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일농도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수용성오일의 한외여과처리에서 공기의 영향

  • 엄미정;윤성훈;이정학;정건용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10a
    • /
    • pp.20-20
    • /
    • 1994
  • 오일폐액처리에 있어서 한외여과막을 이용하는 기술은 이미 산업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오일폐액처리에 있어서 농도분극 및 겔층 (Gal layer) 형성에 의한 플럭스 감소와 막의 수명 단축은 해결해야할 중요한 숙제로 남아있다. 이와같은 문제제기로부터 본 연구에서는 한외여과막에 의한 오일처리에서 공기를 유입함으로써 플럭스를 향상시켰고, 긍극적으로 막에 의한 수용성 오일 처리 기술의 경제적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수용성 오일의 막 분리는 일반적으로 농도에 따른 플럭스의 변화가 Gel Polarization Model을 따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오일의 농도가 농축됨에 따라 플럭스가 급격히 감소하여 어느 농도이상 농축시키기 위해서는 비경제적인 운영을 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플럭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오일 용액내로 공기를 유입시켰다. 절삭유 용액속에는 에멀젼을 안정화 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어 공기를 유입할 경우 용액의 상이 액체에서 거품과 액체와의 혼합상으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상의 변화로 인해 농도에 따른 플럭스가 Gel Polarization Model을 따르지 않고 농도에 따른 감소가 현저히 둔화됨을 관찰하였다.

  • PDF

Convergence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oral care products using the anti-plaque activity of natural essential oil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천연에센셜오일의 Streptococcus mutans에 의한 치석형성 억제 활성을 이용한 구강관리제품 개발 가능성에 대한 융합연구)

  • Kim, Minhyung;Lee, So-Young;Min, Hee-H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7
    • /
    • pp.149-154
    • /
    • 2018
  • This article intended to examine the anti-plaque activity of 4 essential oils of Lavender, Tea tree, Eucalyptus, Lemongras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In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nti-plaque effe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Minimum anti-adhesive concentration of Lavender oil was 1.0% and that of Tea tree, Eucalyptus, lemongrass essential oils was 0.5 %.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essential oils have the effect of inhibiting acid generation by Streptococcus mutans. It was confirmed that pH of the concentration was lowered by the acid generation under the MAC by measuring pH of the solution after incubating Streptococcus mutans and the essential oils in the thermostatic bath varying their concentration. From these results, the essential oils, particularly, Tea tree, Eucalyptus, Lemongrass essential oils are the natural material inhibiting the plaque generation and the potential that they can be used to develop the oral care products was confirmed.

Effect of Nonionic Surfactant SPAN 20 on the Biodesulfurization Process by Rhodococcus sp. strain IGTS8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SPAN 20 이 Rhodococcus sp. Strain IGTS8을 이용한 미생물 탈황공정에 미치는 영향)

  • 박홍우;박기돈;오성근
    • KSBB Journal
    • /
    • v.17 no.3
    • /
    • pp.295-301
    • /
    • 2002
  • The effects of nonionic surfactant (SPAN 20) on the desulfurization process by Rhodococcus sp. strain IGTS8 have been investigated at various oil/water ratios, pHs and concentrations of surfactant. The hexadecane containing DBT was employed as model oil. The presence of surfactant in the oil/water mixture stabilized the oil/water interface, thus enhanced the efficiency of desulfurization. The volume percentages of oil in the oil/water mixture were 30, 50 and 70%. The concentrations of surfactant were varied from 0 to 0.33 wt% relative to water phase. In general, the biodesulfurization efficiencies were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SPAN 20 and the volume percentage of oil phase increased.

Bio-oil production from Chlorella sp. KR-1 using carbon dioxide from bubble column (기포탑에서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Chlorella sp. KR-1로부터 바이오오일 생산)

  • Lee, Ja-Youn;Seo, Kyoung-Ae;Park, Soon-Chul;Lee, Jin-Suk;Oh, You-K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513-513
    • /
    • 2009
  • 최근 바이오디젤의 원료로 미세조류가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미세조류는 물, 이산화탄소와 태양광을 이용해 광합성 성장이 가능하며, 지질(오일) 성분이 풍부하여 바이오디젤의 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미세조류는 단위 면적당 오일 생산량이 곡물류의 50-100배 이상이며, 이산화탄소를 기질로 이용하므로 온실가스 직접 저감이 가능하다. 또한 배양시 비경작지나 황무지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식용작물과 경쟁하지 않으며, 하수, 해수, 폐수 등 다양한 물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 $CO_2$에 내성을 지닌 Chlorella sp. KR-1을 대상으로 1 L 규모 기포탑 광생물반응기에서 균체 성장 및 지질(바이오오일) 합성에 대한 $CO_2$ 농도, 가스 공급속도, 질산염 농도 등 환경 및 영향 조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스 공급속도 0.4 L/min에서 $CO_2$ 농도를 0.03-20% 범위에서 조사하였을 때 최대 균체성장은 $CO_2$ 10%에서 관찰되었다. 균체내 지방산 함량은 $CO_2$ 농도 0.03%에서 가장 낮았고, 5-20% 범위에서는 $CO_2$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가스 공급속도를 0.2 L/min에서 0.8 L/min으로 증가시켰을 때 최대 균체농도는 0.6-0.8 L/min의 범위에서 관찰되었고, 생체내 최대 지방산 함량은 0.4 L/min에서 관찰되었다. Nitrate 농도 1-20 mM 범위에서 최종 균체농도는 nitrate 농도 증가에 따라 10mM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증가하지 않았다. 반면 지방산 함량은 nitrate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본 실험에서 얻은 최대 지방산 생산량은 1,100 mg/L이었으며, 주요 지방산은 C10:0(1.7%), C16:0(28.5%), C18:0(11%), C18:1n9c(25.9%), C18:2n6c(26.3%), C18:3n3(6.6%)이었다. 현재 100 L 규모 광생물반응기에서 석탄발전소 배가스($CO_2$ 12-15%, SOx 50ppm, NOx 100ppm)를 이용한 바이오오일 생산 실험이 진행 중이다.

  • PDF

폐기 바이오매스 기반 자성 복합재를 이용한 해양 유출유의 제거

  • Ryu, Jae-Hyeong;Jang, Jae-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23-24
    • /
    • 2020
  • 커피박을 FeCl3·6H2O로 전처리하여 제조한 자성 복합재의 유출유 회수 실험을 진행하였다. 전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은 디젤엔진 오일이 사용한 디젤엔진 오일보다도 오일 회수율이 높게 나타났고, 수중온도가 5℃일때보다도 25℃일 때 오일 회수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실험 결과는 모든 온도에서 오일 회수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FeCl3·6H2O 전처리 용액의 농도가 최소한 0.1 M은 되어야 함을 보여 주었다.

  • PDF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ed Seed Oils by Pressure Method using Domestic Seeds and Nuts (국내 종실류를 이용한 압착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 항산화 활성 평가)

  • Ku, Hee-Yeon;Lee,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3
    • /
    • pp.655-661
    • /
    • 201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capacity of extracted seed oils by pressure method using domestic plant resources as a cosmetics material. Four type of oil were extracted from pumpkin seed, camellia seed, red pepper seed, peanut. The extracted seed oils were analyzed for fatty acid composition by GCMS, The antioxidant activity evaluat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ctivity. Pumpkin seed oil(PSO), camellia seed oil(CSO), peanut oil(PO) showed higher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than saturated fatty acid. After heat treatment, the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was higher than that of saturated fatty acids except for red pepper seed oil(RSO). In the result of DPPH, ABTS antioxidant activity, RSO were the highest 87.84%, 76.72% at the $200{\mu}{\ell}/m{\ell}$, PSO, PO and CSO were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at the $1000{\mu}{\ell}/m{\ell}$. Compared with the positive control olive oi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SO, PSO and PO showed higher than the control.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ctivity of RSO and PSO is stronger than the control. After heat treatment, the antioxidant activity capacity showed a slight difference, four type of oils is expected as having potential to be useful as a cosmetic material.

Vacuum Safety

  • Ju, Jang-Heon
    • Vacuum Magazine
    • /
    • v.2 no.2
    • /
    • pp.49-58
    • /
    • 2015
  • 진공 배기 시스템에 위험한 환경을 초래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찾아 낼 수는 없지만 누적된 현장 경험과 연구 결과에 맞추어 최대한 필요한 안전 조치들을 취해야 한다. 진공 배기 시스템이나 그 구성품들에 대한 심각한 파손을 유발하는 공통적인 요인들은 발화성 물질의 점화나 진공 배기 시스템의 배기구 막힘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진공 펌프와 진공 시스템의 안전한 가동과 사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반드시 준수하여야 한다. ${\blacksquare}$ 발화성, 폭발성 공정 물질을 사용하는 진공 배기 시스템은 정규 유지 보수 작업(PM) 후 첫 번째 배기 과정은 매우 천천히 진행하여 진공 배기 시스템 내부에 급격한 난류가 형성되지 않도록 해 주어야 한다. ${\blacksquare}$ 진공 배기 시스템 내에서 발화성 물질들의 농도가 발화 영역(flammable zone, potentially explosive atmosphere)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진공 펌프와 진공 배기 시스템의 가동 예상 조건이나 고장 환경하에서 안전한 농도 이하로 희석시켜야 한다. ${\blacksquare}$ 진공 펌프와 진공 배기 시스템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밸브 등의 기계적 부품들이나 공정에 사용되는 물질과 공정 부산물들(by-products)로 인하여 배관, 필터 배기구 등이 막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blacksquare}$ 공정에 사용되는 물질들, 특히 산소($O_2$), 오존 ($O_3$) 등의 산화제 농도가 높을 때는 오일 회전 배인 진공 펌프(Oil rotary vane vacuum pump)에 미네랄(mineral) 오일을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PFPE(Perfluoropolyether) 오일을 사용하여야 한다. 시판되는 진공 펌프 오일 중 비발화성(non-flammable)으로 표기된 오일이라고 하더라도 산화제(oxidant)의 농도가 체적비로 30 % 넘는 공정 환경에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blacksquare}$ 진공 펌프와 진공 배기 시스템에 의해 배기되는 물질들이 물($H_2O$)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경우는 물이 아닌 다른 냉각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blacksquare}$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상황에서는 해당 전문가의 조언이나 해당 전문가의 직접적인 현장 도움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Development of Cosmetics Preservatives using Natural Essential Oil (천연유래 에센셜 오일을 활용한 화장품 방부제 개발)

  • Kim, Bo-A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4
    • /
    • pp.445-450
    • /
    • 2019
  • Recently, consumers using cosmetics have a great interest in raw material safety. Among them, interest in natural preservatives is increasing, and as the demand for cosmetics excluding paraben preservatives increases, a method of replacing synthetic preservatives with antibacterial essential oils is being considered. The antibacterial effect of essential oils depends on the components, concentra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the main active compounds. Effective preservatives should hav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 wide range of strains even at minimal concentrations. All preservatives should be considered to increase skin concentration and cause skin irritation and allergic reactions. Consumers recognize that essential oils from nature are safe, but some should be careful because they can cause contact allergies or phototoxic reactions. As such, it is important to balance natural preservatives with maximum preservative effects and low toxicity. This pap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essential oils focused on antibacterial properties, efficacy and safety as cosmetic preservatives.

How Skin Care Ingredient Concentrations Can Modulate the Effect of polyols and Oils on Skin Moisturization and Skin Surface Roughness (화장품 원료 중 폴리올, 오일 농도에 따른 피부 보습과 피부 표면 거칠기의 변화)

  • Nam, Gae-Won;Kim, Seung-Hun;Kim, Eun-Joo;Kim, Jin-Han;Chae, Byung-Guen;Lee, Hae-Kwang;Moon, Seong-Joon;Kang, Hak-Hee;Chang, Ih-Seop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31 no.4 s.54
    • /
    • pp.337-342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skin care ingredient concentrations on the effect of polyols and oils on the human skin moisturization and skin surface roughness. Polyols and oils were essential ingredients to make a skin care formulation. But these were still not understood how much concentration(s) were tested on human skin in the aspect of efficacy and sensory. We studied to examine various concentrations of ingredient by cosmetic companies using noninvasive methods. Polyols were composed of glycerol and butylene glycol (BG) as 1:1 ratio, and oils were hydrogenated polydecene, cetyl ethylhexanoate and 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PTO(R), Stearinerie Dubois Fils Co., France) as 1:1:1 ratio. All compounds were tested $0{\sim}27%dml$ Polyols and $0{\sim}35%dml$ oils in O/W emulsion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water contents and the effect of stratum corneum roughness in forearm skin after application of compounds. Water contents of the skin measured by skin capacitance and skin surface roughness measured visual scoring of skin surface biopsy through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ater contents of the skin were highly related to amount of polyols (to 20%) and oils (to 12%).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971 and 0.985 respectively (p<0.01), 2 h after application. Skin surface rough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lyol contents in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nd depend on oils up to 6%. The ratio of coefficient was 2.5 to 1 (polyol to oils) by regression analysis.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with other ingredients such as surfactants, lipids and aqueous materials, and with ether methods for noninvasive measur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