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프라인 학습

Search Result 331, Processing Time 0.02 seconds

Effects of cooperative Blended learning in secondary science instruction (중학교 과학 수업의 온.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효과)

  • Kim, Sung-Wan;Kwon, So-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249-252
    • /
    • 2011
  •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 수업의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과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의 수행에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중학교 1학년 과학 내용 중에서 연구 단원을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 'K'중학교 1학년 학생들 중에서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와 학습태도 검사에 의해 동질집단으로 확인된 2개 학습 79명이다. 연구대상 중 1개 학습 40명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의 실험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기존의 면대면 협동학습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변화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Ver.12.0을 이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하였고, 학습태도는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의 결과 첫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실험집단이 면대면 협동학습 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도의 하위 영역 중 기억 영역에 그 효과성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학습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첫째,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료 수집, 분석, 정리 단계에서 정보의 공유를 통해 적극적으로 학습을 유도하였다고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이 면대면 협동학습보다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학습태도에 효과적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 따라서 학습자의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교수 학습방법을 다각화하고 교과와 학습목표에 맞는 적절한 학습방법의 지속적 활용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Secondary Science Teachers' PCK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Specific to the Learning Environment in an Online-offline Mixed Learning Environment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중등과학교사의 학습환경 특이적인 PCK 요소 및 하위요소)

  • Jisu, Kim;Aeran, Choi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6 no.6
    • /
    • pp.472-49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CK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that are specific to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nvironment.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survey, class observation, and individual interviews of twelve science teachers. This study used a theoretical framework of PCK for deductive data analysis and articulated codes and themes through the following inductive analysis. Data analysis revealed that each of PCK components showed different specificity to the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subcomponents of each PCK componen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the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nvironment. Teaching orientation toward science had a specific orientation for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e., 'learning science concept' and 'lecture centered instruction.' Knowledge of the science curriculum had online-offline mixed learning environment specific knowledge, i.e.,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specific knowledge, i.e., 'development of learning goal' and 'science curricular materials.'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strategies ha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specific knowledge, i.e., 'topic-specific strategy', 'subject-specific strategy', and 'interaction strategy' and COVID-19 offline learning environment specific knowledge, i.e., 'topic-specific strategy' and 'interaction strategy'. Knowledge of student science understanding ha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specific knowledge, i.e., 'student preconception', 'student learning difficulty', 'student motivation and interest', and 'student diversity' and COVID-19 offline learning environment specific knowledge, i.e., student learning difficulty'. Knowledge of science assessment had online-offline mixed learning environment specific knowledge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specific knowledge, i.e., assessment contents and assessment methods for each.

Design of Learning Model and System Based on Blended-Learning (Blended-Leaming 기반 학습 모형 및 시스템 설계)

  • 진선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59-261
    • /
    • 2004
  • 정보통신 공학의 발전과 급속한 사회변화의 가속화는 e-Learning이라는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게 되었다. 사이버공간에서의 e-Learning의 많은 장점들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거대한 시장성이 확보되고 있는 실정이나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사이버 시대에 걸맞는 교육시스템으로는 오프라인 교육과정 중심, 일회성 교육중심에서 온, 오프라인이 통합되는 총체적인 학습 촉진 시스템의 설계방법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학습을 오프라인 상의 어떤 활동으로 연계시켜 온라인 상에서 발생하는 학습의 불완성을 극복하고 보완할 수 있는 통합적 대안으로 blended-learning을 기반으로 한 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학습을 지원해 줄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Internet Cyber Learning System based on the XML (XML 기반의 인터넷 사이버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조정현;김승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77-579
    • /
    • 2001
  •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교육의 형태가 오프라인 서비스에서 온라인 학습 서비스로 확장되어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인터넷에서의 교육이 하나의 교육의 형태로 자리 잡게 되었다. 사이버 학습을 통한 교육은 방대한 학습 자료를 학습자의 학습정도나 일정에 맞는 맞춤형태의 서비스가 중요하다. 이러한 학습 컨텐츠 기반의 인터넷 사이버 학습은 기존치 오프라인에서 사용한 컨텐츠를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온라인에서 제공하는 것이 큰 관건이 되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XML을 이용하여 기존의 인터넷 가상학습을 XML을 기반으로 하여 오프라인에서의 컨텐츠를 온라인에 적용하여 학습자에 학습 환경을 보다 폭 널게 제공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 정도를 유지하고 파악할 수 있게 학습자의 학습 현황정보를 유지하여 맞춤형 사이버학습을 구현하였다.

  • PDF

How the Quality of On-line Contents Influence Learning Attitudes: Effectiveness of Conducting Off-line Lectures at a Cyber University (콘텐츠 품질이 학습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대학에서 오프라인 강의 병행에 대한 효과-)

  • Rhie, Jinny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0
    • /
    • pp.492-499
    • /
    • 2009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know how influential the acknowledgment of factors such as the quality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conducting of off-line lectures is in terms of effective learning for leaners. Based on the satisfaction-importance model of the multi-attribute attitude model, this study would like to clarify the degree to which the quality of on-line contents of on-line education and the simultaneous conducting of off-line lectures influences one's learning attitude. On-line contents satisfaction will evaluated through the three categories: audio lectures, video lecture and WEI lectures, which make up the quality of on-line contents. We would also like to do a survey on the transformation of learning attitudes when on-line and off-line lecture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Effect of Design & Business Content Class on the Improvements of Learning Attitude for Corporate Learning Program (디자인과 경영 콘텐츠학습 태도를 기반으로 한 기업 경영자 교육의 효과 연구)

  • Cho, Youn-Hyung;Lee, Sang-H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5 no.2
    • /
    • pp.155-165
    • /
    • 2014
  •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posals and the verifica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mprovements of corporate manager's learning attitude for enterprises productivity and managerial effectiveness, the learner's familiarity and personal character strengths that are classified as positive psychology-based theory. For this study, researchers design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AMOS analysis. And researchers conducted the interviews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below. First, both online and offline classes were identified as the learner's character strengths affect the positive effect to the learner's familiarity strengths. Second, the learner's familiarity affects the positive effect to improvements of learning attitude. And the last, the learner's character strengths and improvements of learning attitude are not significant effect each other, therefore researcher could be found that the role of mediating variables of the learner's familiarity strengths. In this study, researchers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arity strengths and improving the learning attitudes needed for a desirable curriculum development considering the learners' personality factor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an ideal course of study when educator design a curriculum and contribute to a successful communication strategy.

Examples of online-based math and science learning mentoring : KAIST Science Outreach Program (온라인을 통한 수학, 과학 학습멘토링 운영 사례 : KAIST Science Outreach Program)

  • Kim, Youngmin;Kim, Seong-Won;Ryu,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35-636
    • /
    • 2020
  • 이 논문은 KAIST 교육기부 프로그램인 KAIST Science Outreach Program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학, 과학 온라인 학습멘토링 운영 사례 공유를 통해 온라인 학습멘토링 운영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하는 소외계층 학생들의 교육격차와 양극화 해소를 위해 기존에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던 학습멘토링을 격주로 수학, 과학 학습 과제를 제시하고, 채점 및 피드백 해주는 방법으로 진행되며, 실시간 화상멘토링과 온라인 질의응답을 지원하고 있어, 현재의 오프라인 학습멘토링이 어려운 상황과 기존의 오프라인 학습멘토링이 갖고 있는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어 참가 학생 및 학부모들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 PDF

Comparison of Autonomous Learning Effectiveness between Cyber Study and Off-line Learning (사이버학습과 인쇄 매체 학습의 자율적 학습 효과성 비교)

  • Han, Jung-Yoon;Kim, Hyun-B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7 no.4
    • /
    • pp.507-51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autonomous learning between on-line cyber learning using Internet media and off-line learning using printed media. In this study, each group is provided with the same learning contents and the same learning conditions. For autonomous learning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n-line cyber learning being not as effective as off-line learning.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cyber learning the negative aspects have been identified. These findings will help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A Study on Efficiency of e-learning Education in University (대학 내 e-learning을 통한 학습의 지식전달 효율성에 대한 연구)

  • 정정회;김영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4.06a
    • /
    • pp.41-46
    • /
    • 2004
  • e-learning을 통한 교육은 이제 대학 내뿐 만 아니라 중ㆍ고등학교나 기업체 등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교육비의 과대지출로 중ㆍ고등학교에서의 e-learning을 통한 교육은 이제 교육사업에 커다란 부분을 차지해 갈 것이 분명한 사실이다. 기업체 또한 기업 내 인력양성을 위한 모든 교육을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는 e-learning을 통한 교육으로의 전환이 이미 많이 이루어졌고 앞으로 더욱 많아지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사교육이나 기업 내 추가적인 인력양성 교육에서의 e-learning의 도입을 통한 교육의 성과보다는 대학 내 e-learning을 통한 교육이 일반 대학생들이 오프라인 수업의 보조학습이 아닌 대체학습으로서 과연 대학 내 대표적인 e-learning 수업진행을 맡고 있는 OCU를 기본모델로 현재 e-learning을 통한 OCU수업을 듣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학습에 얼마나 많은 이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오프라인에서의 수업과 e-learning을 통한 수업의 이해도와 만족도에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실증분석 해 보려 한다. 이 결과로 앞으로 대학 내 e-learning을 통한 학습에 문제점이 있다면 분석하여 오프라인의 보조학습이 아닌 대체학습으로 나아가는데 지식전달의 효율성 측면에서 나아갈 방안에 대해서 연구해 보려 한다.

  • PDF

Development of mobile, online/offline-linked math learning content to promote group creativity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모바일, 온/오프라인 연계 수학 학습 콘텐츠 개발)

  • Kim, Bumi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5 no.1
    • /
    • pp.39-60
    • /
    • 2022
  • In this study, in order to support the expression of group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we developed mathematics learning contents linked with mobile and online/offline that obtai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function within a limited range. This learning content was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e 'environment', a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 We explored the concept of group creativity in school mathematics. Its manifestation process, elements of group creativity expression process, and mobile and on/offline implementation functions were also explored. Then, we developed a hybrid app, 'Making the Best Box that Thinks of the Earth', which can express group creativity through mobile and online/offline-linked cooperative learning.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and a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 were also developed to efficiently operate mobile and online/offline-linked math learning using the app in schools. Our study found that the hybrid app, 'Creating the Best Box that Thinks of the Earth', was suitable for promoting collective fluency and collective sophistication based on complementary-metacognitive inte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