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도측정장치

Search Result 90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Device of Nanofluids Using Quasi-Steady State Method (준정상 상태법을 이용한 나노유체의 열전도도 측정장치 개발)

  • Park, Ji-Hun;Kim, Hyun-Jin;Jang, Seok-Pil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636-63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준정상 상태법을 이용한 열전도도 측정장치의 불확실도를 분석하고 측정된 열전도도의 불확실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온도 측정 센서의 정확도와 측정유체의 윗면과 아랫면의 온도 차임을 알아내었다. 특히 온도 측정센서의 정확도가 $0.1^{\circ}C$일 때 측정유체의 윗면과 아랫면의 온도차가 $18^{\circ}C$이상이면 준정상 상태법을 이용한 열전도도 측정장치의 불확실도가 ${\pm}1%$이내로 들어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온도 측정센서가 $0.1^{\circ}C$의 정확도를 가지며 측정유체의 윗면과 아랫면의 온도차가 $18^{\circ}C$이상이 되는 불확실도 ${\pm}1%$을 갖는 준정상 상태법을 이용한 나노유체의 열전도도 측정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실험장치의 검증을 위하여 DI-Water의 열전도도와 $Al_2O_3$ 나노유체의 열전도도를 각각 측정하여 기존 문헌 및 선행 연구자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았고 개발된 장치가 ${\pm}1%$ 이내의 불확실도를 가지고 나노유체의 열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PPG Measurement Devices (PPG 측정 장치에서의 온도 영향에 대한 연구)

  • Kim, Namsub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2 no.3
    • /
    • pp.306-311
    • /
    • 2019
  • This paper presents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ransmission-type and reflection-type PPG measurement devices that have been developed in the previous research. PPG signal can be distorted by external temperature such as skin temperature so that many of research was focused on the skin temperature effect. However, this paper focuses on the temperature of the device itself and we studied on the effect of device internal temperatur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like an irrational function graph and the transmission-type was not affected by the internal temperature but the reflection-type was affected by the internal temperature.

The Development and Analysis for a Heater Operation Test Device of Rain-Snow Gauges (우설량계 히터 동작시험장치 개발 및 특성분석)

  • Hong, Sung-Taek;Shin, Ga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739-1740
    • /
    • 2008
  • 수문관측용으로 사용되는 우설량계는 측정의 편의성과 강인성의 장점 때문에 대부분 전도형 우설량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하절기에는 강우량을 측정하고 동절기에는 강설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절기에 강설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동 히팅하는 장치가 포함되어 있어, 눈이 생성될 수 있는 온도조건에서 히터가 작동되고 적정온도가 되면 히터의 동작을 멈출 수 있도록 히터 및 온도센서가 구성되어 있다. 우설량계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주기적으로 동작상태 등을 점검하고 있으며, 히팅장치도 점검의 대상이다. 그러나 히팅장치의 동작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상시에 우설량계 점검시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가변적인 온도신호에 따라 히터가 제대로 작동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전에 점검하기 용이하도록 우설량계 히터 동작시험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이 장치에 대한 동작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연소진단 용 광대역 코헤런트 반 스톡스 라만 분광기의 제작 및 정확도 분석.

  • Park, Cheol-Ung;Park, Seung-Nam;Han, Jae-Won;Park, Bu-Min;Sin, Hyeon-Dong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7.06a
    • /
    • pp.33-44
    • /
    • 1997
  • 연소상태의 온도를 이동하면서 측정할 수 있는 광대역 코헤런트 반스톡스 라만 분광기를 제작하였다. 분광기의 온도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무모드레이저를 제작하여 스톡스광으로 사용하였다. 이동형 CARS 분광기에 적합하도록 CARS신호 측정용 단색기를 제작하여 분광기 내부에 설치 하였다. CARS 분광기의 온도 측정의 정확도를 알아보려고 흑연관 전기로를 이용하여 표준 복사온도계와 CARS 분광기로 측정한 온도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장치의 온도 정확도는 1000 K - 2400 K 사이의 온도영역에서 2%이내 였다. 무모드 색소레이저의 출력 스펙트럼의 시간에 따른 안정도를 측정하여 온도측정에 미치는 오차를 조사한 결과 1500 K에서 5 시간 동안 1.5 %이내 였다. 평면 화염 버너에서 프로판공기 예혼합 화염의 온도 분포를 측정하여 이 장치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Equipment for Measuring the Adiabatic Temperature Rise of Concrete by Compensating Heat Loss (열손실량 보정을 통한 콘크리트 단열온도상승량 예측 장치)

  • Jin, Eun-Woong;Kim, Chin-Yong;Kim, Jin-Keun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4 no.5
    • /
    • pp.535-542
    • /
    • 2012
  • Adiabatic temperature rise test for predicting heat of hydration in mass concrete is especially inconvenient in the fiel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the equipment to effectively and conveniently measure semi-adiabatic temperature change was developed.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and simple equipment for measuring semi-adiabatic temperature rise by using insulation bottles. In order to predict exact heat loss of concrete using this device, it is required to assume the specific heat loss coefficient of the device by water temperature change inside the experimental device. According to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s, the adiabatic temperature rise does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ir, as well as initial temperature of water. By comparing adiabatic temperature rise tests, the equipment for measuring semi-adiabatic temperature change can be used to predict the hydration heat of concrete within sufficient accuracy.

실리콘 다이오드를 적용한 다채널 중성 입자 분석기 개발

  • Cheon, Se-Min;Jwa, Sang-Beom;Gang, In-Je;Lee, He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11-212
    • /
    • 2011
  • 플라즈마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플라즈마의 온도, 밀도, 에너지 분포등과 같은 플라즈마의 특성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야한다. 핵융합발전에서는 플라즈마를 발생하기 위하여 플라즈마의 온도, 밀도 등 각종 변수들을 시공간적으로 계측, 분석할 수 있는 진달설비를 사용하고 있으며, 정확한 플라즈마 제어와 측정을 위한 새로운 진단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중요한 변수중에 하나인 플라즈마 이온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중성입자 검출법이 잘 알려져 있다. 이 실험은 수소 중성입자가 토카막 내부의 플라즈마 이온과 충돌하면서 생성된 고속 중성입자의 에너지를 분석하는 실험이다. 본 연구의 실험방법은 수소 중성입자를 이온빔 장치에서 이온화 시킨 후 자체 제작한 가속기를 통하여 가속시켜 에너지 특성을 분석을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장치로 에너지 교정용 100 keV 이온빔 소스를 제작 하였고 이온빔 장치 내부에 수소기체를 주입하고 기체방전을 일으켜 플라즈마를 발생시켰다. 이온빔 외부에는 팬을 설치하고 전도성이 강한 물 대신 전도성이 약한 오일을 사용하여 냉각 하였다. 이온빔 장치와 결합될 이온 가속장치는 지름 300 mm, 두께 2 mm의 원형 구리판을 여러층으로 쌓아 전극으로 제작하였고 전극과 전극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과 스파크를 방지하기 위해 전극 둘레에 코로나링을 설치 하였다. 또한 전극 사이마다 1G${\Omega}$의 저항을 설치한 후 고전압을 생성하여 이온 가속 효율을 증대시켰다. 진공시스템으로는 Alcatel사의 CFF100 터보분자 펌프와 우성진공사의 MVP24 진공로타리펌프를 결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진공도측정은 Alcatel사의 ACS1000 장치를 사용하였다. 고진공후 고속 중성입자의 이온화와 에너지 측정을 위한 전하교환기를 설치하였다. 전하교환기로는 진공시스템을 별도로 설치하고 비용이 비교적 많이 드는 기체형 전하교환기 대신 소형화가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좋은 고체형 전하교환기 제작하여 실험 하였다. 전하교환기에서 이온화된 고속 중성입자가 전기장이나 자장에 영향을 받았을때 에너지분포를 디텍터를 통해 측정하였다. 즉, 이온화된 중성입자의 에너지가 실리콘 다이오드를 통해 전압 펄스 신호로 변환되고 이차 증폭기를 통해 전압 펄스 신호들이 증폭한다. 에너지 측정을 위한 디텍터는 소형화가 가능하고 비용이 비교적 적게 드는 실리콘 다이오드를 설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중성입자 에너지 분석 장치가 실제 핵융합 장치의 플라즈마 이온온도와 특성 측정에 적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 개발될 여러 형태의 응용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플라즈마 진단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rmal Stress Measuring System (온도응력 측정용 시험장치의 개발)

  • 전상은;김국한;김진근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3 no.3
    • /
    • pp.228-236
    • /
    • 2001
  • Even though numerous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for the prediction of thermal stresses in mass concrete structures by both analytical and experimental means, the limitations exist for both approaches. In analytical approach, the fundamental limitation is derived from the difficulty of predicting concrete properties such as modulus of elasticity,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etc.. In experimental approach, there are many uncertainties related to in-situ conditions, because a majority of researches have focused on measuring thermal stresses in actual and simulated structures. In this research, an experimental device measuring thermal stresses directly in a laboratory setting is developed. The equipment is located in a temperature chamber that follows the temperature history previously obtained from temperature distribution analysis. Thermal strains are measured continuously by a strain gauge in the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thermal stresses are calculated simply by force equilibrium condition. For the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device, a traditional experiment measuring thermal strains from embedded strain gauges is performed simultaneously. The results show that the thermal strain values measured by the newly developed device agree well with the results from the benchmark experiment.

Outgassing and thermal desorption measurement system for parts of CRT (CRT 부품용 탈가스 및 Thermal Desorption 측정장치 개발)

  • Sin, Yong Hyeon;Hong, Seung Su;Mun, Seong Ju;Seo, Il Hwan;Jeong, Gwang Hwa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6 no.4
    • /
    • pp.298-307
    • /
    • 1997
  • TDS(Thermal Desorption Spectroscopy)system, for diagnosis of CRT manufacturing process,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Outgassings and thermal desorptions from the part or materials of CRT can be measured and analysed with this system at various temperatures. The system is consisted of 3 parts, vacuum chamber and pumping system with variable conductance, sample heating stages & their controller, and outgassing measurement devices, like as ion gauge or quadrupole mass spectrometer. The ultimate pressure of the system was under $1{\times}10^{-7}$ Pa. With the variable conductance system, the effective pumping speed of the chamber could be controlled from sub l/s to 100 l/s. The effective pumping speed values were determined by dynamic flow measurement principle. The temperatures and ramp rate of sample were controlled by tungsten heater and PID controller up to 600℃ within ±1℃ difference to setting value. Ion gauge & QMS were calibrated for quantitative measurements. Some examples of TDS measurement data and application on the CRT process analysis were shown.

  • PDF

Fluid/Particulate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a Continuous Flow Cooking System (연속살균장치에서의 액상/고상 식품간의 대류열전달계수 예측)

  • Choe, J.S.;Hong, J.H.;Koh, H.K.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9 no.2
    • /
    • pp.141-150
    • /
    • 2004
  • 우리가 소비하는 가공 식품은 위생상 안전하도록 살균처리가 이루어진다. 식품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유해 세균은 일정 살균온도에서 살균에 필요한 시간 동안 노출되면 사멸하며, 일반적으로 살균온도가 높을수록 살균에 필요한 시간은 단축된다. 연속살균장치는 혼합 및 저장탱크에 담겨진 식품을 점프로 이동시키면서 가열 열교환기에서 살균온도로 가열하고 단열관을 거치는 동안 살균온도를 유지시켜 살균을 완료한다. 또한 살균된 식품은 냉각용 열교환기에서 상온으로 냉각되며 이 과정에서 회수되는 열은 저장탱크에서 유입되는 식품의 예열에 사용되어 에너지 효율을 제고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관을 이동하면서 가열되는 살균장치는 기존의 배치식 살균방법에 비하여 균일하게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130C의 고온으로 살균할 수 있어서 살균에 필요한 시간을 수초에서 수십초 정도로 단축시킬 수가 있고 그에 따라 열손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온으로 냉각된 식품을 포장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의 포장용기를 사용할 수 있고 상온에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저장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공식품에 고기나 야채와 같은 고체 상태의 식품이 함유된 경우에는 액상 식품이 열 교환기에서 순간 가열되며, 고상 식품은 액상식품과의 대류에 의한 열전달로 가열된다. 이 과정에서 고상식품은 이동관 내벽이나 다른 고상식품과 부딪치거나 회전하면서 이동관 내부에서 자유롭게 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액상식품과의 상대이동 속도가 발생하여 이것이 대류열전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상대이동속도에 따른 대류 열전달계수는 고상식품의 내부온도 결정에 사용되는 연속살균장치의 중요한 설계인자이다. 대류열전달계수는 연속살균장치에서 자유로이 이동하는 고상식품의 중심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결정할 수 있으나 이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정된 고상식품에 액상식품을 이동시켜 상대속도를 재현하고 액상식품의 온도와 고상식품의 중심온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각 상대속도와 액상식품의 점도 별 대류열전달계수를 결정하는 프로그램을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이 장치를 분당 15, 30, 40 리터의 유량에서 유체의 점도를 0에서 15 centipoise 사이의 세 수준에서 정육면체 소고기를 모델 고상식품으로 내부 온도분포를 측정하였으며, 유한차분법 프로그램으로 대류열전달계수를 결정하였다. 대류열전달계수는 792에서 2,107 W/m$^2$로 분석되었다. 대류열전달 계수는 액상식품과의 상대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고, 점도가 증가함에 따라서는 감소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adiative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for a Flash Light (섬광의 복사온도 측정 장치의 설계 및 제작)

  • Jin, Jung-Ho;Han, Seungoh;Yang, Hee Won;Park, Seung-Ma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6 no.1
    • /
    • pp.30-37
    • /
    • 2015
  •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adiative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for a flash light are carried out. Since a massive amount of energy is emitted within a very short time,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a flash with a conventional method. It is also irrelevant to measure one with an optical noncontact method. In this paper, a radiative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ratio of spectral radiances over mid- and long-wavelength infrared (IR)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implemented system utilizes optical bandpass filters to divide the wavelengths within the mid- and long-wavelength IR ranges, and pyroelectric IR detectors to measure the incident optical power of each wavelength-divided channel. It is shown that the measured radiative temperature of a flash is in the range of 1393 to 1455 K. This temperature-measurement system can be utiliz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spectral radiance of a flash as a light source, which is of crucial importance to approaching the modeling and simulation of the various effects of a fla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