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 분석

Search Result 5,80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nalysis of Reduction Efficiency of Storm water and Pollutant in Filter Type and Clearance Type Permeable Blocks (침투형 및 틈새형 투수블럭에서의 빗물유출 및 오염물질 저감효율 분석)

  • Gil, Kyungik;Lee, Da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0-210
    • /
    • 2020
  • LID (Low Impact Development, 저영향개발)는 산업화 및 도시화 진행 지역에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제어해 개발지역 내 자연순화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고, 물순환 기능증대를 통해 강우 유출수를 지역 내에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점오염원 저감 LID 시설에는 자연형과 장치형 시설이 있다. 자연형 시설에는 저류형, 침투, 식생형 시설 등이 있다. 특히, 침투시설에는 대표적으로 투수블럭이 있으며, 이는 투수성 포장재를 통해 강우 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여과나 흡착 등으로 비점오염물질을 제어하는 시설이다. 장치형 시설로는 여과재나 망을 이용해 비점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여과형 및 스크린형 시설, 응집과 침전을 통해 비점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응집·침전 시설 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8년 3년간 전주 서곡지구 지역 내 설치된 필터형 투수블럭, 틈새형 투수블럭에서 진행했다. 각각의 투수블럭에서 총 19회, 20회의 강우 모니터링을 실시했고, 오염물질 유입 및 유출 EMC 등의 분석을 통해 유출 및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분석했다. 연구 대상 각 투수블럭의 주요 제원은 시설 용량 14.4㎥, 시설 면적은 14.4㎡이다. 모니터링 결과값을 분석한 결과 필터형 투수블럭의 경우 유출 저감율은 17.4 ~ 100%, 틈새형 투수블럭은 29.6 ~ 100%이었다. 필터형 투수블럭과 틈새형 투수블럭의 단위면적당 유량 저감량은 각각 0.014 ~ 0.583㎥/㎡, 0.035 ~ 0.588㎥/㎡이었다. 오염물질 저감효율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 항목(BOD, TOC)의 경우 틈새형 투수블럭에서의 저감효율(BOD 93.59%, TOC 90.39%)이 필터형 투수블럭에서의 저감효율(BOD 89.99%, TOC 86.94%)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영양염류 항목(T-N, T-P)의 경우 필터형, 틈새형 모두 비슷한 저감효율(필터형 T-N 89.02%, 필터형 T-P 98.12%, 틈새형 T-N 90.41%, 틈새형 T-P 98.04%)을 보였다.

  • PDF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Observed from Major Water Quality Stations in Nakdonggang Watershed (낙동강유역 수질측정자료의 시.공간적 특성 및 수질항목간 특성 분석)

  • Park, Tae-Yang;Kim, Sung-Jae;Kim, Sung-Min;Kim, Sang-Min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4 no.5
    • /
    • pp.117-12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data of Nakdonggang watershed which is second largest watershed in South Korea.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ater quality items for rainy and non-rainy seasons were also analyzed for two TMDL sites which are Gumi and Namji. BOD data of two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 target sites were compared with TMDL criteria, 3-year arithmetic mean BOD concentration of the target sites should not exceed the target concentration for 2 consecutive years, to figure out current water quality status. Spati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Goryeong and Hyunpung was highest with the value of 0.978 followed by Hapcheon and Namji with the value of 0.874. The observed BOD data of Gumi station fluctuated around the TMDL criterion, 1.8mg/L while Namji station mostly exceed the criterion, 2.6mg/L. The criteria values for each target sites are defin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ajor factor of correlation coefficient was the distance between the station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ater quality items for non-rainy season showed no relation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COD and SS was high followed by COD and TP for Gumi and Namji.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Cherry Tree cultivation zone (벚나무재배지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 Park, Woon Ji;Lee, Hae Seung;Hwang, Soon Hong;Lee, Young Joon;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01-40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타재배지(벚나무재배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 유출 및 수질특성을 살펴보고자 2014년 5월부터 9월까지의 총 12회의 강우사상에 대해 유출특성을 분석하고 오염물질별 유량가중평균농도(Event Mean Concentration, EMC) 및 오염부하를 산정하였다. 모니터링 기간동안 2.6~95.8 mm의 강우가 발생하였으며, 조사된 총 12회의 event 중 단 2회 유출이 발생하였다. 강우강도는 0.33~5.28 mm/hr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선행무강우일수는 0.6~21.2일, 총 유출량은 $0.92{\sim}20.75m^3$, 유출율은 0.03~0.18의 범위로 나타났다. 강우모니터링 결과, EMC는 TOC 3.4~10.3 mg/L(평균 6.9 mg/L), BOD 6.3~6.9 mg/L(평균 6.6 mg/L), COD 22.0~28.8 mg/L(평균 25.4 mg/L), SS 101.8~962.8 mg/L(평균 532.3 mg/L), T-N 4.295~11.864 mg/L(평균 8.080 mg/L) 그리고 T-P 1.109~1.582 mg/L(평균 1.346 mg/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각 강우사상에 대한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TOC 0.08~0.58 kg/ha, BOD5 0.05~1.07kg/ha, CODMn 0.22~3.76 kg/ha, SS 0.77~164.4 kg/ha, T-N 0.090~0.734 kg/ha, T-P 0.008~0.270 kg/ha의 범위로 산정되었다. 벚나무재배지의 수질 항목간 Pearson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항목 중 $COD_{Mn}$가 다른 수질항목과 유의성을 갖고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나 초기유출효과 분석을 위한 대표 수질항목으로 선정하였다. 벚나무재배지의 경우 초기유출 발생에 의한 오염부하의 급격한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누적오염부하량비의 그래프에서는 대부분의 강우사상에서 기울기가 직선에 가깝게 나타났다. 기타재배지의 경우 대부분 투수지역으로 초기세척효과가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적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generated at rest facilities on highways on the aquatic ecosystem (고속국도 휴게시설 비점오염물질이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won, Hyeok Joon;Kim, Eui Seok;Choi, Jae Seok;Hong, Eun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84-284
    • /
    • 2021
  • 비점오염원이란 도시, 도로 포장면, 무허가 가축시설, 무단 경작지 등의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발생하는 오염원을 말한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주로 강우특성(강수량,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등)에 영향을 받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강우시 비점오염원은 주로 불투수면적에서 오염물질이 주변 하천이나 호수에 유입되어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비점오염원 중 도로 노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농지나 가축시설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부유물질 및 유기물) 등과 달리 주로 차량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주를 이루고 있다. 강우시 토양의 수분포화가 충분히 이루어진 후 강우강도에 따라 유출이 발생하는 농경지와는 달리 도로 노면 유출수는 누적된 오염물질들이 강우시 한꺼번에 유출되기에 강우 초기 채수 간격을 짧게 하여 수질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횡성군을 관통하는 영동고속국도의 횡성휴게소 불투수 노면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알아보기 위해 모니터링 후 수질분석으로 노면 유출수 성분을 알아보고, 오염부하량을 계산하여 유량가중평균농도(EMC, Event Mean Concentration)와 초기세척효과(Mass First Flush effect)을 산정하였다. 이후 타 토지이용에서의 유출 특성과 고속국도 휴게시설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출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추후 본 연구자료는 고속국도와 주변 편의시설 설계시 주변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for Removal Efficiency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by Constructed Wetlands (인공습지 형태에 따른 비점오염저감효율 분석)

  • Lee, Sang Hyuk;Kim, Lee Hyung;Cho, Hye Ji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 no.2
    • /
    • pp.102-108
    • /
    • 2014
  • Studies of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facilities have widely been conducted for a decade, but natural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facilities implemented on roads have not been carried out for the removal efficiency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This study analyzed the removal efficiency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from constructed wetlands using monitoring and event mean concentration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removal efficiency of general non-point pollution sources as TSS, COD, BOD is relatively good, but removal efficiency of TN, TP, Cr, Zn, Pb is very small or nothing.

Evaluating origin of pollution load by stormwater runoff in Hongje basin -Focussing Gugi catchment (홍제천 유역의 강우유출수 오염부하 기원평가 -구기 배수분구를 중심으로)

  • Oh Kyung-Seok;Ho Jong-Kwang;Hwang Byung-Gi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11a
    • /
    • pp.288-291
    • /
    • 2004
  • 강우유출수의 오염기원별 기여도를 파악하고자 홍제천 유역의 구기 배수분구를 대상으로 강우시 유량 및 오염물질 발생경향 및 오염기원별 오염도 분석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강우시 발생초기의 오염물질의 농도는 강우에 의한 초기세척현상(First Flush)에 의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강우초기의 높은 오염물질의 농도는 강우에 의해 희석되어 일시적으로 낮아졌다가 높은 강우강도에 의하여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이후 오염물질의 농도는 유량의 감소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수지식을 이용한 근사적인 오염부하의 오염원별 기여도 분석에서 관거 퇴적물에 의한 오염도가 COD $27.7\%$, SS $47.5\%$로 나타났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건기 하수보다도 더 높은 기여도를 보이고 있어 월류수 오염부하의 제어측면에서 정기적인 관거내 퇴적물의 준설과 세정을 통하여 상당량의 오염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ive for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installation project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사업의 효과 평가)

  • Choe, Hye-Seon;Geronimo, Franz Kevin;Jeon, Min-Su;Reyes, Nash Jett;Kim, Lee-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06-206
    • /
    • 2020
  • 토지이용의 고도화에 따라 비점오염원 부하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강도 증가 등으로 지표면에 축적된 고농도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출,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고 있어 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다. 환경부에서 효율적인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하여 2004년부터 현재까지 3단계에 걸쳐 비점오염원 관리 종합대책을 수행하고 있으며, 2008년부터 비점국고보조사업을 추진하여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를 통한 수질개선 및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비점국고보고사업을 통해 구축된 비점오염저감시설을 대상으로 시설 설치 및 운영 현황과 강우시 비점오염저감 효과 분석을 통한 시설의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시설은 시범시설 및 국고보조시설 총 70개소로 2005~2017년에 준공되었으며, 2016년부터 현재까지 총 4년동안 진행된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설의 용량은 34~97,000㎥의 범위로 SA/CA 1.2~6.6%의 범위이다. 강우시 모니터링은 선행무강우일수 3일이상을 고려하여 수행하였으며 도시지역의 경우 5mm 이상, 농촌지역 10mm 이상시 모니터링을 진행하였다. 시설의 유입과 유출부에서 수질 및 유량 모니터링을 진행하였으며, 수질오염공정시험법에 준하여 BOD, COD, SS, T-N 및 T-P 항목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국내 비점오염저감시설의 평균 부하량은 SS 250.4 kg/day, BOD 89.2 kg/day, COD 136.2 kg/day, TN 51.4 kg/day, TP 7.1 kg/day 로 분석되었으며, 유출부 의 경우 SS 83.8 kg/day, BOD 37.2 kg/day, COD 51.0 kg/day, TN 15.4 kg/day, TP 2.0 kg/day로 나타났다. 또한, 은 오염물질 유입 및 유출 부하량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SS, BOD, COD의 유입 및 유출 부하량의 상관성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기물질(BOD, COD)의 상관성은 0.8이상으로 분석되었다(p<0.005). 이는 비점오염저감시설에 적용된 식생, 미생물, 여재 등을 통하여 물리학적 및 생태학적 처리를 통해 저감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TN은 인위적 요인과 자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으로 배출 특성으로 상관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Mismatch of Perception and Data: Air Pollution, Medical Expenses, and Consumption in South Korea (관측 자료와 인지의 불일치: 대기 오염에 따른 의료 비용 및 소비 지출에 관한 분석)

  • Yun, Seong Do;Kim, Seung Gyu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9 no.2
    • /
    • pp.113-144
    • /
    • 2020
  • Throughout various data sources, it is widely observed that air quality in South Korea has become improved. Koreans, however, insist that their health status and economic burden due to worsened air quality get degenerated.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mismatch between perception and measured data, air pollution-led medical expenses, and consumption behaviors in the economics perspectives. First, we demonstrated data-driven evidence of mismatch in the perceived severity of air pollution and its enhancement in measured data. Second, using the health demand model, we theoretically derived and empirically showed a co-rising relation between air pollution severity and medical expenses. Last, we analyzed that the perception led to increased defensive expenditures in consumption. This result implies the possibility of overestimation in air pollution impacts on socioeconomic losses and its possible reverse interpretation from increased social benefit after improved air quality. Our results recommend policy consideration to strengthen air quality standards, to support socially vulnerable groups regarding defensive expenditures, an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and credibility of air pollution information.

Environmental Assessment of Contaminated Soils around Abandoned Mines using The Current Soil Quality Standards

  • Ahn, Joo-Sung;Kim, Kyoung-Woo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2 no.1
    • /
    • pp.87-105
    • /
    • 2003
  • 토양오염기준은 토지이용별 또는 오염노출경로별 오염토양의 조사, 평가 및 복구를 위한 유용한 지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을 포함한 몇몇 국가의 토양오염기준을 특히 중금속에 주안점을 두고 검토하였다. 또한 국내 일부 폐광산 지역의 환경오염 조사결과를 토양오염기준과 비교하며 평가하였다. 영국, 네덜란드, 독일, 캐나다, 일본 등의 국가에서는 복구우선순위 선정과 인체건강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한 오염토양의 선별수단으로 토양오염기준을 개발하여 왔다. 국내에서는 1996년 토양환경보전법(시행규칙)의 시행에 따라 토양 오염기준 설정과 특정토양오염유발시설의 관리, 정기적 토양오염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후 2001년 보완 개정되어 토양오염물질의 확대적용과 토양오염 조사, 관리 및 복원 방법의 보완이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 중금속(Cd, Cu 및 Pb)의 오염기준을 적용할때 폐광산 지역의 폐기물과 이에 오염된 토양의 경우 다량의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지만 오염지역으로 규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연구 결과, 0.1N 염산용출법은 중금속의 토양 내 화학적 형태 중 일부 교환성 및 환원성 형태만을 추출하며 황화물 형태를 충분히 용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적인 환경조건 변화에 따른 토양 내 중금속의 용출성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강산추출법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폐광산지 역의 중금속에 의한 토양오염의 타당한 환경평가 결정을 위해 현 분석기법 외에 총함량 분석방법의 병행적용과 이에 따른 새로운 오염기준 설정 등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 PDF

Zoning Suitability Analysis to Reduce First-flush Runoff Contamination in a Separated Sewer System (분류식 하수지역의 초기 유출수 오염저감을 위한 용도지구별 적지 분석)

  • Park, In-Hyeok;Ha, Sung-R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1 no.2
    • /
    • pp.13-27
    • /
    • 2008
  • This paper aim to reorganize zoning areas for decreasing first-flush runoff contamination in a separated sewer system via suitability analysis, and to simulate the discharge pollution loads of first-flush runoff using SWMM. For these purposes, diffuse pollution, which is accumulated on a surface and first-flush runoff flow were investigated. Suitability conditions for zoning were defined using the results of these investigation and suitable zoning areas were analyzed for the each condition. AHP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ablish weights of the suitability conditions. The most suitable zoning areas were analyzed via overlaying weights and suitability conditions. From the result, it was noted that the most suitable zones for detached houses & apartments are location they already occupied. Some school areas analyzed were found to be suitable as commercial centers. Some zones within the area analyzed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commercial zones. From results obtained from simulation, the zone re-organization showed BOD and SS concentration to reduce from 91.2% to 0.09% ans 72.74% to 0.31%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