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도 노출

Search Result 88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est Results of Composite Cylinder Surface Temperature change between Pool Fire and Single Impinging Jet Flame Exposure Condition (전체 화염 및 단일 화염 노출 조건에서 복합재료 용기 표면 온도 변화 비교)

  • Lee, Jae-Hun;Hwang, Jun-Ho;Kim, Young-Seop;Kim, Hy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648-651
    • /
    • 2009
  •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용기의 외부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함침된 수지(Resin)가 탄화되면서 자체 강도가 약화되고 충전된 가스가 외부 온도 상승에 따라 압력 상승이 발생하여 용기의 폭발로 이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다. 화염 노출조건에서 복합재료 용기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용 밸브에 내장된 온도감응식 압력안전장치(TPRD:Thermally activated Pressure Relief Device) 작동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염실험(Bonfire test)를 실시하고 있으나, 개방 공간에서 실시되는 이 실험은 표면 온도 변화가 매우 크게 발생하여 실험에 대한 재현성(Reproducibility)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표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실험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유+heptane을 이용한 전체 화염에 노출되는 경우와, 천연가스를 이용한 단일화염에 노출되는 경우의 실험 결과 비교를 통하여 화염 노출 표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열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복합재료 라이너(Liner)의 온도 변화 비교를 통하여 집중화염 노출 조건에서 열전달 특성을 알아보았다.

  • PDF

Critical Temperature for Inter-Laminar Shear Strength and Effect of Exposure Time of FRP Rebars (FRP 보강근의 계면전단강도에 대한 임계온도와 노출시간의 영향)

  • Moon, Do-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5 no.1
    • /
    • pp.45-51
    • /
    • 2013
  • Short beam tests of GFRP and CFRP specimen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For the phase I test, the exposure time and temperature were varied to measure reduction in the strength due to the applied conditions. As a results, the critical temperature was found to $270^{\circ}C$ for the both FRP reinforcements. The high temperature, which causes 50% loss of inter-laminar shear strength, is defined as the critical temperature in this stud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ritical temperature for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is mainly dependent on resin properties not on fiber type. In the phase II test, the effect of exposure time was investigated at intervals of 0.25hour for the critical temperature. All test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exposure time effect is not significant compared to the maximum exposure temperature, but it is not negligible and, moreover, is significant at the critical temperature.

Thermal Steady State in an Anatomical Model of the Human Head under High-Power EM Exposure (고출력 전자기파 노출 환경에서 인체 두부의 온도 변화)

  • Kim, Woo-Tae;Yook, Jong-Gwa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1 no.10
    • /
    • pp.1073-1084
    • /
    • 2010
  • In this paper, the bio-heat equation including thermoregulatory functions is solved for an anatomically based human head model comprised of 14 tissues to study the thermal implications of high-power exposure to electromagnetic(EM) fields due to half-wave dipole antenna both at 835 and 1,800 MHz. The dipole antenna is located at the side of the ear and the front of the eyes. The FDTD method has been used for the SAR computation. When solving the BHE, the thermoregulation function and sweating effetecs are included in order to predict more exact temperature increase. It is noted that an approximately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issues and the maximum temperature increase and the antenna power is not maintained when the thermoregulation and sweating effects are fully accounted for under high power exposure.

건조온도 및 노출시간에 따른 벼의 동할 예측모델

  • Kim, Hoon;Geum, Dong-Hyuk;Kim, Eu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80.2-181
    • /
    • 2003
  • 벼는 미립내부의 온도 및 함수율의 차이에 의해 열응력 및 수분차에 의한 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응력이 과대하게 발생되면 낟알이 금이 가는 동할이 발생하게 된다. 동할은 주로 건조과정 또는 건조후에 주로 발생하게 되는데 벼의 품질에 가장 중요한 지표로서 동할이 발생되면 저장성이 저하되며, 도정시 싸라기가 증가하여 도정수율에도 많은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본 연구는 함수율 20.01, 21.80 및 22.80%(w.b.) 3수준에 대하여 40.4, 50.0 및 60.9$^{\circ}C$ 3수준의 건조온도와 노출시간 5 ~ 120분 동안에 벼의 동할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동할 예측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기 함수율이 낮고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노출시간이 경과할수록 동할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온도 40.4$^{\circ}C$에서는 노출 100분전까지는 동할율이 2%이상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조온도 50.$0^{\circ}C$와 60.9$^{\circ}C$에서는 함수율 20.0%(w.b.)의 경우 27분 및 11분 노출했을 때 동할율이 2%이상 발생하였다. 동할 실험치를 실험모델에 적합시켜 다중회귀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상수를 결정하였다. 실험모델의 결정계수는 모든 온도에서 0.9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RMSE는 40.4$^{\circ}C$에서는 0.2230, 50.$0^{\circ}C$에서는 2.4975로 나타났다. 또한, 60.9$^{\circ}C$에서는 77813로 이는 동할 실험치가 0 ~ 100 사이의 값임을 고려할 때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 PDF

CIGS박막 태양전지소자의 온도변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 분석

  • Kim, Sun-Gon;Kim, Sang-Seop;Choe, Byeo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224.2-224.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CIGS박막 태양전지의 온도 및 시간 인가에 따른 전기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에서는 온도 스트레스를 $25^{\circ}C$, $50^{\circ}C$, $100^{\circ}C$, $150^{\circ}C$, $200^{\circ}C$에서 각각 10시간씩 인가한 후에 Dark I-V와 C-V측정을 통해 전기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25^{\circ}C$일 때를 초기 온도로 하여 특성을 측정한 것과 온도별로 노출시킨 후에 측정한 것을 비교했을 때 소자의 효율은 $100^{\circ}C$에서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인가한 온도가 높을수록 점점 많이 감소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와 비슷하게 I-V그래프와 C-V그래프의 모습도 초기 값과 비교해서 변화하는 모습이 나타났고, 온도가 높아질수록 점점 변화하는 양이 증가하였다. I-V그래프에서 Diode ideality factor는 온도변화에 따라 초기 값 대비 증가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온도에 노출되기 전보다 노출된 후에 current와 capacitance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온도의 영향으로 인해 소자의 결함이 증가하여 전하들의 반응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Changes in Cardiovascular and Renal Functions by Temperature and Epinephrine in the Freshwater Turtle, Amyda Japonica (수온변화와 Epinephrine에 의한 자라의 심맥관계 및 신장기능의 변화)

  • Kim, Suhn-Hee;Cho, Kyung-Woo;Seul, Kyung-Hwan;Koh, Gou-You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v.21 no.2
    • /
    • pp.201-210
    • /
    • 1987
  • 수온변화에 따른 심맥관계 및 신장기능의 변화와 생체실험을 통한 온도에 의한 adrenoceptor의 변형을 알아보기 위해, 무마취 자라에서 $18^{\circ}C$에서 $25^{\circ}C$로 수온을 증가시 나타나는 혈압, 심박동수 및 신장기능의 변화를 관찰하고, epinephrine 1 ug/kg과 10 ug/kg을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자라의 정맥내 투여하여 나타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1) $18^{\circ}C$에서 $25^{\circ}C$로 수온을 증가시킴에 따라 심박동수는 현저히 증가하여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혈압 및 혈장 renin 활성도는 변화하지 않았다. 온도증가에 의해 뇨량, 사구체여과율 및 전해질 배설량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나 90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2) 수온 $18^{\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은 dose-dependent한 양상으로 혈압 및 심박동수를 증가시켰으며, 다량의 epinephrine 투여시 작용시간은 현저히 연장되어 있었다. $25^{\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는 epinephrine에 의한 혈압상승 효과 및 심박동수 증가는 나타났으나, dose dependency나 작용시간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3) 동량의 epinephrine에 의한 혈압 및 심박동수의 증가효과는 $18^{\circ}C$$25^{\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18^{\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의 작용시간 및 반감기가 현저히 연장되어 있었다. 4) Epinephrine 투여에 의해 뇨량, 사구체여과율 및 전해질 배설량의 증가를 관찰하였으며, 이는 dose-dependent 양상이었다. 그러나, 신장효과의 유의한 차이는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두 군에서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온도증가에 의한 이뇨 및 sodium 배설효과는 혈관이완에 의한 사구체여과율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 효과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던 것은 본 실험에서 가한 좁은 범위의 온도의 변화 내에서는 adrenoceptor의 변형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추론하였다. 그러나 저온에서의 epinephrine의 작용시간의 연장은 아마도 epinephrine의 파괴 효소의 활성도의 감소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arly Detection of Foliar Damage Caused by Ozone Exposure with Thermal Image Analysis (식물체 잎표면의 열화상 분석을 통한 오존 피해 조기 진단)

  • 허재선;이충일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2 no.1
    • /
    • pp.132-136
    • /
    • 1996
  • 오존에 의한 식물체의 가시피해 발현 이전에 나타나는 비가시적 피해를 찾아내기 위하여 적외선 열화상장치(infrared thermography)를 이용하여 하루 8시간씩 0.3 ppm 오존에 노출된 나팔꽃(Ipomoea purpurea)잎표면의 온도분포 변화를 조사하였다. 노출 첫날에는 온도분포의 뚜렷한 변화를 볼 수 없었다. 노출 2일째, 오존 노출 2시간 결과후, 완전히 자란 제3엽의 특정 부분에서 급격한 온도분포 변화를 보였으며, 그로부터 약 4시간 경과 후에 동일 지점에서 최초의 가시적 피해가 발생했다. 급격한 온도분포 변화를 보인 부분과 최초 가시피해가 발생한 부분이 일치한 점은 가시피해 발생과 그 이전의 온도분포 변화가 밀접하게 상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잎표면의 열화상 분석방법을 대기오염원에 의한 식물체의 가시피해 발현 이전에 진행되고 있는 비가시적 반응의 조기진단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생태환경 친화적인 대기 환경관리를 위한 대기오염원은 배출조절용 생체반응기(biosensor)로 이용 가능하겠다.

  • PDF

Prediction of Long-Term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s Exposed to Environmental Factors (환경인자에 노출된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의 장기 층간전단강도 예측)

  • Yoon, Sung Ho;Shi, Ya Long
    • Composites Research
    • /
    • v.30 no.1
    • /
    • pp.71-7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long-term performance using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s exposed to environmental factors. Interlaminar shear specimens, manufactured by the filament winding method, were exposed to the conditions of drying at $50^{\circ}C$, $70^{\circ}C$, and $100^{\circ}C$ and of immersion at $25^{\circ}C$, $50^{\circ}C$, and $70^{\circ}C$ for up to 3000 hour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did not vary significantly with the exposure time for the drying at $50^{\circ}C$ and $70^{\circ}C$, but it increased somewhat for the drying at $100^{\circ}C$ due to the post curing as the exposure time increased.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the specimens exposed to the immersion at $25^{\circ}C$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t the beginning of exposure, but it decreased with the exposure time and the degree of decrease increased as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increased.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s for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s were obtained from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the specimens exposed to the immersion for up to 3000 hours. Using these linear regression equations,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was estimated to be within 5.5% of the measured value at $25^{\circ}C$ and $50^{\circ}C$, and 2.3% of the measured value at $70^{\circ}C$. Therefore, the proposed performance prediction procedures can predict well the long-term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s exposed to environmental factors.

A Review of Temperature Measurement of Fire Driven Flow Using Thermocouple - Measurement Bias (열전대에 의한 화재유동의 온도측정에 관한 검토 - 측정오차)

  • Kim, Sung-Cha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6
    • /
    • pp.98-103
    • /
    • 2010
  • A series of fire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to examine the measurement bias of the bare bead thermocouple widely used in fire testing and analyze the measurement bias of bare bead thermocouple comparing with the measured temperature using the aspirated thermocouple.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bare bead thermocouple was lower than that of the aspirated thermocouple in the hot upper layer while it showed opposite trends in the upper layer. Also, the bare bead thermocouple showed higher measurement bias in the lower layer rather than upper layer in the compartment fire. The maximum relative percentage error of the bare bead thermocouple against the aspirated thermocouple reached 250% in the present study. The present study points out the need of correction process of the measured temperature by bare bead thermocouple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fire tests.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Fire Fighter's Waterproof Clothing Exposed to the Radiation Heat (복사열에 노출된 소방용 방수복의 열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방창훈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7 no.1
    • /
    • pp.21-25
    • /
    • 2003
  • This experimental study shows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fire fighter's waterproof clothing exposed to the radiation heat. From the test result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ire fighter's waterproof clothing exposed to the radiation with the passage of time sharply increased as the exposed-distance became closer. Also as the radiant heat flux increased, the surface temperature is higher and the time reaching steady state is sharply shorter. As the exposed-distance become more distan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ire fighter's waterproof clothing decreased and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 betwee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clothing decreased as well. Besides, the radiant heat flux increased, the safety exposed-distance increa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fire fighter have to work keeping a fixed safe distance from the radiant heat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