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차범위

Search Result 2,03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cision of Error Tolerance in Weighted Array by Hybrid Method of Monte-Carlo Simulation and Deterministic Simulation (Monte-Carlo Simulation 과 Deterministic Simulation의 합성적 방법에 의한 배열소자 가중치에 따른 오차의 규정)

  • Choi Choelmin;Lee Yongbeum;Kim Hyeongdo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33-33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Monte-Carlo simulation과 deterministic simulation을 합성한 방법으로 특성허용 패턴을 만족하는 개별소자의 오차범위를 가중치에 따라 차별적으로 규정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계적인 방법은 불규칙한 특성을 갖는 랜덤오차를 정규분포를 갖는 랜덤변수로 모델링을 하여 허용 패턴으로부터 오차의 범위를 규정하는데, 이렇게 구해진 범위는 개별소자의 가중치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인 특성을 나타낸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deterministic simulation을 통해서 얻어진 오차의 범위는 가중치에 따라서 상대적인 범위를 결정할 수 있지만 해석 하고자하는 배열소자의 개수에 따라서 계산량이 지수승으로 증가하는 단점이 있어 10개 이상의 소자를 갖는 배열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본 논문에서는 Monte-Carlo simulation과 deterministic simulation의 합성적 방법을 사용해서 배열소자의 증가에 따른 계산량의 증가를 줄이면서 각 가충치에 따라 상대적인 개별오차의 허용범위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규정된 오차의 범위를 간단한 모의 실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 PDF

항해기기별 오차범위 관한 연구

  • Gwon, Dong-Guk;Kim, Eun-Bi;An, Su-Bon;Im, Seong-Muk;Bae, Seong-Eun;Bae, In;Jang, Jeong-Chan;Im, J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61-63
    • /
    • 2020
  • 선박에서 사용되는 Compass, 전파전자항해기기 및 기타 항해기기에 대한 오차범위를 조사 및 연구.

  • PDF

로봇을 이용한 진동납땜 시스템 개발

  • 박종오;남도현;윤갑영
    • Journal of the KSME
    • /
    • v.30 no.1
    • /
    • pp.22-28
    • /
    • 1990
  • 로봇을 이용한 납땜자동화 시스템은 현재 산업계에서의 수요가 크게 일고 있다. 기존납땜 로봇 시스템은 느린 납땜 속도와 제한된 납땜 공구 기능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의 확산을 저해하고 있다. 여기서는 로봇에 맞는 자동납땜용 공구 시스템 (robotonomic tool system)이 개발되었다. 우선 그 특징으로서 진동납땜 공정을 개발하였으며 평균 25%의 생산속도 향상을 기하였다. 일 정범위에서의 위치 오차 보정기능을 가지고 있다. 위치 오차는 납땜점 오차와 가압력 오차를 초래하며 이는 납땜 품질의 신뢰도를 저하시킨다. 여기서 핀 오차 보정 및 납땜 가압력 최적화 공정을 추가한 유연성이 향상된 자동납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는 정밀 자동납땜 로봇 시스 템으로 그 응용범위를 확장시켰다.

  • PDF

The Accuracy Analysis of SIV(Surface Image Velocimetry) Associated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상관계수에 따른 표면영상유속계의 정확도 분석)

  • Joo, Yong-Woo;Kim, Seo-Jun;Yu, Kwoon-Kyu;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94-1897
    • /
    • 2009
  • 최근 개발된 표면영상유속계(Surface Image Velocimetry)를 이용한 유량측정기법은 비교적 짧은 시간에 급변하는 홍수량을 정확도를 유지하면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표면영상유속계는 현장 상황과 사용 방법에 따라 측정된 유속값의 오차가 얼마나 발생하는지에 대한 근거가 없으며, 그 오차 범위가 명확하게 제시된 바가 없기 때문에 표면영상유속계의 신뢰성에 대해 의구심을 갖는 경우가 많다. 표면영상유속계의 유속측정 원리는 일정 시간간격을 갖는 두 영상내의 입자군 이동을 추적하여 유속벡터를 산정하는 것이다. 즉, 두 영상의 탐색 영역(searching area)내에서 각 입자군의 상관계수를 계산하여 최대상관계수를 갖는 입자군을 동일 입자군으로 판별하고, 동일 입자군의 도심간 거리와 두 영상의 시간간격을 이용하여 유속을 구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관계수가 높을수록 유속값이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관계수에 따른 유속측정 오차를 분석하여 상관계수에 따른 표면영상유속계의 오차범위를 결정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활차의 속도와 영상분석을 통해 얻은 속도를 비교하여 상관계수에 따른 오차범위를 살펴보았고, 실제 적용을 위하여 개수로내의 표면유속를 측정하여 상관계수에 따른 오차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관계수가 0.7 이상인 측정유속의 정확도는 10% 이내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표면영상 유속계를 이용한 유속측정시 상관계수별 오차범위를 이용하여 현장적용시 정확도 개선을 위해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Error Tolerance in Sonar Array by the Genetic Algorithm (유전자 알고리즘에 의한 소나 배열 소자의 허용오차 분석)

  • 양수화;김형동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6
    • /
    • pp.496-504
    • /
    • 2003
  • In this paper, the error tolerance of each array element to ensure a given specified error level for the array pattern is analyzed using the Genetic Algorithm. In the conventional deterministic method for synthesis of sonar way problems the computational resource required in the simulation grows rapidly as the number of way elements increases. To alleviate this numerical inefficiency, the Monte-Carlo method may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echnique for array synthes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method to the synthesis of array patterns because of its relatively lower accuracy in spite of moderate computational complexity. A new analysis method for estimating error tolerances in sonar arrays is Proposed since the Genetic Algorithm has significant promise to efficiently solve way synthesis problems. Through several numerical tests in linear and planar array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provide accurate results for error tolerances of sonar arrays.

Error Estimation about Selectivity of Approximate Range Queries in Multi-Dimensional Histogram (다차원 히스토그램에서 범위 질의의 선택도에 대한 오차 추정)

  • 정지훈;홍석진;배진욱;안성준;송병호;이석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11-213
    • /
    • 2001
  • 히스토그램은 질의 최적화글 위해 사용되는 튿-계 정또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방대한 데이타에 대한 범위 질의의 선택도 추정 방법의 하나로 사용되기도 한다. 히스토그램을 통한 범위 질의의 선택도 추정 결과는 항상 오차를 포함한다. 따라서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선택도에 대한 오차를 추정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추정된 선택도의 오차 추정에 대한 기존 방법은 1차원 히스토그램만을 고려하여 하나의 애트리뷰트의 값에 따라 빈도의 분포를 반영하므로 애트리뷰트가 많은 다차원 히스토그램에 바로 적용시키는데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추정된 선택도에 대한 오차 추정 기법들을 다차원에 적용할 수 있게 확장한 M-Max, M-Sum 기법을 제안하고, 두 기법을 합친 하이브리드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M-Sum 기법과 하이브리드 기법이 M-Max 기법보다 정확한 오차 추정 기법임을 보이고, 또한 작은 기억 공간에서도 두 기법이 오차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함을 보인다.

  • PDF

Maximum Error Reduction for Fixed-width Modified Booth Multipliers Based on Error Bound Analysis (오차범위 분석을 통한 고정길이 modified Booth 곱셈기의 최대오차 감소)

  • Cho, Kyung-Ju;Chung, Jin-Gy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2 no.10 s.340
    • /
    • pp.29-34
    • /
    • 2005
  • The maximum quantization error has serious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fixed-width multipliers that receive W-bit inputs and produce W-bit product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rror bound of fixed-width modified Booth multipliers. Then, the estimation method for the number of additional columns for fixed-width multipliers is proposed to limit the maximum quantization error within a desired bound.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our methodology can be extended to reduced-width multipliers. By simulation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error analysis method is useful to the practical design of fixed-width modified Booth multipliers.

The Error Estimation of Radial Contact Force with a Split Shaft Device for Lip Seals (스플릿트축장치를 이용한 립실의 접촉력 측정 오차 평가)

  • 김완두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12 no.4
    • /
    • pp.13-17
    • /
    • 1996
  • 립실의 중요 설계 변수인 접촉력의 측정에는 스플릿트축장치가 흔히 사용된다. 축과 립실의 간섭량은 두 개 스플릿트축의 간격으로서 조절된다. 두 축을 초기 위치로부터 측정하고자 하는 임의 위치로 이동시킬 때 정확한 원을 이루지 못해 측정되는 접촉력은 오차를 포함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작은 간섭량 범위 내에서 접촉력을 이론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수식을 유도하고 측정 오차 값을 예측하였다. 측정된 립실의 접촉력은 측정 간섭량이 초기간섭량과 일치하는 경우 외에는 항상 오차를 포함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오차는 작은 간섭량 범위 내에서 립실의 재료 특성이나 형상에 무관하며, 10% 이내의 측정 오차 유지를 위해서는 측정 간섭량이 초기 간섭량의 68%에서 187% 범위 내에 들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Decision of Error Tolerance in Sonar Array by the Monte-Carlo Method (Monte-Carlo 방법에 의한 소나배열 소자의 허용오차 규정)

  • 김형동;이용범;이준영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3
    • /
    • pp.221-229
    • /
    • 2002
  • In thin paper, error tolerance of each array element which satisfies error tolerance of beam pattern is decided by using the Monte-Carlo method. Conventional deterministic method decides the error tolerance of each element from the acceptance pattern by testing all cases, but this method is not suitable for the analysis of large number of array elements because the computation resources increase exponentially as the number of array elements increases. To alleviate this problem, we applied new algorithm which reduces the increment of calculation time increased by the number of the array elements. We have validates the determined error tolerance region through several simulation.

Quantification of error in polarimetric variables of rain radar and improvement of accuracy of radar rainfall (강우레이더의 편파변수 오차 정량화와 레이더 강우량 정확도 향상)

  • Yoon, Jungsoo;Hwang, Seokhwan;Kang, Narae;Oh, Byunghwa;Lee, Jeo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09-209
    • /
    • 2018
  • 국토교통부는 대하천에서의 홍수 감시를 위해 전국에 6기의 강우레이더를 도입 완료하였다. 비슬산레이더는 2009년에 맨 먼저 도입된 강우레이더로 국내 최초로 도입된 이중편파 S밴드 레이더이다. 이중편파레이더는 반사도 외에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비차등위상차 등 다양한 레이더 편파변수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중 반사도, 차등반사도, 비차등위상차는 레이더 강수량 추정에 적용되는 편파변수들로 이 변수들에 오차가 내재 시 레이더 강우의 오차에 전파되게 된다. 이에 레이더 강우 추정에 적용되는 편파변수들에 내재되어 있는 오차를 정량화하고 제거하는 것은 레이더 강우 품질에 직결되는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6년까지의 비슬산레이더로부터 관측된 총 351개의 강수사례를 수집하여 레이더 반사도와 차등반사도의 오차를 정량화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편파변수들의 오차 제거시 레이더 강우량의 정확도가 어느 정도 향상되는 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레이더 강우량의 정확도는 편파변수 오차 제거 전에는 40 ~ 80% 범위에서 오차제거 후 60 ~ 80 % 범위로 정확도가 향상되었고 그 범위도 줄어들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