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 부하량

Search Result 77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Nn Evaluation of Climate Change Effects on Pollution Loads of the Hwangryong River Watershed in Korea (기후변화에 따른 황룡강 유역의 오염부하 유출량 변화 분석)

  • Park, Min Hye;Cho, Hong-Lae;Koo, Bhon Kyo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3
    • /
    • pp.185-196
    • /
    • 2015
  • A conceptual watershed model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was applied to the Hwangryong river watershed to evaluate climate change effects on pollution loads of the river. For modeling purposes, the Hwangryong river watershed was divided into 7 sub-watersheds.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for the river discharges against the data observed in 2011 at several monitoring stations. The RCP scenarios were set up for the model simulations after being corrected by change factor method.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RCP 4.5 scenario indicate that the annual river discharge and concentrations of BOD, TN, TP of the Hwangryong river will continually increase during the second-half of the 21st century. As for the RCP 8.5 scenario, the simulations results imply that the pollution loads will increase during the middle of the 21st century reflecting the pattern of precipitation. Monthly distributions of the pollution loads for the RCP 4.5 and the RCP 8.5 scenarios show it will increase the most in September and February, respectively.

Design Practice of Bio-Retention for SS management at Industrial Area (공업지역에서의 SS관리를 위한 생태저류지 설계방안)

  • Choe, BoGyeong;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6-44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업지역의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계하는 방안이 제안된다. 처리대상구역의 SS 배출부하량은 최근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제안하고 있는 원단위를 기반으로 산출된다. SWMM을 이용하여 처리대상구역의 SS 배출부하량을 모의한 뒤, 비점저감시설로서 생태저류지를 설치하여 설계용량에 따른 비점저감효과가 정량화된다. 다양한 모의결과를 바탕으로 생태저류지 설계용량에 따른 SS의 삭감대상부하비가 유도되며, EPA 기준에 따른 생태저류지의 SS 저감효율이 산정된다.

  • PDF

Study on the Reduction of NPS Pollution and GHG Emission from Paddies with SRI Methods (SRI 방법을 적용한 논에서의 비점오염원 및 온실가스 저감효과)

  • Park, Woon-Ji;Lee, Su-In;Yun, Dong-Koun;Kim, Gun-Yeob;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0-44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질관리 및 기후변화(온실가스 저감) 등에 부응할 수 있는 SRI 벼재배 방법을 국내 논에 적용하여 농업비점오염원과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측정하고 비교하여 SRI의 환경개선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험포는 대조구인 상시담수처리구(관행, 재식거리 $30{\times}15cm$)와 SRI 물관리 처리구로 조성하였다. 각 시험포에는 관개배수시설 및 관개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 유출량 측정을 위한 플륨 및 수위계 그리고 온실가스(메탄 및 이산화질소)를 측정하기 위한 아크릴재질의 Chamber를 설치하였다. 관행 및 SRI 시험포에 이앙할 모의 재배품종으로 오대벼를 공시하고 모든 시험포의 경우 1주당 3-5본씩 기계이앙을 실시하였으며, 물관리를 제외한 시비와 제초 등의 영농관리는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메탄($CH_4$)과 아산화질소($N_2O$)는 주 2회, 오전 9시 12시에 60 mL 주사기로 주기적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GC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관개기간동안 관개량, 강우량 그리고 강우 유출량을 측정하고 수질시료를 채취하여 오염부하를 산정하였다. SRI 시험포의 SS, $COD_{Cr}$, $COD_{Mn}$, BOD, TN, TP의 총 오염부하량은 각각 583 kg/ha, 210.8 kg/ha, 70.1 kg/ha, 30.7 kg/ha, 56.1 kg/ha, 3.55 kg/ha로서 관행 시험포의 오염부하량에 비해 27.1~46.0%의 오염물질 저감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각 시험포별 온실가스 메탄과 아산화질소의 총 배출량을 지구온난화잠재력(GWP)으로 환산하여 이산화탄소($CO_2$) 기준으로 산정한 결과, 관행은 14.2 톤/ha 그리고 SRI 물관리 처리구 4.0 톤/ha로 관행 대비 SRI 처리구에서 71.8%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SRI 벼재배기술은 논 비점오염부하 및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효과적인 최적영농관리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ment of Permissible Inflow Loa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Yeoja Bay, Korea (여자만의 수질관리를 위한 허용유입부하량 산정)

  • Kim, Hyung-Chul;Lee, Won-Chan;Kim, Jong-Gu;Hong, Sok-Jin;Kim, Kyoung-Mi;Cho, Yoon-Sik;Park, Sung-Eun;Kim, Ji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7 no.4
    • /
    • pp.345-356
    • /
    • 2011
  •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land based pollutant discharges from the basin and seawater quality related carrying capacity and the seawater quality improvement in receiving water bodies of Yeoja Bay where eutrophication and organic pollution are in progress, were evaluated. The permissible inflow loads of BOD, TN and TP by us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and box modelling method were estimated. As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reduction rate of discharged BOD and TP loads were 39.3% and 30.8 %, respectively, however, 6.9% was estimated for TN. According to the pollutant loading in each tributary and generated load of the basin, it is given much weight on the land use group, and also was shown in discharged load estimation. Thi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control nonpoint source pollutant such as livestock and land use groups as well as point source to contribute the proposition of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y.

A Rough Estimation of Environmental Capacity in the Yellow Sea using a Numerical Hydrodynamic Model (해수운동모델을 이용한 황해 환경용량의 개략 산정)

  • Kim Gwang Su;Kim Dong Myung;Park Chung K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2 no.1
    • /
    • pp.63-73
    • /
    • 1999
  • The results of residual currents simulation by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showed the water volume transport and the residence time to be about 4km³ per tidal cycle and about 6 years through the line of latitude, 34° 25' N in the Yellow Sea, and to be about 13km³ per tidal cycle and about 2.5 years through the southeastern boundary line of the Yellow Sea, respectively. On the bases of the entire seawater volume of the Yellow Sea and dissolved oxygen (DO) in summer, the environmental capacity of the Yellow Sea for reception of the maximum pollution load without reducing DO concentration below 5.0mg/ℓ in seawater may be estimated to be about 58×10/sup 6/tons of chemical oxygen demand (COD), which is equivalent to the load about 8 times as high as the annual organic pollution load from 14 major rivers. On the bases of DO transports by residual currents calculated on the line of 34° 25' N latitude and on the southeastern boundary line of the Yellow Sea being about 57×10³tons and about 203×10³tons of DO per day, respectively, the environmental capacities of the Yellow Sea for reception of the maximum pollution loads without reducing DO concentration in seawater nay be equivalent to COD loads about 3 times and 10 times, respectively, as high as the existing organic pollution loads from 14 major rivers.

  • PDF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SOs in urban area -Focus on Pyungchang catchment of Hongje basin (도시지역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발생특성 연구 - 홍제천 평창배수분구을 중심으로)

  • Oh Kyung-Seok;Ho Jong-Kwang;Hwang Byung-Gi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11a
    • /
    • pp.284-287
    • /
    • 2004
  • 홍제천 유역의 평창 배수분구를 대상으로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발생특성을 파악하고자 유량 및 오염물질 발생경향, 오염물질별 상관관계, 연간 강우유출 오염부하량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강우시 오염물질의 초기세척현상은 누적오염 부하량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수질항목에 대하여 초기유출현상이 나타났으며, 초기 $20\%$ 유출 유량에서 오염부하가 $30\%$ 정도로 유출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질항목별 상관계수를 보면, 건기시의 상관계수는 COD와 SS가 0.4857, 월류수의 경우에는 SS와 TN의 상관계수가 0.7723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연간 강우에 의하여 방류선으로 배출되는 면적당 오염부하는 COD 1,202kg/ha/yr SS 494kg/ha/yr로 산정되었다.

  • PDF

An Estimation of NPS Pollutant Loads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orm Water Runoff and Pollutant Discharge in a Small Urban Drainage Basin (도시소유역에서의 유출과 비점원오염물 배출 간의 상관관계 수립에 의한 NPS 오염물 배출량의 산정)

  • 신현석;윤용남
    • Water for future
    • /
    • v.26 no.4
    • /
    • pp.85-95
    • /
    • 1993
  • Thre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was the development of the extention method for the limited data observed in an urban drainage basin. The second was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torm water runoff and NPS(non-point source) pollutant discharge, The last was the calculation of the monthly and annual specific NPS loads using the established correlation. the selected model was the SWMM monthly and annual specific NPs loads using the established correlation. The selected model was the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developed by the US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best correlation between storm wate runoff and NPS pollutants discharge was produced by the non-linear correlation between runoff rate(mm/hr)and specific loads rate(g/ha/sec)for all pollutants studied ; SS, COD, BOD, and TN. The best correlation through the analysis based on evently total mass was made by the linear correlation between the specific accumulated runoff(mm) and the specific accumulated loads(kg/ha) for CASE 1., and by the non-linear correlation for CASE 2. The NPS annual specific loads for the urban basin studied were 4933 kg/ha/year for SS, 775kg/ha/year for BOD, 3094kg/ha /year for COD,257kg/ha/year for TN, respectively. And the proportion of the NPS annual specific loads to the total annual specific loads were 42 % for SS, 13 % for BOD, 29% for COD, and 21 % for TN.

  • PDF

Analysis of mass-balance using CE-QUAL-W2 in the four major rivers (CE-QUAL-W2를 이용한 4대강 보 구간 물질수지 분석)

  • Kwon, Bo Min;Jeong, Sun-A;Yi, Hye-Suk;Han, Gyu Seong;Lee, Jae Soon;Choi, Kwang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81-48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4대강 수계 16개 보를 대상으로 보별 오염물질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수질관리를 목적으로 미공병단에서 개발된 CE-QUAL-W2 모형을 이용하여 보별 유기물(BOD, TOC), 영양염류(TN, TP), 조류생체량(ALG)에 대한 물질수지를 분석하였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설정하여 각 보 구간에서 상류 보, 지류, 하수종말처리장의 유입부하를 입력조건으로 구성하였으며, 검증된 모델 입력자료 및 출력자료를 바탕으로 각 수질항목에 대한 유입 및 유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월별 및 연간 오염물질의 증감 양을 비교 분석하여 보 구간에서 오염물질의 생산 및 소멸 여부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오염물질의 증감 양은 수계 및 보별, 월별 및 연도별, 그리고 수질항목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5년간 평균 수계별 보 구간으로 유입부하량, 유출부하량에 대한 증감율을 보면 한강수계 3개보의 경우 BOD는 -5.4~3.1%, TN은 -3.9~1.1%, TP는 -6.9~-0.9%, TOC는 -8.1~-2.1%, ALG는 14.4~30.8%를 나타내었으며, 낙동강수계 8개보의 BOD는 -10.3~10.6%, TN은 -12.2~11.4%, TP는 -14.9~21.6%, TOC는 -16.6~2.3%, ALG는 -29.5~30.1%, 금강수계 3개보의 BOD는 -1.6~ -0.5%, TN은 -2.6~-0.9%, TP는 -6.6~-3.9%, TOC는 -5.4~-4.9%, ALG는 3.5~21.5%, 영산강수계 2개보의 BOD는 -0.4~3.1%, TN은 0.6~2.0%, TP는 -9.8~-0.9%, TOC는 -11.4~-10.3%, ALG는 30.3~36.5%로 전반적으로 낙동강수계의 BOD와 TP, 영산강수계의 BOD와 TN을 제외한 오염물질이 보 구간 내에서 침전, 분해 등에 의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생체량은 낙동강의 낙단보와 구미보를 제외한 보 구간 내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금강과 영산강은 하류로 갈수록 조류생체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ediction of pollution loads in Geum River using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을 이용한 금강유역 옥천의 오염부하량 예측)

  • Lim, Heesung;An, Hyu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45-445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오염은 21세기 인류에게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환경적인 측면에서 하천오염은 경제적으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하천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의 농도 측적 및 데이터 축적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오염물질 부하량에 대한 직접적인 측정은 비용 측면에서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또한 실시간으로 BOD, COD, TN, TP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예측하는 것에는 자료의 부족성으로 인해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글의 딥러닝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인 텐서플로우를 활용하여 기계학습을 통한 하천오염 예측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계학습을 위하여 텐서플로우를 활용하여 RNN, LSTM 인공신경망 모형을 구축하였다. 하천오염의 학습과 예측을 위해 결과치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금강 유역에 위치한 옥천 관측소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이원대교에 위치한 $36^{\circ}14'31.0''N$ $127^{\circ}40'02.6''E$의 관측소에서 BOD, COD, DO, 부유물질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모형의 학습을 위해서 입력자료는 수위, 유량, 평균기온, 평균풍속 자료를 2004년 ~ 2017년까지의 14년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BOD, COD, DO 부유물질 자료는 물환경정보시스템(http://water.nier.go.kr/)의 자료를 활용하고 수위, 유량등의 자료는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http://www.wamis.go.kr/)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수온, 수위, 풍속등의 자료는 일 자료가 있는가 반면 BOD, COD, TN, TP등의 자료는 일 자료가 있지 않아 이를 원활히 활용할 수 있도록 예측을 위한 결과치의 선형보간법을 통해 일 자료를 획득한 후 연구를 하였다. RNN, LSTM의 분석 시 학습속도, 반복시행횟수 sequence length의 길이 등의 값을 조절 하면서 결과치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