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존

Search Result 1,97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nalysis of High Ozone Episode in Ulsan (울산지역의 고농도 오존분석)

  • 이병규;정광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267-268
    • /
    • 2002
  • 최근의 서울과 인근 수도권지역을 비롯하여 공장이 밀집되어 있는 산업도시나 교통량이 많은 대도시 지역에서 고농도의 오존이 종종 측정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기중에 VOCs가 존재하지 않을 때 자연적으로 오존은 생성ㆍ소멸을 반복하여 순환하면서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지만 오존생성 전구물질인 질소산화물(NOx),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자외선을 흡수하여 산화되면서 오존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Spatial distribution and Short-range transport of ozone in coastal urban environment (연안도시지역 오존의 수평분포와 단거리수송)

  • 김유근;이화운;오인보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73-74
    • /
    • 2001
  • 도시지역의 오존농도는 배출원 환경 및 지형과 국지 기상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시내 공단과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다량의 NO 배출에 의한 오존의 감소가 일어나는 반면 도시플륨의 풍하측의 지역에서는 오존의 축적과 함께 고농가 발생하게 된다 (Wang et al., 2001; Bower et al., 1994; Mckendry). 특히 연안도시의 경우 여름철 주로 발생하는 국지순환인 해풍에 의한 고농도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수면의 낮은 오존침적으로 인해 소멸의 영향이 적고 (Entwistle, 1997), 해풍역전으로 인한 연직혼합의 제한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Lu and Turco, 1994). (중략)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Observation Based Model to the Ozone Episode in Seoul, Korea (서울의 고농도 오존사례 연구를 위한 관측기반모형의 개발과 적용)

  • 신성수;조석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55-156
    • /
    • 2002
  • 우리나라의 급속한 산업발전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와 자동차 수의 증가에 따라서 오존 전구물질인 VOC와 NOx의 배출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고농도 오존 현상이 발생하는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오존은 VOC와 NOx간의 광화학 반응으로 형성하므로. VOC와 NOx중의 하나는 제한종(limiting species)로 작용하게 되므로, 광화학 반응을 분석하여 제한종을 규명하여야만 효율적 오존 저감대책을 세울 수 있다. (중략)

  • PDF

Estimate of urban contributions to elevated ozone levels in downwind area of Seoul for local wind days (서울지역 국지풍일의 도심배출에 의한 풍하측 오존증가량 추정)

  • 오인보;김유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57-158
    • /
    • 2002
  • 도시/국지규모에서의 풍하측 오존농도 상승은 도심 및 인근지역 배출원 환경과 함께 국지풍(local wind)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즉 도심배출에 의한 오존의 광화학 생성과 국지풍에 따른 단거리수송 및 국지적 축적 효과가 결부되어 풍하측 고농도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기존 여러 연구에서 도심의 경우 지속적인 NOx 배출의 영향으로 오존농도가 상승하지 못하는 반면 (NOx titration), 상대적으로 배출원이 적은 풍하측지역은 오존 및 전구물질의 수송과 축적을 통해 고농도가 나타남을 밝히고 있다. (중략)

  • PDF

Meteorological adjusted ozone trends for the Seoul and Busan metropolitan areas (서울과 부산지역 기상의 영향을 제거한 오존농도 추세)

  • 김유근;오인보;황미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75-376
    • /
    • 2002
  • 우리나라 주요 대도시는 1990년대 이후 뚜렷한 정제성장과 도시화로 인해 오존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오인보와 김유근, 2002). 또한 최근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오존 주의보 발생일수의 경우 1일, 6일, 12일, 14일, 16일, 17일로 점차 증가를 나타내어 오존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환경부. 2001). 일반적으로 오존농도의 년 변화는 일 최고기온 등의 주요 기상조건에 큰 영향을 받는다 (Hanna and Chang, 1995; EPA, 2001). (중략)

  • PDF

Ozone Lamp for Preservation of Herbal Medicine(2) (오존램프를 이용한 약재 보관 특성(2))

  • Woo, Sung-Hun;Lee, Kwang-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a
    • /
    • pp.160-161
    • /
    • 2006
  • 본 연구는 살균선 및 오존선을 방사하는 저압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한약재 살균 및 장기간의 보관에 따른 변질 원인을 제거하고, 고품질 유지를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발표한 오존 및 전기적 특성을 연구한 '오존램프를 이용한 약재 보관 특성(1)'에 이어서, 주로 약재 보관 특성의 관점에서 연구를 하였다. 대구 약전골목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유통되고 있는 작약, 백출, 왕기, 감초, 당귀를 실험에 이용 하였으며, 오존램프 보관 유무에 따른 약재의 외관상의 변화, 일반성분의 변화, 생리활성 물질의 변화 등 특성 평가를 연구하였다.

  • PDF

The Superposed Discharge Type Ozonizer with Power Recovery Circuits (잉여 전력 회생 기능을 가진 중첩형 오존 발생기)

  • Lee Hong-Hee;Kim Hyung-J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1.07a
    • /
    • pp.604-607
    • /
    • 2001
  • 본 논문은 새로운 타입의 중첩형 오존발생기를 제안하였다. 방전시 방전실 내의 과도한 방전전력은 온도상승을 가져온다. 이러한 열로 인해 오존분해반응이 생성되어 오존생성수율이 나빠진다. 제안한 전원장치는 잉여전력을 재충전하여 열의 발생을 억제하고 오존분해반응을 줄일 수 있음을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 PDF

Transport of Ozone in Downwind Area from Seoul Metropolitan (수도권 풍하 지역으로의 오존의 수송에 관한 연구)

  • 이종범;송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51-352
    • /
    • 2003
  • 오존은 1차 오염물질과는 다르게 광화학 반응에 의한 2차 오염물질이기 때문에 전구물질이 배출되는 지역에서 풍하측으로 수송되어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및 강원, 충북의 오존농도자료를 이용하여 대도시에서 풍하지역으로 오존이 수송되는 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a Candidate Equipment for Ozone SRP and its Uncertainty Evaluation (오존 SRP 후보 기기의 제작과 측정 불확도 평가)

  • 정규백;이진홍;우진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13-114
    • /
    • 1999
  • 일차 오존 표준 분광기(SRP)를 제작하여 오존 측정의 정확성을 확보하고, 이것을 국가 표준으로 이용하여 현장 분석기를 차례로 교정하는 체계(그림 1 참조)를 구축하기 위하여, 먼저 자외선 흡광 광도법을 근간으로 하여 오존 SRP 후보 기기를 제작하였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Trial Manufacture and Characteristics of Lamp Type Ozonizer (Lamp 형 오존발생기의 시작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Sang-Ku;Song, Hyun-Jig;Kang, Cheon-Su;Park, Won-Zoo;Lee, Kwang-Sik;Lee, Dong-In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0 no.6
    • /
    • pp.62-72
    • /
    • 1996
  • In this paper, ozonizer using U-type lamp(Olamp) has been designed and manufactured, which can perform a role of lighting source and ozonizer by using photo and chemical methods. The discharge, spectrum, illuminance, ozone concentration, ozone generation, ozone yield and sterilization characteristics of Olamp have been studied. The important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paper can be summa'||'&'||'not;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spectrum characteristics for Olamp, ultraviolet ray of a short wave'||'&'||'not;lengths and a visible ray are radiated. The illuminance of Olamp was found to be useful for "color distinctive and intermittent works in the dark working spaces" in accordance with KS A 3011. The ozone concentration of gaseous phas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quality of supplied gas. Also, ozone conce tration and generation of gaseous phase are rised more commercial oxygen gas than those trial air gas for constant quality of supplied gas. Ozone generation and ozone yield of gaseous phase are proportion'||'&'||'not;al to ozone concentration of gaseous phase. The characteristics of liquid ozone concentration at distilled water are proportional to circulating velocity of fermentation chamber and ozone concentration of gas'||'&'||'not;eous phase. As a result, the sterilization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have been obtained more than 97[ % J.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