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Search Result 108,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Framework for efficient development of embedded software in open source hardware (오픈소스 하드웨어에서 효율적인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 Kang, Kiwook;Lee, Jeonghwan;Hong, Jiman
    • Smart Media Journal
    • /
    • v.5 no.4
    • /
    • pp.49-56
    • /
    • 2016
  • Various sensor devices has been developed as the wireless Internet and IoT technology are widely used. Recently, open source hardware has evolved for providing various services in IoT environments. However, in comparison to the development of the open source hardware,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s missing. In order to solve such a phenomen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ftware framework for the embedded software development in open source hardware. The proposed framework provides a fast and intuitive development environment by using the visual programming language and providing fast feedbacks to developers. In addition, we discus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roposed scheme based on the implement on a real board.

Standard for Java Open Source Framework 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Documentation (자바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문서 표준안)

  • Jeon, Hye-Young;Rhew, Sung-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328-331
    • /
    • 2007
  • 자바 프로그램언어를 이용한 개발이 많아지면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도 많이 배포되고 있다. 오픈 된 자바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는 특정 부분에서 사용하는 기능을 개발한 것도 있지만 개발환경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개발자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하나이상의 프레임워크를 선정하여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설계하게 되는데 각 프레임워크의 역할은 모든 프로그램이 동일하지는 않다. 그래서 프레임워크간의 관계 및 역할 등의 정보가 문서화가 이루어져서 개발자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오픈 소스는 빈번하게 업그레이드되어 변화하는 프레임워크 정보를 이해하지 못하면 매우 혼란스럽게 된다. 본 연구는 자바 오픈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려고 할 때 프레임워크의 정보 관리 및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설계 후 작성해야 하는 문서의 표준안을 제시한다. 이는 개발자는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표준화된 문서로 배포하면 사용자는 그 문서를 활용하여 소프트웨어의 구조 뿐 아니라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의 역할과 환경정보를 빠르게 이해하고 향후 효과적인 유지보수를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

Kochat: Korean Goal-oriented Chatbot Framework (Kochat: 한국어 목적지향 챗봇 프레임워크)

  • Ko, Hyunwoong;Park, Kyub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596-599
    • /
    • 2021
  • 목적지향 챗봇은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을 자동화하기 위해 우리의 삶에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목적지향 챗봇은 보통 많은 모듈이 연결된 파이프라인의 형태로 구현되기 때문에 기계학습 초보자 혹은 비전문가가 직접 구현하기에는 어려운 편이다. 때문에 모든 모듈을 직접 구현하기보다는 유료 챗봇 빌더나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통해 구현된다. 현재 영어는 몇 가지 오픈소스가 존재하지만 한국어는 관련 오픈소스가 전무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전용 오픈소스 목적지향 챗봇 프레임워크인 Kochat 을 제안한다. 사용자는 Kochat 을 이용하여 약 20~30 줄의 코드만으로 손쉽게 자신만의 목적지향 챗봇을 학습 및 배포할 수 있다. 모든 소스코드와 문서는 https://github.com/hyunwoongko/kochat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추가로 논문의 말미에 후속 연구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ocker Container based User Customized CCTV Service (도커 컨테이너 기반 사용자 맞춤형 CCTV 서비스 설계 및 구현)

  • Yeom, Sungwoong;Kwon, Taeyong;Kim, Kyu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136-138
    • /
    • 2018
  • 최근 네트워크 서비스의 발달과 카메라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다양한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특정구역을 모니터링 하는 CCTV 서비스의 경우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오픈소스 CCTV 플랫폼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카메라를 사용하는 사용자 맞춤형 CC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도커 컨테이너 가반 CCTV 서비스 관리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오픈소스 CCTV 플랫폼들을 도커 컨테이너 기반으로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해당 관리 서버에 접근하기 위한 Restful API를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 카메라는 RSTP 기반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오픈소스 CCTV 플랫폼에 제공함으로써 스트리밍 서비스의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riving adoption strategies of deep learning open source framework through case studies (딥러닝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의 사례연구를 통한 도입 전략 도출)

  • Choi, Eunjoo;Lee, Junyeong;Han, Ingoo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6 no.4
    • /
    • pp.27-65
    • /
    • 2020
  • Many companies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make public their own developed AI technology, for example, Google's TensorFlow, Facebook's PyTorch, Microsoft's CNTK. By releasing deep learning open source software to the public, the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er community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ecosystem can be strengthened, and users can perform experiment,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it. Accordingly, the field of machine learning is growing rapidly, and developers are using and reproducing various learning algorithms in each field. Although various analysis of open source software has been made, there is a lack of studies to help develop or use deep learning open source software in the industry. This study thus attempts to derive a strategy for adopting the framework through case studies of a deep learning open source framework. Based on the technology-organization-environment (TOE) framework and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the adoption of open source software, we employed the case study framework that includes technological factors as perceived relative advantage, perceived compatibility, perceived complexity, and perceived trialability, organizational factors as management support and knowledge & expertise,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availability of technology skills and services, and platform long term viability. We conducted a case study analysis of three companies' adoption cases (two cases of success and one case of failure) and revealed that seven out of eight TOE factors and several factors regarding company, team and resource are significant for the adoption of deep learning open source framework. By organizing the case study analysis results, we provided five important success factors for adopting deep learning framework: the knowledge and expertise of developers in the team, hardware (GPU) environment, data enterprise cooperation system, deep learning framework platform, deep learning framework work tool service. In order for an organization to successfully adopt a deep learning open source framework, at the stage of using the framework, first, the hardware (GPU) environment for AI R&D group must support the knowledge and expertise of the developers in the team.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use of deep learning frameworks by research developers through collecting and managing data inside and outside the company with a data enterprise cooperation system. Third, deep learning research expertise must be supplemented through cooperation with researchers from academic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Satisfying three procedures in the stage of using the deep learning framework, companies will increase the number of deep learning research developers, the ability to use the deep learning framework, and the support of GPU resource. In the proliferation stage of the deep learning framework, fourth, a company makes the deep learning framework platform that improves the research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rs, for example, the optimization of the hardware (GPU) environment automatically. Fifth, the deep learning framework tool service team complements the developers' expertise through sharing th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ep learning open source framework community to the in-house community and activating developer retraining and seminars. To implement the identified five success factors, a step-by-step enterprise procedure for adoption of the deep learning framework was proposed: defining the project problem, confirming whether the deep learning methodology is the right method, confirming whether the deep learning framework is the right tool, using the deep learning framework by the enterprise, spreading the framework of the enterprise. The first three steps (i.e. defining the project problem, confirming whether the deep learning methodology is the right method, and confirming whether the deep learning framework is the right tool) are pre-considerations to adopt a deep learning open source framework. After the three pre-considerations steps are clear, next two steps (i.e. using the deep learning framework by the enterprise and spreading the framework of the enterprise) can be processed. In the fourth step, the knowledge and expertise of developers in the team are important in addition to hardware (GPU) environment and data enterprise cooperation system. In final step, five important factors are realized for a successful adoption of the deep learning open source framework. This study provides strategic implications for companies adopting or using deep learning framework according to the needs of each industry and business.

A Study of Broadleaf Open Source Commerce Swift based on Spring Framework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의 오픈소스 커머스 스위프트 브로드리프 분석)

  • Lee, Se-Hoon;Ahn, Tae-Woo;Jung, J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213-21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웹 개발에 있어 확장성 높은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의 오픈소스 커머스 스위프트인 브로드리프 커머스(broadleaf commerce)를 기반으로 한 전자 상거래 웹 사이트 구축의 국내 동향과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만들어진 웹 사이트를 벤치마킹 하고 브로드리프 커머스의 특징과 장점들을 분석하여 어떤 전자상거래 웹을 만들어야 할지 그 방향을 제시한다.

  • PDF

Automatic Test Method of Web Applications by Struts2 Frameworks (스츠럿츠2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웹 어플리케이션의 테스트 자동화 방법)

  • Lee, Chun-Hee;Pack, Suck-Chun;Kim, S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987-989
    • /
    • 2013
  • 최근 많은 웹 어플리케이션은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개발되면서 개발환경과 개발방법이 표준화 되어 개발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운영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의 비용은 줄어들고 있지 않다. 하지만 테스트를 자동화 하면 시스템을 수정할 때 좀더 안전하게 수정하고 또한 수정하는 부분이 시스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인 Struts2를 이용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의 테스트 자동화 방법을 제안한다.

The Framework of Realistic Fabric Rendering Based on Measurement (실측 기반의 사실적 옷감 렌더링 프레임워크)

  • Nam, Hyeongil;Sim, Kyudong;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192-195
    • /
    • 2020
  • 실제 원단의 소재를 반영한 렌더링은 의류 디자인 단계에서 완성된 옷을 미리 파악하는 좋은 수단 증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기반의 원단 렌더링 방법과 실제 원단 재질을 측정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실측으로부터 렌더링까지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옷감의 재질을 측정하고 렌더링 하는 방법은 두 과정에서 공통된 특정을 파라미터화하여 측정하고 렌더링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렌더링 방법으로 Ray-Tracing이 가능하고 적절한 컴퓨팅 성능을 사용하면서 최적의 렌더링 결과를 얻을 수 있는 nvidia의 오픈소스인 visRTX를 사용하였다. 또한 원단 재질 측정 장치로 렌더링에 반영되는 파라미터인 고해상도 diffuse map과 normal map을 측정하여 렌더링에 반영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원단 재질을 측정하고 렌더링하는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옷을 디자인하연서 확인할 수 있는 실사 렌더링 결과물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의상 디자인 업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f Chatbot Implementation and SNS Linkage using Google Open Source Chatbot Framework (Google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챗봇 구현 및 SNS 연동 연구)

  • Sung, Yeol-Woo;Park, Daeseung;Kim, Cheong-G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402-404
    • /
    • 2021
  •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일상에서 인공지능 기반 챗봇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챗봇 기술이 발전하면서, 챗봇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챗봇 프레임워크가 등장하였다. Google 의 Dialogflow 는 최소한의 코딩으로 챗봇을 설계하고, 생성하기 위한 오픈소스 챗봇 프레임워크로 Facebook Messenger, Telegram, Slack 등 여러 메신저 플랫폼과 연동이 된다. 본 논문은 Dialogflow 를 이용한 프로토타입 챗봇 구현을 통하여 Dialogflow 의 특징인 Dialog(대화)의 Flow(흐름)를 만들기만 하면 이를 통해 챗봇을 만들어 지는 용이성 검증을 시행하였다.

Design of Open Framework Extended Module for ASP Software Development (ASP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오픈 프레임워크 확장 모듈 설계)

  • Kwon, Young-Oh;Lee, S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8.06a
    • /
    • pp.91-98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오픈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ASP를 개발하는데 적합하도록 향상된 ASP 개발 전용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시스템은 MVC 개발 방법론과 쿼리 및 ASP정보를 XML로서 관리하도록 만들어진 프레임워크로서 고객의 요구 사항에 빠르게 대응하는 유연성과 개발자로서는 이미 만들어진 템플릿 소스를 상속받아 구현되어지는 기본 모델과 개발방법만 신경 쓰도록 하여 개발속도의 향상과 시스템의 무결성을 강화시키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기존에 개발하는 방식들에 비해 향상된 개발 속도와 모델 소스의 양이 기존에 비해 29% 정도만의 라인수를 가졌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