This whitepaper is a research about the sensor network technology which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blood management system. The problem of measuring and monitoring the real time temperature of a every point in a limited environment let us to develop a system which is able to monitor the temperature of a remote area using multi-hop networking technology. This whitepaper propose the error correction technologies, which were used to eliminate problems that might occur during real tests of the system.

  • PDF

Machine Learning-based Quality Control and Error Correction Using Homogeneous Temporal Data Collected by IoT Sensors (IoT센서로 수집된 균질 시간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의 품질관리 및 데이터 보정)

  • Kim, Hye-Jin;Lee, Hyeon Soo;Choi, Byung Jin;Kim, Yong-Hyu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4
    • /
    • pp.17-23
    • /
    • 2019
  • In this paper, quality control (QC) is applied to each meteorological element of weather data collected from seven IoT sensors such as temperature. In addition, we propose a method for estimating the data regarded as error by means of machine learning. The collected meteorological data was linearly interpolated based on the basic QC results, and then machine learning-based QC was performed. Support vector regression, decision table, and multilayer perceptron were used a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e confirmed that the mean absolute error (MAE) of the machine learning models through the basic QC is 21% lower than that of models without basic QC. In addition, when the support vector regression model was compared with other machine learning methods, it was found that the MAE is 24% lower than that of the multilayer neural network and 58% lower than that of the decision table on average.

A Study on Degradation Phenomenon Based on Test Device for Aging Diagnosis in PV Modules (태양광모듈의 열화진단 시험장치 구현 및 열화특성에 관한 연구)

  • Shen, Jian;Lee, Hu-Dong;Tae, Dong-Hyun;Rho, Dae-S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6
    • /
    • pp.27-35
    • /
    • 2021
  • Generally, a proper evaluation method of the aging phenomenon of PV modules is required as the electrical performance and lifespan of PV modules can degrade significantly due to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while they are generally known as devices that are used semi-permanently for more than 20 year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ack of objectivity in the existing evaluation method of the aging phenomenon, which compares the adjusted PV output based on STC with the initial PV module specifications due to the data distortion while adjusting the measured data. Therefore, this study implemented a test device for an aging diagnosis to measure and collect actual data from a PV module section and modeled the data for aging using MATLAB S/W to minimize the variability of the PV output, communication error, and delay. Furthermore, this study confirmed the usefulness of the presented test device for aging diagnosis of the PV modules by diagnosing the total period and yearly-basis degradation rate of aging PV modules as 25.73% and 1.55%,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on-sit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PV modules by season.

Fine particulate Judgment based on Fuzzy Inference System (FUZZY 추론 시스템 기반 미세먼지 판단)

  • Hong, You-Si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0 no.5
    • /
    • pp.127-133
    • /
    • 2020
  • The international cancer research institute under the WHO designated fine dust as a first-class carcinogen. Particular matter refers to dust that is small enough to be invisible and floating in the air. Particular matter is mainly emitted from the combustion process of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oil, and is a risk factor that can cause lung disease, pneumonia, and heart diseas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cently analyzed the output data of 10 fine dust measuring stations and, as a result, announced that about 60% had an error that the existing atmospheric measurement concentration was higher. In order to accurately predict fine dust, the wind direction and measurement position must be corrected. In this paper,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uzzy rules are used to solve these problems. In addition, in order to calculate the fine particulate sensation index actually felt by pedestrians on the street, a computer simul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fine particulate sensation index in consideration of weather conditions, temperature conditions, humidity conditions, and wind conditions.

GIS spatial D/B formation of geothermal data and Distribution of Heat Flow of Korea (한국의 지열자료 GIS 공간 D/B 구축과 지열류량 분포)

  • Kim, Hyoung-Chan;Lee, Young-Min;Park, Jeong-M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459-460
    • /
    • 2006
  • 현재 남한의 지열류량 측정값으로는 총 363개 지점의 자료가 측정 및 수집되어 있다. 이것은 Mizutani et at. (1970), 장정진 외(1970), 그리고 서정희(1976) 등의 자료, 총 35개의 자료도 추가된 것이다. 1989년 이후부터 측정된 지열류량 자료는 217개 자료이며(임정웅 외, 1989; 임정웅 외, 1996; Lim and Kim, 1997; 염병우 외, 1997), 모두 직접 측정한 것이나, 1989년 이후 보고된 지열류량 자료에 약간의 오류가 있어 이번 연구에서 수정 보완하였다. 또한 과거의 자료 35개 자료는 이미 지열류량 측정치가 논문화 되어 있는 것으로 암석시료는 없다 1989년 이후 2004년까지 자료 217개 2005년도 추가 자료 111개의 지열류량 자료는 암석시료도 있으며, 측정기기가 서로 달라 오차가 있을 수 있어 서로 보정을 해야 할 필요가 있어 시추공 주변 암석을 새로 수집해서 신장비로 다시 측정 보정하였다. 지열류량 D/B 구축은 각 자료의 일련번호, 고유번호 (Sn.), 위경도 좌표 (longitude, lattitude), 암석의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 지온경사 (thermal gradient), 지열류량 (heat flow)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열류량 자료 공간 데이터베이스는 점 속성을 가지며 자료형태는 각종 소프트웨어와 호환성이 좋은 shape 파일 형태로 작성하였다. 또만 최근 천부 토양 및 암석 열물성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즉, Heat Pump System 설계를 위하여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요소인 열확산율, 공극율, 밀도, 비열 등 열물성 특성을 추가하여 GIS 공간 D/B구축하였다. 대륙붕 자료 4개 자료를 제외하고 359개의 지열류량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남부, 즉 남한의 지열류량 분포도를 작성 분석해 본 결과(그림 1), 우리나라의 지열류량 이상대는 아산만 주변, 보령, 유성, 진안, 울진, 포항, 부산 지역과 포천, 속초, 충주, 수안보 등 지역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이상대 주변에는 대개 온천이 발달되어 있었거나 새로 개발되어 있는 곳이다. 온천에 이용하고 있는 시추공의 자료는 배제하였으나 온천이응으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은 시추공의 자료는 사용하였다 이러한 온천 주변 지역이라 하더라도 실제는 온천의 pumping 으로 인한 대류현상으로 주변 일대의 온도를 올려놓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지열류량 값을 보인다. 한편 한반도 남동부 일대는 이번 추가된 자료에 의해 새로운 지열류량 분포 변화가 나타났다 강원 북부 오색온천지역 부근에서 높은 지열류량 분포를 보이며 또한 우리나라 대단층 중의 하나인 양산단층과 같은 방향으로 발달한 밀양단층, 모량단층, 동래단층 등 주변부로 NNE-SSW 방향의 지열류량 이상대가 발달한다. 이것으로 볼 때 지열류량은 지질구조와 무관하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단층대 주변은 지열수의 순환이 깊은 심도까지 가능하므로 이러한 대류현상으로 지표부근까지 높은 지온 전달이 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