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픈공개강좌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iSchool 대학의 발전, 교육 및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Growth,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Trends of iSchools)

  • 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69-38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 iSchool Caucus(iCaucus) 결성 이후 현재 전 세계 16개국 52개 대학으로 확산된 iSchool 운동의 발전과 이로 인한 문헌정보학 분야의 교육 및 연구 변화를 조사하고 미래의 문헌정보학 교육 및 연구 동향을 전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iSchool 대학 중 ALA 인증을 받은 21개 대학을 King(2006)이 제시한 iSchool 대학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그룹의 시대별 발전형태 및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2012년부터 북미를 중심으로 급속히 전파되고 있는 오픈공개강좌교육(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의 iSchool 교육과정에의 적용사례를 통해 향후 문헌정보학 교육에 MOOCs의 파급 가능성에 대해 진단해보고자 하였다.

온라인 공개 강좌 MOOC의 현황 분석 및 개선안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for Massive Open Online Courses)

  • 배예선;전우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005-3012
    • /
    • 2014
  •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s) 열풍이 불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MOOC는 온라인상에서 누구나 수강할 수 있게 공개된 강의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도 KERIS(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와 각 대학을 중심으로 많은 강의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MOOC의 현황과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MOOC의 정의와 역사, 국내외 현황을 소개한다. 또한 개선안으로서 대학의 적극적인 참여와 캠퍼스 가치 창출, MOOC 기관의 수익모델 개발과 수료율 향상,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의 개발과 우수 강사 확보, 강의 번역 등의 과제와 함께 최종적으로는 MOOC가 제공하는 인증 시스템의 질 확보 문제 등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온라인 대중공개강좌(MOOC)를 위한 도서관 지원 서비스 모델 연구 (A Study on Library Engagement and Models for Support of MOOC)

  • 손태익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93-308
    • /
    • 2016
  • 전 세계 수많은 대학들이 오프라인 강의를 MOOC 형태로 제작하여 온라인에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의 움직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해외 대학도서관들은 자신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통해 국외 문헌정보학 저널들에 게재된 MOOC 관련 논문들을 선정 분석하고 기존 연구의 한계와 도서관 분야의 MOOC 지원 서비스 항목들을 도출하여 향후 국내 도서관 MOOC 지원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어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4년 동안의 해외 문헌정보학 저널에 게재된 연구 논문 348편 중 최종 34편을 관련 논문으로 선정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 관련 MOOC 연구(24편)와, 문헌정보학 교육 관련 MOOC 연구(10편)로 나누어 요약 정리하였으며, 주요 MOOC 지원 서비스는 크게 5개 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첫 번째 MOOC 강의 디자인 단계의 저작권 처리 및 컨설팅, 콘텐츠 라이센스, 오픈 콘텐츠 홍보 및 안내 서비스와 두 번째 강의 제작 단계에서 강의 제작 및 편집 지원과 자체 사서 MOOC 콘텐츠 제작, 세 번째, 강의 운영 단계에서 강의 운영 자료 및 학습 안내 자료 제작과 수강생 지원 서비스, 네 번째로 강의 평가 단계의 강의 관련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강의 운영 평가 서비스가 있으며 다섯 번째로 강의 재사용 단계에서 강의 콘텐츠 메타데이터 작성 및 아카이브 구축이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 도서관의 MOOC 지원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 추후 MOOC 관련 연구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