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존

Search Result 1,97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Lamp Type Ozonizer for NO Gas Removal (NO 가스 제거용 방전관형 오존발생기의 특성)

  • Song, Hyun-Jig;Lee, Dong-Heong;Oh, Jin-Hun;Lee, Kwang-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c
    • /
    • pp.1762-1764
    • /
    • 2001
  • 대기환경오염물질인 NO가스의 제거를 위하여 방전관을 채용한 3전극-2갭 방식의 새로운 형태의 오존발생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원료가스의 유량, 방전전력 및 오존발생기의 사용 개수 변화에 따른 방전특성과 오존생성특성을 연구검토하였으며, 오존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오존을 NO가스에 접촉시켰을 때 NO 제거특성이 우수하여 방전관형 오존발생기가 대기환경개선 설비로 적용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Ozone-Induced Chlorophyll Degradation in Populus tremuloides Michx. Foliage (오존처리에 의한 미국 사시나무의 엽록소 분해)

  • 신동일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6 no.4
    • /
    • pp.299-303
    • /
    • 1996
  • The effects of ozone (O$_{3}$) exposures on chlorophyll content of trembling aspen(Populus tremuliodes) rooted cuttings were studied. Ozone was treated with 100 ppb fumigation for 6 hours per day, for three consecutive days per week in open-top chamber. The ozone exposures caused severe foliage damage expressed in necrotic patches and extensive chlorosis. Degradation of chlorophyll was observed mostly in mature leaves. The chlorophyll response to ozone exposure maintained a similar pattern during all experimental seasons and plant materials, Significant genetic variation in O$_{3}$ responses was revealed by differences in sensitivies among clones.

  • PDF

Application of Passive Sampler for Ozone Measurement in Ambient Air (대기 중 오존 측정을 위한 Passive Sampler의 적용)

  • 정의석;김선규;김학민;김선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123-124
    • /
    • 2000
  • 오존($O_3$)은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휘발성유기화합물 둥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과 광화학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2차적인 오염물질로 사람과 식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요한 오염물질로 알려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오존예보제, 경보제 둥을 운영하여 오존에 의한 피해 영향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현재 오존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환경오염공정시험방법과 정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대기오염 자동측정망의 오존 측정방법인 자외선광도법(Ultra Violate Photometric Method)으로 구분되어 지고 있으나, 자동측정장비는 매우 고가의 장비이며, 관리를 위하여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고 있고, 측정소의 개수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대기중 오존농도의 지역적인 자료와, 실내공기 측정, 그리고 공간적인 분포 해석을 위해서는 다른 측정방법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중략)

  • PDF

Ozone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Silent Discharge Type Ozonizer with Varying Discharge Area (무성방전형 오존발생기의 전극면적 변화에 따른 오존생성특성)

  • Lee, S.K.;Chun, B.J.;Park, Y.K.;Lee, K.S.;Song, H.J.;Lee, D.H.;Kim, Y.H.;Kim, G.Y.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c
    • /
    • pp.1775-1778
    • /
    • 2002
  • 무성방전을 이용한 오존발생기에서 오존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원료가스의 온도, 습도, 유량, 방전전극의 재질과 형태, 전원의 형태 등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극의 면적변화에 의한 오존생성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방전전극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더 많은 전력의 인가가 가능하여 대용량의 오존발생기의 제작이 가능하며, 또한, 동일한 전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도 전극면적의 증대가 오존발생특성의 향상을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 PDF

Aspects of Ozone Concentration Pattern Following the Windfield in Seoul Metropolitan Area (수도권지역의 풍계에 따른 오존수평분포 특징)

  • 이종범;장명도;남창진;송은영;김민영;이민환;여인학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35-136
    • /
    • 2001
  • 최근 들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지역에서의 오존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기환경기준치를 초과하는 횟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오존농도를 저감하기 위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오존농도는 일출이 시작되면서 광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되는데, 점차 일사강도가 강해지면서 일사량이 강한 오후 2-3시경에 보통 최고 오존농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일최고 오존농도는 오히려 오후 2-3시보다 그 이후인 4-5시 심지어 오후 6-7시에 일최고 오존농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Control Technology of Ozone Generations (오존 발생량 제어기술에 관한 연구)

  • Cho, Kook-Hee;Cho, Moon-S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0 no.10
    • /
    • pp.94-99
    • /
    • 2006
  • Ozone concentration and flow rate of discharge tube were measured using LabVIEW program in data acquisition part and it was saved. In addition, quantities of ozone generation was adjusted by the collected data, which was performed at control part. Therefore, energy efficiency was improved by suppling quantities of ozone generation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Lamp Type Ozonizer for Environment Improvement (환경개선용 방전관형 오존발생기의 특성)

  • Song, Hyun-Jig;Lee, Dong-Heon;Oh, Jin-H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e
    • /
    • pp.24-26
    • /
    • 2001
  • 대기환경오염물질인 NO가스의 제거를 위하여 방전관을 채용한 3전극-2갭 방식의 새로운 형태의 오존발생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원료가스의 유량, 방전전력 및 오존발생기의 사용 개수 변화에 따른 방전특성과 오존생성특성을 연구 검토하였으며, 오존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오존을 NO가스에 접촉시켰을 때 NO 제거특성이 우수하여 방전관형 오존발생기가 대기환경개선 설비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경기도 평택지역과 서울 정동지역 지표오존농도의 시계열모형 연구

  • Lee, Hun-Ja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29-36
    • /
    • 2006
  • 최근 유해성이 강한 지표오존농도가 대기환경의 주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평택과 서울 정동지역의 오존농도를 설명 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다변량 시계열 모형인 ARE(자기회귀오차)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ARE모형에서는 오존 전체자료를 사용한 전체모형과 오존농도가 41ppb 이상 되는 자료를 사용한 부분모형 두 가지 모형을 비교하였다. ARE의 오존농도 설명변수로는 오존농도와 연관 있는 8종류의 기상자료와 4종류의 대기오염자료를 고려하였다. 기상자료의 8가지 설명변수로 일 최고온도, 일사량, 풍속, 상대습도, 강수량, 이슬점온도, 수증기압, 운량 자료를 사용하였다. 대기오염자료의 4가지 설명변수로는 아황산가스(SO2), 이산화질소(NO2), 코발트(CO)와 프로메툼 10(PM10)를 사용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Ozone Concentration for Plate Type Ozonizer According to Electrode and Gas Flow Cross Section (평판형 오존발생기의 전극과 유로단면적에 따른 오존생성 특성)

  • Lee, C.H.;Lee, H.C.;Chun, B.J.;Woo, S.H.;Lee, K.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500-1501
    • /
    • 2007
  • 오존발생기에 따른 특성의 다양함과 전원장치와 같은 주변기기의 최적화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는 등 제품의 상용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작비가 저렴하고 제작이 쉬운 평판 전극을 적층시킨 평판형 오존발생기를 제작하여 여러 가지 전극 형태(길이)에 원료가스의 유량, 인가전압의 변화에 따른 방전 특성 및 오존생성농도, 오존발생량 및 오존생성수율을 연구 검토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and Ozone Concentration for Plate Type Ozonizer According to Electrode Form (평판형 오존발생기의 전극 형태에 따른 방전 및 오존 생성 특성)

  • Lee, C.H.;Fang, Y.W.;Lee, S.K.;Song, H.J.;Kim, J.H.;Yoon, B.H.;Lee, K.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426-1427
    • /
    • 2007
  • 오존발생기에 따른 특성의 다양함과 전원장치와 같은 주변기기의 최적화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는 등 제품의 상용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작비가 저렴하고 제작이 쉬운 평판 전극을 적층시킨 평판형 오존발생기를 제작하여 여러 가지 전극 형태(길이)에 원료가스의 유량, 인가전압의 변화에 따른 방전 특성 및 오존생성농도, 오존 발생량 및 오존생성수율을 연구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