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픈액세스 전환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6초

정기구독제 학술지에서 오픈액세스 학술지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ipping Subscription Journals to Open Access)

  • 신은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5-53
    • /
    • 2016
  • 현재 정기구독제에서 오픈액세스 학술지로 전환을 시도하거나 이를 점점 더 강화하는 국내외 출판사가 많다. 이러한 전환은 정기구독제 학술지를 오픈액세스 학술지로 바꾸는 것이 오픈액세스 학술지를 새로이 창간하는 것보다 유리하다고 판단한 출판사에 의하여 주도되고 있다. 이 연구는 오픈액세스 학술지로의 전환이 나타나게 된 배경과 최근 동향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이러한 출판 모형의 전환은 과학과 의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었고, 학회, 대학, 기관 등 비영리 기관뿐 아니라 상업적인 출판사도 이를 적극 추진하고 있었다. 2015년 현재 정기구독제에서 오픈액세스 학술지로 전환한 97종을 분석한 결과, 전환후 출판 논문수가 증가한 학술지는 69%였다. 전환후 새롭게 영향력지수를 득하였거나 영향력지수 순위가 상승한 학술지는 92%에 달하였다. 이 연구는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전환을 위하여 학회, 연구후원기관, 대학이 각자 담당하여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를 제안하였다.

한국기록관리학회지의 오픈액세스 출판 전환 과정 기록 (A Recording of the Transition Process to the Open Access Publishing in JKSARM)

  • 정경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5-227
    • /
    • 2020
  • 이 논문은 한국기록관리학회지를 오픈액세스 학술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상용DB업체와 학회, 공공DB운영기관 사이에서 벌어진 저작권을 중심으로 한 갈등과 업체와 도서관 사이의 학술DB 가격에 대한 갈등문제를 설명하였다. 또한 최근 국내의 문헌정보학 분야와 인문사회분야 학회들의 오픈액세스 선언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한국기록관리학회지를 오픈액세스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부딪힌 출판비 문제, 논문 유통의 문제, 학술지 출판과 관련한 제도의 변경 등 학술지 출판사로서 실무적인 사안들을 처리한 방법과 과정을 기록하고 문제점들도 드러내고자 했다. 또한 이 논문은 기록관리학회지의 오픈액세스 전환을 학술논문의 지식커먼즈를 실현하려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한국연구재단 오픈액세스 정책 실행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s of Implementation for the NRF Open Access Policy)

  • 정경희;이재윤;정은경;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55-286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오픈액세스 2021(안)'에 대한 실행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APC 지원규모와 방법 및 절차, 국내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전환 지원,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에 논문을 기탁하는 방안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실행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APC는 합리적인 수준에서 지원되어야 하며 그 상한액을 설정하기 위하여 매년도 이전 3년간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한 논문의 APC 평균값이나 중위값을 적용한다. 또한 APC는 오픈액세스 학술지와 오픈액세스전환약정 학술지에 논문을 출판하는 경우 지원하고 하이브리드 학술지나 이중접근 학술지에는 지원하지 않는다. 둘째, 국내 학술지 오픈액세스 출판전환을 위하여 과도기에는 KJCI에 CCL 적용을 등록한 오픈액세스 학술지와 오픈액세스 출판 전환의향서를 제출한 학술지에 대하여 지원사업 신청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하이브리드 학술지와 이중접근 학술지 및 구독학술지에 출판한 경우 원문기탁과 동시에 엠바고 등 저작권 사항을 보고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연구재단이 국내 학술지 출판환경과 국제적인 학술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부합하는 오픈액세스 정책을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실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해외 인문사회과학 학술지 오픈액세스 전환 동향 연구 (The Current State of Foreign Transition to Open Access Journal Publishing in the Field of HSS)

  • 이재윤;정경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01-326
    • /
    • 2020
  • 본 논문은 국내 인문사회과학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전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최근 해외에서 전개되고 있는 오픈액세스 학술지 전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자가 주도한 Ling OA와 UP, 도서관이 주도한 OLH와 KU, 출판사가 주도한 S2O모델, 기금기관과 도서관이 협력하는 L+F모델 사례를 분석하고 국가지원 사업 사례로서 노르웨이 연구위원회와 교육연구부, 캐나다 인문사회과학연구위원회, 오스트리아 과학재단, 스위스 인문사회과학 아카데미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인문사회과학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전환을 위하여 다음을 제안하였다. 1) 오픈액세스 출판전환 지원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하며, 2) 국가, 대학, 도서관, 학회 등 학술커뮤니케이션 모든 주체가 참여하되 오픈액세스 출판비용 부담의 핵심주체는 연구기금지원기관과 도서관이어야 하며, 3) 초기 단계에서는 국가차원의 비용지원이 이루어져야하며, 4) 오픈액세스 학술지 구독을 위한 대학도서관 협의체 및 국가정보서비스 기관들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이 구성되어야 하며, 5) 비영리 출판유통 플랫폼이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한다.

오픈액세스 수입원 분석을 통한 국내 학술지의 성향 연구 (An Analysis of Income Models for Open Access in Korean Scholarly Journals)

  • 정경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37-154
    • /
    • 2010
  • 본 연구는 오픈액세스 출판을 위한 수입원들이 국내의 무료 오픈액세스 학술지와 유료 원문 학술지에서 어떻게 도입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무료 오픈액세스 학술지와 유료 원문 학술지 간에 분명한 차이는 없었으며, 오히려 유료 원문서비스 학술지에서 오픈액세스 학술지 모델의 특성이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논문처리비용을 저자측에 요구하고 있었으며, 연구비 수혜논문에 대한 추가 게재료를 부과하고, 외부기관으로부터 지원금을 받는 경우도 무료 오픈액세스 학술지보다 더 많았다. 이것은 국내의 유료 원문 학술지가 무료 오픈액세스로 전환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 문헌정보학 및 기록학 분야 학술지 오픈액세스 출판 전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Converting Journals to Open Acces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Archival Science in Korea)

  • 정경희;이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271-291
    • /
    • 2023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단체의 오픈액세스출판 선언'에 참여한 7개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전환 현황과 효과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출판 전환을 위한 로드맵'에 제시된 요소를 근거로 현황을 파악하고 2개 학술지의 인용률을 분석하였다. 드러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부 학술지는 CCL을 적용하지 않거나 KJCI에 이를 정확히 등록하지 못하고 있었고 7개 학술지 모두 DOAJ에 등록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전환 이후 새롭게 사용한 학술지 플랫폼에 과월호를 모두 등록하지 못한 학술지가 많았다. 셋째, 저자부담 논문출판비는 부분적으로 인상된 경향이 있고 편집간사 인건비도 인상된 경향이 있다. 넷째, 전환 이후 인용지수는 두 학술지 모두 이전 4~5년 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는 장단기적인 실무 문제를 학회 공동으로 해결하면서 규모의 경제를 살릴 수 있도록 학술지를 공동으로 출판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또 한 번 로드맵을 개발해야한다고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