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차확산법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177 seconds

An Improved K-menas Algorithm Quantization Error in Clusters (클러스터 양자화 에러를 고려한 개선된 K-means 알고리즘)

  • 유성필;권동진;곽내정;박원배;송영준;안재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257-262
    • /
    • 2002
  • 영상을 적은 비트로 표현할 때 먼저 양자화를 이용하여 칼라맵을 생성한다. 그리고 적은 비트의 칼라맵으로도 인간의 시각에 적합하게 표현하기 위해 디더링을 결합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더링 기법중 오차확산법이 주변화소로 양자화 에러를 확산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칼라맵을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LBG 알고리즘의 개선하여 클러스터의 양자화 벡터를 구하는 각각의 반복단계에서 현재 양자화 벡터와 새로운 중심값(centroid)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서 새로운 양자화벡터를 구하는 기존의 알고리즘에 에러를 고려하여 새로운 양자화 벡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기존의 LBG 알고리즘에 비해 양자화 영상과 디더영상의 화질이 개선되었다. 또한 각 칼라별 MSE 와 영상전체 MSE 에 대해서도 제안방법은 기존의 LBG 알고리즘에 대해 개선되었다.

  • PDF

Embedding Method of Secret Data using Error-Diffusion (오차 확산법을 이용한 기밀 데이터 합성법)

  • 박영란;이혜주;박지환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2 no.2
    • /
    • pp.155-165
    • /
    • 1999
  • Because the encrypted data is random, there is a possibility of threat that attacker reveals the secret data. On the other hand, as the image steganogrphy is to embed the secret data into cover image and to transmit the embedded image to receiver, an attacker could not know the existence of secret data even though he/she sees the embedded image, therefore the sender may reduce the threat of attack. In the image steganography, the secret data is embedded by modifying value of pixels as a form of noise. If the secret data is embedded into gray image, the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results from the modifications of image due to noise. Therefore many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embed the secret data while dethering the gray image, but the existing method using error-diffusion has a problem that any patterns such as a diagonal lines or vertical take place due to embedding the secret data at the fixed interval.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improve the existing method, we proposed the new method that embeds the secret data at changed point with respect to 1's run-length or at the position where has the minimum difference with the original dithered value.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by computer simulation.

  • PDF

Development of 3-Dimensional Puff Model for Pollutant Transport Modeling (오염물질의 이송${\cdot}$확산 모의를 위한 3차원 퍼프모형의 개발)

  • Kim, Young Do;Seo, Il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537-542
    • /
    • 2004
  • 오염물질의 이송${\cdot}$확산 과정을 해석하기 위하여 계산효율이 높은 3차원 퍼프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퍼프모형은 추적방법에 따라 전방추적모형과 후방추적모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추적방법은 계산효율과 수치오차에 있어서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전방추적 퍼프모형은 일정한 시간간격을 가지므로 정상상태의 연속오염원의 경우에 각각의 퍼프들이 동일한 질량을 갖는다. 그러므로 전방추적 퍼프 모형은 각 퍼프들간의 중첩정도가 일정하지 않다. 이에 관한 오차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무차원 퍼프중첩계수를 정의하였다. 퍼프중첩계수란 퍼프의 크기에 대하여 퍼프중심간의 거리가 떨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무차원수로서 너무 작은 경우에는 정확도가 떨어지고 너무 큰 경우에는 계산효율이 감소한다. 전방 추적 퍼프모형의 경우, 중첩계수가 작은 초기구간에는 정확도가 떨어지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첩계수가 필요이상으로 증가하여 계산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일정한 중첩정도를 갖는 후방추적 퍼프모형의 경우에는 전 영역에 걸쳐서 정확도와 계산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정한 시간간격 마다 농도장을 계산하고자 할 때, 전방추적법은 단 한번의 전체계산을 통하여 수행가능하지만 후방추적법의 경우에는 매 출력시간마다 초기시점까지 반복해서 계산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경계처리에 있어서 입자추적모형과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는 퍼프모형은 폐경계에서는 입자추적모형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지만 개경계에서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오염원이 임의의 공간적 분포를 갖는 경우, 퍼프모형은 입자추적모형보다는 적은 수의 퍼프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따른 경계면에서의 수치오차를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퍼프모형을 검증하고 장${\cdot}$단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흐름이 일정한 경우와 전단흐름의 경우에 대하여 이송${\cdot}$확산 수치모의를 수행하였으면, 이를 각각의 경우의 해석해 결과와 비교${\cdot}$분석하였다. 후방추적 퍼프모형은 전방추적 퍼프모형에 비하여 사용된 퍼프수와 관계없이 작은 오차를 발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퍼프 모형이 입자모형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계산을 통해서도 작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aussian 분포를 갖는 퍼프모형은 전단흐름에서의 긴 유선형 농도분포를 모의할 수 없었고, 이에 관한 오차는 전단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흐름영역에서 장${\cdot}$단점 분석 및 오차해석을 수행한 후에 각각의 Lagrangian 모형의 장점만을 갖는 모형결합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Mass Error in the Simulation of Mixing of Instantaneously Released Pollutants (순간 유입된 오염물질의 혼합 모의 시 질량 오차 산정)

  • Lee, Myung Eun;Seo, Il W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5B
    • /
    • pp.475-483
    • /
    • 2008
  • 2D finite element model for analysis of transport of accidentally released pollutants in the flow was developed by SUPG method, and the mass balance of this model was checked though two example problems: line source and point source problem in the straight channel and unidirectional 2D flow field, respectively. All the test cases were simulated with both SUPG and conventional Galerkin method to compare the accuraccy of the numerical mass balance. Test results show that the model with SUPG can adequately conserve the released mass though simulation than the model using Galerkin method, so the developed model verified to be appropriate to solve this accidental mass release problem.

The Error Diffusion Halftoning Using Local Adaptive Sharpening Control (국부 적응 샤프닝 조절을 사용한 오차확산 해프토닝)

  • 곽내정;양운모;윤태승;안재형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4
    • /
    • pp.87-92
    • /
    • 2004
  • Digital halftoning is to quantize a grayscale image to binary image. The error diffusion halftoning generates high quality bilevel image. But that also has some defects such as warms effect, sharpening and etc. To reduce these defects, Kite proposed the modified threshold modulation that has a parameter to control sharpening. Nevertheless some degradation left near edges with large luminance change. In this paver, we propose a method to control the parameter in proportional to local edge magnitude. The results of computer simulation show more reductions of the sharpening in the halftone image. Especially there are great improvement of quality near edges with large luminance change.

Estimations of Moisture Profiles during Wood Drying Using an Unsteady-State Diffusion Model (I) - Numerical Solution - (비정상(非定常) 상태(狀態)의 확산(擴散) 모델을 이용한 수분경사(水分傾斜)의 예측(豫測) (I) - 수치해석(數値解析) -)

  • Park, Jung-Hwan;Smith, William B.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4 no.2
    • /
    • pp.36-41
    • /
    • 1996
  • 목재(木材)의 건조과정(乾燥過程) 중에 발생하는 목재 내부의 수분경사(水分傾斜)를 예측하기 위해 비정상상태(非定常狀態)의 확산(擴散)모델을 지배방정식(支配方程式)으로 적용하였으며, 목재 표면에서의 증발저항(蒸發抵抗)과 내부의 대칭적 수분분포를 경계조건(境界條件)으로 채택하였다. 주어진 경계조건에서의 지배방정식에 대한 일반해(一般解)가 무한수열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한차분법(有限差分法)을 이용하여 수치해석(數値解析)하였으며, 유한차분법(有限差分法) 중 오차범위(誤差範圍)가 안정한 상태인 Crank-Nicolson Scheme 알고리즘을 채택하였다.

  • PDF

Source term estimation using least squares method in a radiological emergency (원자력 비상시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선원항의 추정)

  • Jeong, Hyo-Joon;Kim, Eun-Han;Suh, Kyung-Suk;Hwang, Won-Tae;Han, Moon-Hee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29 no.3
    • /
    • pp.157-163
    • /
    • 2004
  • Atmospheric dispersion modelling has been widely used to predict the fate and transport of radioactive or toxic materials released from nuclear facilities which is an unlikely accidental event. To improve the forecasting performance of the dispersion model, it is required that source rate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must be defined appropriately. Generally, source term of the radioactive materials is much uncertain at the early phase of an accidental event. In this study, we computed the source rate with the experimental field data monitored at the Yeoung-Kwang nuclear site and obtained the optimal source rate to minimize the errors between the measured concentrations and the computed ones by the Gaussian plume model. Computed source term showed a good result within 24% of the artificially released source rate.

A Study on Data Embedding Using Reduction For Color Image (칼라영상의 감색처리를 이용한 정보삽입에 관한 연구)

  • Park, Ki-Soo;Lee, Mi-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865-868
    • /
    • 2002
  • 본 논문은 암호화 및 정보보호를 위한 방법으로, 영상에 정보를 삽입하는 영상 심층암호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방법들이 가지고 있는 삽입 가능한 데이터 량의 제한과 영상변환의 오차, 화질의 감소 등에 대한 개선 방안의 하나로 제안하고 있다. 특히,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칼라영상을 대상으로 256 칼라의 한정색 영상으로 감색처리를 하면서 동시에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은 삽입할 정보의 비트패턴에 대해 가변적으로 처리를 하므로 보나 다양한 정보에 적합한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 삽입으로 야기되는 화질을 보존하기 위해 주변화소 값을 이용한 오차확산법을 사용하여 화질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었다.

  • PDF

Edge-Enhanced Error Diffusion Halftoning using Local mean and Spatial Activity (국부 평균과 공간 활성도를 이용한 에지 강조 오차확산법)

  • Kwak Nae-Joung;Kwon Dong-Jin;Kim Young-Gil;Ahn Jae-Hye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3B no.2 s.105
    • /
    • pp.77-82
    • /
    • 2006
  • Digital halftoning is the technique to obtain a bilevel-toned image from continuous-toned image. Among halftoning methods, the error diffusion method gives better subjective quality than other halftoning ones. But it also makes edges of objects blurred. To overcome the defect, we proposes the modified error diffusion to enhance the edges using the property that human vision perceives the local average luminance and doesn't perceive a little variation of the spatial variation. The proposed method computes a spatialactivity,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a pixel luminance and the average of its $3{\times}3$ neighborhood pixels' Iuminance weighted according to the spatial positioning. The system also usesof edge enhancement (IEE), which is computed from the normalized spatial activitymultiplied by the average luminance. The IEE is added to the quantizer's input pixel and feeds into the halftoning quantizer. The quantizer produces the halftone image having the enhanced edge. The compute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duces clearer bilevel-toned images than conventional methodsand the edge of objects is preserved well. Also the performance of the preposed method is improve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by measuring the edge correlation and the local average accordance at some ranges of viewing distance.

A Study on Temperature Measurements of Droplet Diffusion Flame using a Two Color Method (이색법을 이용한 액적 확산 화염의 온도 측정에 관한 연구)

  • Lee, Jong-Won;Kim, Youn-Kyu;Park, Seul-Hy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1 no.4
    • /
    • pp.20-25
    • /
    • 2017
  • In the present stud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droplet diffusion flames was predicted from the measurements of radiative emissions of soot particles formed. In order to predic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the radiative emissions from soot particles filtered at both 700 nm and 900 nm were measured using CCD cameras and local emission distributions within the flame deconvoluted with Abel transformation were plugged into a two color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 that the two color method as tool for temperature measurements is feasible but can introduce approximately 2% maturement errors in a deconvolution process depending on intervals for the line of sight. The estimated error in temperature measurements was found to be within 18 K at 2000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