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도변화 손실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42초

광섬유 접속부의 환경 변화에 따른 손실변화 연구 (A Study on the Optical Loss Variation of Optical Fiber Splicing Part due to Environment)

  • 유강희;김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49-357
    • /
    • 2007
  • 광섬유 케이블 포설 후 전송특성 변화에 가장 민감한 부분인 광섬유 심선 접속부의 환경변화에 따른 전송 손실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구부림, 온도변화, 물 침투 후의 온도변화와 진동시험 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구부림 시험에서는 구부림 반경이 30mm 이하에서 손실이 급격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30^{\circ}C$에서 $60^{\circ}C$범위의 온도변화에 대하여 최대 0.02dB의 손실 변화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물이 침투한 상태에서는 훨씬 민감한 손실변화 특성을 보였으며 $-40^{\circ}C$에서 $80^{\circ}C$ 사이의 온도변화에 대하여 최대 0.2dB까지 광섬유 접속부의 손실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1mm 정도의 미세한 진동에 대해서는 광 손실의 증가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본 논문의 실험결과는 향후 환경변화에 따른 광섬유 접속부 손실의 변화를 제거하기 위한 광 케이블 접속함 설계에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컨버터용 압전 변압기의 온도 특성 해석 (Analysis of Thermal Characteristics of Piezoelectric Transformer for Converter by Finite Element Method)

  • 주현우;정현교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
    • /
    • pp.753-756
    • /
    • 2004
  • 최근 전자 부품으로써 널리 사용되는 압전 변압기근 고전계 구동시 야기되는 압전체의 기계적인 진동 손실 및 유전 손실에 의해 높은 온도 상승이 초래된다. 이는 압전 변압기의 동작 특성 변화를 일으키며 결국 안전 변압기의 공진 주파수의 변화 및 효율의 감소 등 비선형성의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압전 변압기의 공진 특성을 해석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압전 변압기의 기계저인 진동 손실 및 유전 손실을 계산하였다. 또한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3차원 열전달 방정식의 해석을 이용하여 암전 변압기의 온도 분포를 해석하였으며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 PDF

소성조건에 따른 MHz 대역의 Mn-Zn ferrite 전력손실 특성 (The Power Loss Characteristics of Mn-Zn Ferrites at MHz Region with Sintering Condition)

  • 서정주;송병무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2권6호
    • /
    • pp.26-31
    • /
    • 2003
  • 소성온도를 $1150∼1320 ^{\circ}C$ 영역에서 변화시킨 결과 1MHz-25mT조건에서 전력손실의 절대값이 감소하였으며, 전력손실의 온도의 존성이 소성온도에 따라 다르게 관찰되었다 $1150 ^{\circ}C$에서 소성한 경우 전력손실의 최소가 나타나는 온도가 자기이방성 상수가 "0"이 되는 특정 온도에서 나타나지 않고 측정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원인은 1MHz 대역에서는 grain size에 따라 residual loss가 발생기구가 상이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1150^{\circ}C$ 소성시 서로 다른 평형산소분압을 이용하여 분위기를 조정한 결과 산소분압이 증가됨에 따라 grain size 와 밀도가 미소하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비저항과 투자율은 115$0^{\circ}C$ 소성시 평형산소분압에 따라 특정한 경향성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Fe^{2+}$ 농도 변화이외에 미세구조의 변화를 동반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평형산소분압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된 시편의 경우 $100^{\circ}C$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손실값을 나타내었다.서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손실값을 나타내었다.

PSIM을 이용한 전력 반도체 소자의 개선된 손실추정

  • 강태환;유지윤;이광운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12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손실을 추정하고, 추정된 손실로부터 열 등가 회로를 만들어 PSIM 소프트 웨어를 통해 인버터의 열 해석 시스템을 구축하고, 손실 및 온도 변화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손실 및 온도를 측정 하여, 시뮬레이션을 검증하였다. 또한 수식으로서 계산되는 손실 값과 비교하여 제안된 손실 추정 방법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 PDF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값을 고려한 전력기기의 열해석 (Thermal Analysis of Power Apparatus Considering Resistance on Temperature Variation)

  • 김승욱;한성진;김중경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767-769
    • /
    • 2002
  • 최근 초고압 전력기기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전용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열해석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고압전력기기인 GIS(Gas Insulated Switchgear)의 모선에 대한 열해석을 다루었다. 해석방법은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온도상승을 예측하였다. 유한요소법은 3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을 요소로서 채용할 수 있으므로 3상 모선과 같이 복잡한 형상도 표현할 수 있다. 열전달계수는 형상, 유동조건, 유체의 종류를 고려한 상관식을 이용하여 해석적으로 정확히 계산하였다. 열해석에 있어 자계해석을 통한 도체 및 탱크의 손실값산정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 손실값이 온도상승의 원인이 되므로 정확히 계산하여야 한다. 손실의 원인이 되는 도체 및 탱크의 저항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비선형으로 변화하는데, 이것을 고려하여 반복적으로 계산함으로서 해석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실제 모델에 대한 온도상숭 실험치와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해석한 계산치와의 비교를 통해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값을 고려한 전력기기의 열해석 (Thermal Analysis of Power Apparatus Considering Resistance on Temperature Variation)

  • 김승욱;한성진;김중경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52-54
    • /
    • 2002
  • 최근 초고압 전력기기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전용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열해석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고압전력기기인 GIS(Gas Insulated Switchgear)의 모선에 대한 열해석을 다루었다. 해석방법은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온도상승을 예측하였다. 유한요소법은 3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을 요소로서 채용할 수 있으므로 3상 모선과 같이 복잡한 형상도 표현할 수 있다. 열전달계수는 형상, 유동조건, 유체의 종류를 고려한 상관식을 이용하여 해석적으로 정확히 계산하였다. 열해석에 있어 자계해석을 통한 도체 및 탱크의 손실값 산정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 손실값이 온도상승의 원인이 되므로 정확히 계산하여야 한다. 손실의 원인이 되는 도체 및 탱크의 저항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비선형으로 변화하는데, 이것을 고려하여 반복적으로 계산함으로서 해석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실제 모델에 대한 온도상승 실험치와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해석한 계산치와의 비교를 통해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온도 안정성 저손실 LTCC 제조 (Fabrication of Temperature Stable LTCC with tow Loss)

  • 김용철;이경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81-184
    • /
    • 2003
  • ZnwO₄는 높은 품질계수에 의해 주파수 선택성이 뛰어나지만 다층형태의 고주파 무선부품으로의 응용을 위해서는 높은 소결온도(1100℃), 큰 음의 공진주파수 온도계수(-70ppm/℃), 낮은 유전율(15.5) 둥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ZnwO₄에 TiO₂ 및 LiF를 첨가하여 ZnwO₄의 저손실특성을 유지하면서 주파수 온도안정성 및 저온소결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큰 양의 공진주파수 온도계수(+400ppm/℃) 및 유전율(100)을 갖는 TiO₂의 첨가는 공진주파수 온도계수를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화시켰으며 유전율의 증가를 가져왔다. TiO₂를 20 mol% 첨가한 경우 공진주파수 온도 계수가 0에 가깜고 유전율 19.4에 품질계수 50000㎓의 특성을 얻을 수 있었으나 소결온도는 1100℃로 높은 소결온도를 보였다. ZnwO₄에 TiO₂가 첨가된 혼합체에 LiF의 첨가는 액상형성에 의해 소결온도를 1100℃에서 850℃로 크게 저하시킬 수 있었다. LiF는 첨가는 LiF 자체의 큰 공진주파수 온도계수에 의해 온도계수를 음의 값으로 변화시켰다. 따라서 TiO₂ 및 LiF의 적당량의 첨가는 온도 안정성을 갖는 저손실 ZnwO₄-TiO₂-LiF계 LTCC 소재를 제조할 수 있었다.

  • PDF

YIG 페라이트 소재에 대한 아이솔레이터 설계 및 분석 (Isolator Design and Analysis as a Function of YIG Ferrite Material Properties)

  • 전동석;이홍열;고경석;김동영;이상석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8권6호통권84호
    • /
    • pp.41-48
    • /
    • 2003
  • 본 논문은 아이솔레이터의 소재 파라미터에 의한 삽입손실 영향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페리자성공명반치폭($\Delta$Η), 유전손실, 자계세기 그리고 포화자화에 대한 아이솔레이터 삽입손실의 관계를 알아 보았고, 또한 공진 아래 모드를 사용한 아이솔레이터의 온도안정화 연구 및 구조설계에 대하여알아 보았다. 아이솔레이터의 온도특성은 영구자석, YIG(Yttium Iron Garnet) 페라이트 그리고 공진기로사용되는 도체 등에 의한 변화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는 실험시제품을 제작하여 측정 분석하였다. 측정결과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험시제품 측정결과가 거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삽입손실 0.18~0.24dB, 반사손실 27dB, 아이솔레이션 27dB 그리고 대역폭 500MHz를 얻을 수 있었다. 이때 실험에 사용한 소재 파라미터는 포화자화 550G, 유전손실, $0.0004\Delta$Η20, 유전율 14로 하였다. 또한 온도안정화실험에서는 구조를 개선하여 온도안정화를 이루었다.

삼각핀에 대한 핀끝의 영향 (The Effect of Fin Tip on the Triangular Fin)

  • 강형석
    • 산업기술연구
    • /
    • 제13권
    • /
    • pp.81-87
    • /
    • 1993
  • 핀끝이 절연 되었을 때와 절연되지 않았을 때의 두가지 경우에 대하여 삼각핀을 2차원적으로 해석하고 또한 삼각핀 끝의 온도를 단지 유한하다고 놓았을 때 이를 1차원적으로 해석하여 각각의 세가지 경우에 대한 핀으로 부터의 열손실과 핀중심을 따른 온도변화를 Biot number와 무차원적인 핀의 길이의 변화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구체적으로 삼각핀에 대한 핀끝의 영향을 보여준다.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핀의 길이가 아주 짧을 경우 2차원적으로 해석한 핀끝이 절연되지 않았을 때의 열손실에 대한 같은 2차원적으로 해석한 핀끝이 절연 되었을 대의 열손실의 상대오차가 매우 크며 핀의 길이를 따른 무차원적인 온도변화는 1차원적으로 해석한 핀끝의 온도가 유한할 경우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며 2차원적으로 해석한 핀끝이 절연되었을 경우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다.

  • PDF

자동적응 벡터 제어를 이용한 군속도 지연선로의 고정 위상 제어기 설계 (Design of Fixed Phase Control Circuit of Group Delay Line using Adaptive Vector Control)

  • 정용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376-1385
    • /
    • 2000
  • 본 논문은 Feedforward 선형화기에서 온도영향으루 인한 군속도 지연선로의 위상 변화를 벡터 결합이론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상온에서의 군속도 지연선로의 신호 전달특성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기 위해, 온도에 따른 군속도 지연선로의 신호에 온도변화에 대해 자동 적응적으로 변하는 보정신호를 인가하여 온도변화에도 항상 일정한 신호특성을 얻도록 하였다. 이 전송선로에 10 ㏈의 동작신호 레벨 변화와 +/-$10^{\circ}$의 위상 변화에 대해 880 MHz 및 1-tone 신호는 0.06 ㏈의 삽입 손실 변화와 0.36$^{\circ}$의 위상이내에서 위상이 변했고, 877 MHz 및 882 MHz인 2-tone 신호에 대해 0.07 ㏈의 삽입손실변화와 0.35$^{\circ}$의 위상이내에서 위상이 변하는 특성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