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프라인교육

Search Result 36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fficient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s System using IRT and Data Mining (IRT와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효과적인 평가 및 추천시스템)

  • Kim Cheon-Shik;Jung Myung-H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4 s.42
    • /
    • pp.109-117
    • /
    • 2006
  • E-learning method has many advantages that supplement the shortfalls of offline education. For this reason, today's offline educational institutions adopted the online education technique to improve learning effectiveness. Recently, general universities have partially adopted online learning. As a result, a study is searching for way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copying the merits of the existing offline education onto the online education. Thus a proper evaluation of learners and a feedback provision are considered necessar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odel that will improve learning efficiency by adapting the advantages of offline education to online learning. To evaluate properly, this study conducted Item Response Test to examine the learners and finally ensure them an adequate level of education. Also, this study suggested a way to enhance learning efficiency by finding out each learner's study habits and to address the weaknesses of online learning. It is expected that the suggested method would be helpful in bettering learner's ability to study in school environment.

  • PDF

Development of Interactive e-Learning Authoring Tool for Computational Engineering (인터랙티브 계산공학 이러닝 콘텐츠 저작도구 개발)

  • Shin, jung-hun;Ryu, gi-myeong;Jang, cheol-hoon;Lee, sik;Cho, ku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13-414
    • /
    • 2017
  • 계산공학 분야는 복잡한 수치이론과 계산 실행 및 분석 툴의 중요성이 높기 때문에 온오프라인 모두에서 효과적인 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힘든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저작도구와 EDISON 플랫폼을 두축으로 효과적인 웹기반 이러닝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특징으로는 웹기반이지만 데스크탑에서 오프라인으로 동영상/발표자료/외부링크 등의 이종 콘텐츠들을 조합하여 강의를 구성할 수 있는 저작도구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계산과학공학 플랫폼인 EDISON의 계산실행 포틀릿을 활용하여 인터랙티브 실습교육 환경을 구성하였다는 것이다. 본 이러닝 시스템은 대학 및 현장에서의 즉각적인 이론습득 및 실습 요구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and Online/Offline Food Hygiene Education Comparative Analysis of Rice Cake Producer in Korea (한국 떡류 영업자의 영업 특성 및 온·오프라인 식품위생교육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Hyeong Kook;Kim, Ji Yeo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0 no.4
    • /
    • pp.343-349
    • /
    • 2015
  • A study survey about the rice cake producers completing the food hygiene education in Korea was investigated by characteristics of the rice cake busin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online and offline awareness of food hygiene education were compared. The average age of rice cake producers is 50 (40.1%), with a high school education (52.6%), 10-20 years of service (34.3%)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In relation to sales and work area, workshop personnel are engaged in two (79.5%), An area of less than $99.17m^2$ (92.0%), rent (60.2%) with most paying a monthly rental amount of less than 1 million won (54.8%). There were 228 accident cases in three years (an annual average of 2.4%), manufacturing, Processing the item number was less than 20 types of analysis (86.7%). Case of food hygiene education graduates are women,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was preferred online. Online education was chosen because of 'time, economic, convenience'(73.7%). Online graduates have recognized that health education is more conducive to busin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ales online and offline graduates. For hygienic management response was that online graduates are well above the 7.4% offline graduates. Online and offline graduates 60.7% appeared to be more satisfied than the previous training institutions.

Offline University and Cyber University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오프라인대학교와 사이버대학교의 상담학과 관련 커리큘럼 현황 분석)

  • Yun, Suk-Ju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7 no.3
    • /
    • pp.93-10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a of counseling-related departments in 35 offline colleges and 20 cyber colleges to analyze improvement points and development directions. Curriculum was analyzed with educational goals, open subjects, practice, and opera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rms 'professional counselor, psychologist, and professional counselor' were used the most frequently in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department using the term 'counseling'. In the subjects, the most frequently opened courses were in the first year in counseling basics, in the second year in counseling theory and technique, in the third in psychological evaluation, in the second in statistics and research, and in the fourth in counseling practice.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counseling process and interview technique are operated in the lower grades, and counseling practice, supervision, counseling practice and case study, and domestic and foreign internships were mostly operated in the fourth grade. Based on the above, we will discuss the improvement point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urriculum of departments that use the term 'consultation' in offline and online universities.

Impact of custom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value and revisit intention: Focusing on offline home appliance stores (고객체험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전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 Hosun Jeong;Jungmin Park;Hyoung-Yong Lee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4
    • /
    • pp.395-413
    • /
    • 2023
  • This research studied the effect of custom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in offline home appliance stores on perceived value and revisit intention. Among the offline distribution of home appliances with more than 100 stores nationwide, two home appliance retailers (HiMart, E-Land), three hypermarkets (E-Mart, Homeplus, Lotte Hi-Mart), and two home appliance stores (LG Best Shop, Samsung Digital Plaza)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en and women in their 20s or older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ho had visited and purchased the home appliance store within the last 6 months. As a result of the survey,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30 samples using the PLS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PSS statistical package.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can be obtained. First, educational experience, deviant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functional value. However, entertainment experience did not affect functional value. Second, educational experience, deviant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all had a positive (+) effect on emotional value. Third, both functional and sensory value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revisit inten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brand loyalty had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functional value and sensory value revisit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perceived value (functional value, sensory value), and revisit intention. This result provides guidelines on what activities home appliance offline stores should do at a time when online channels threaten the survival of offline channels.

Design of A Blended Learning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Efficient Use of WiKi WEB-based Debate System (Wiki 웹토론 시스템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교수학습모형 설계)

  • Woo, Kyung-Hee;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359-364
    • /
    • 2007
  • Wiki 웹토론 시스템의 목적은 지식을 공유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토론을 활성화시키는 데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가정의 컴퓨터 보급률이라든지 인터넷 사용 등의 제반환경여건에 따라 원활한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면대면 현장학습뿐만 아니라 온라인 환경과 기술요소에 따른 다양한 학습활동들이 필요하다. 블렌디드 러닝 (Blended Learning)이란 적합한 시간에 적합한 사람에게 적합한 기술을 개인에 적합한 학습스타일에 맞추기 위해 적합한 학습관련의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학습목표 성취에 초점을 두는 학습형태이다. 블렌디드 러닝에 있어서 학습은 지속적인 과정이며 오프라인학습공간과 결합하여 학습의 장을 넓히는 것이다. 학습자의 관심을 끌어내어 교육의 효과성을 극대화하며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과정실행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혼합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블렌디드 러닝 교수학습모형은 Wiki 웹토론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수 있게 하였다. 본 모형의 특징은 첫째, 토론에 앞서 오프라인 학습으로 학습목표확인과 수업안내를 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목표인지와 수업의 흐름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토론 후 교사의 강의가 오프라인 학습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학생들에게 배운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보다 충실한 수업이 될 수 있었다. 셋째, 토론 후 학습자-교사자 및 학습자 상호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for Virtual Educ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using the XML (인터넷 기반의 XML을 이용한 가상교육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 Cho, Jeong-Hyun;Kim, S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439-1442
    • /
    • 2001
  • 가상교육은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인터넷에서의 교육이 하나의 교육의 형태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인터넷을 통한 가상교육은 방대한 학습 자료를 학습자의 학습정도나 일정에 맞는 맞춤형태의 서비스가 중요하다. 이러한 학습 컨텐츠 기반의 인터넷 가상 학습은 기존의 오프라인에서 사용한 컨텐츠를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온라인에서 제공하는 것이 큰 관건이 되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XML 을 이용하여 기존의 인터넷 학습을 XML 을 기반으로 하여 오프라인에서의 컨텐츠를 온라인에 적응하여 학생들에게 학습 환경을 보다 폭 넓게 제공하였다. 또한 학생 개인의 학습 정도를 유지 할 수 있게 각 학생의 학습 현황정보를 관리해 주는 맞춤형 가상교육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Blend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of Web Community-based for Self Directed Learning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 강화를 위한 웹 기반 온.오프라인 연계 협력 학습활동 시스템 적용)

  • Cho, Jae-Wan;Kim, Eun-Ky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231-243
    • /
    • 2006
  • 웹 커뮤니티 기반 온 오프라인 연계 자기주도 학습모형은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면대면 교육방식이 갖고 있던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 및 상호작용성의 한계를 극복하려던 e-Learning의 노력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e-Learning 교육 방식에 전통적인 면대면 교육방식이 갖고 있는 교육적 장점을 결합,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학습전략-소위 Blended Learning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교실이라는 제한된 범위를 넘어 다른 지역, 다른 학습자끼리 공동 관심사항에 대해 각기 자료를 검색하고, 취합하여 결과물을 공유하는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많은 사람들과의 연계를 통해 지기주도적 상호작용을 활성화한다는 점 이외에도 전문가 집단의 도움을 쉽게 받을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환경과 문화에 대해 통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Open Survey System for Teacher and Learner to Support independence LMS on Web-Based (웹 기반의 독립적 LMS 를 지원하는 교수-학습자를 위한 개방형 설문 시스템)

  • Kim, Jin-Hwan;Kim, Dong-Won;Kan, Jin-Suk;Jang, Sa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001-1004
    • /
    • 2005
  • 인터넷을 통한 정보화의 영향으로 교육 방법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교수자와 학습자간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졌던 교육이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게 되었고, 양질의 원격 교육을 실천하려는 노력 과정에서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는 많은 발전을 하게 되었다[3]. 하지만 잘 개발된 LMS 라 할 지라도 온라인 교육에서는 오프라인 교육과 같이 교수자와 학습자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상호 의견 수렴이 어렵다[4].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MS 기능에 확장성과 이식성을 갖는 설문 시스템을 추가 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고자 한다. 또한 강의 점검, 교수전략 수립, 연구, 정책수립 및 사업추진을 위한 각종 조사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설문 조사 시스템은 오픈 소스로 전국 대학 및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무상 배포 중이며 그 활용을 검증 중이다[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