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 물질

Search Result 5,99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valuating origin of pollution load by stormwater runoff in Hongje basin -Focussing Gugi catchment (홍제천 유역의 강우유출수 오염부하 기원평가 -구기 배수분구를 중심으로)

  • Oh Kyung-Seok;Ho Jong-Kwang;Hwang Byung-Gi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11a
    • /
    • pp.288-291
    • /
    • 2004
  • 강우유출수의 오염기원별 기여도를 파악하고자 홍제천 유역의 구기 배수분구를 대상으로 강우시 유량 및 오염물질 발생경향 및 오염기원별 오염도 분석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강우시 발생초기의 오염물질의 농도는 강우에 의한 초기세척현상(First Flush)에 의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강우초기의 높은 오염물질의 농도는 강우에 의해 희석되어 일시적으로 낮아졌다가 높은 강우강도에 의하여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이후 오염물질의 농도는 유량의 감소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수지식을 이용한 근사적인 오염부하의 오염원별 기여도 분석에서 관거 퇴적물에 의한 오염도가 COD $27.7\%$, SS $47.5\%$로 나타났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건기 하수보다도 더 높은 기여도를 보이고 있어 월류수 오염부하의 제어측면에서 정기적인 관거내 퇴적물의 준설과 세정을 통하여 상당량의 오염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odeling the Resident Characteristics of Land-Based Pollutant Inflow to Suyeong Bay (수영만으로 유입되는 육상기인 오염물질의 체류특성 모델링)

  • Jung, Woo-Sung;Hong, Sok-Jin;Lee, Won-Chan;Kim, Hyung-Chul;Kim, Jin-ho;Kim, Dong-M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1
    • /
    • pp.45-57
    • /
    • 2019
  • The resident characteristics of land-based pollutants were analyzed to manage the pollution sources affecting Suyeong Bay. Thes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a hydrodynamic model and particle tracking model. Pollutants were represented by particles, and the amount of particles and pollutants was represented proportional. The residen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amount of pollutant load, resident pollutants, and the ratio of resident pollutants remaining in the bay relative to the incoming load for each the of pollution sources. The order of the pollution sources was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mount of resident pollutants at Suyeong Bay. the Suyeong WasteWater Treatment Plant(WWTP), Nambu WWTP, Suyeong river and so on. The amount of resident pollutants was smaller for small load farther away from the interior of bay. Nambu WWTP had the greatest load among the pollution sources, but it showed the smallest ratio of pollutants remaining in the bay relative to incoming load among the pollution points. The result indicates that pollutants affect sea area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each area and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pollution sources.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Micropollutants in Water System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other Potential Effects (기후변화 등 잠재적 영향을 고려한 수중 미량오염물질의 관리방향 연구)

  • Kim, Hojeong;Hong, Yongsuk;Ahn, Jong Ho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1 no.6
    • /
    • pp.645-654
    • /
    • 2013
  • In this study, the management polices of micropollutants (MPs) were reviewed and the future management strategy was discussed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etc. In Korea, the investigation of drinking water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for the priority contaminants as well as MPs. Recently river and lake waters have been also examined for MPs. However, the coverage and depth of the investigation is limited. Moreover, climate change is likely to increase air & water temperature and it will affect the hydrological cycle. Such changes may increase the residual concentrations of MPs in water system. As water reuse increases, the residual MPs of the recycled water may create public concerns. Thus, in a viewpoint of the precautionary principle, more stringent management of MPs is recommended for the drinking water and the body-contact water use. For the surface water, more studies a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risk by MPs.

월경성 대기오염 규제 동향 : 유럽 및 북미 <1>

  • 기준학
    • Environmental engineer
    • /
    • s.167
    • /
    • pp.22-25
    • /
    • 2000
  • (1) 월경성 대기오염물질 규제협약의 배경 - 유럽지역 내 강산성 강수 피해지역의 확대되면서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산성 강수 피해는 유럽대륙과 영국으로부터 발생한 대기오염 물질에 의한 것임이 밝혀져 국가간 공동 노력의 필요성이 대두됨. (2) 협약의 목적 및 의의 - 협약의 목적 o (인접국의 환경보전)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에 따라 지역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해효과를 줄여 자국뿐 아니라 인접국가의 자연환경을 보존하는데 있음. - 협약의 의의 o (

  • PDF

자동차 배기가스와 대기오염

  • Lee, Yeong-Ju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7 s.281
    • /
    • pp.66-75
    • /
    • 2002
  • 과거 10년전만해도 산업, 난방, 발전 등이 대기오염의 주된 원인이었으나 자동차의 증가로 말미암아 최근에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즉 질산화물질(NOx),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총먼지(TSP : Total Solid Particlate), 아황산가스(SO2) 등이 대기를 오염시키는 주요 물질이 되었다. 인구의 증가, 산업의 발달, 경제수준의 향상은 자동차 증가를 촉진시키는데 촉매제 역할을 해왔으며 대도시에서의 자동차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량은 앞으로도 차량의 증가와 더불어 가속화할 전망이다.

  • PDF

Comparison of Seasonal Pollutant Loads Estimated at Coal mining Area (광산(탄광)지역의 계절별 오염부하량 비교 분석)

  • Shin, Hyun-Jun;Shin, Min-Hwan;Seo, Ji-Yeon;Choi, Yong-Hoon;Won, Cheol-Hee;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028-1032
    • /
    • 2009
  • 비교적 한정되고 정해진 구역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점오염이라고 하는 반면, 비점오염은 도시, 농지, 산지, 등 불특정 구역에서 오염물질을 발생시킨다. 점오염에 관한 오염관리가 체계적으로 시행되었던 이전과 달리 최근에는 비점오염에 대한 대책이 시급해짐에 따라 정부는 비점오염에 대한 중요성을 유념하여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오염총량관리제를 시범적으로 실시하였다. 환경부는 기존 비점오염원 원단위 부하를 세분화 하여 오염총량제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비점오염의 관한 연구 중 광산(탄광)지역의 관한 연구는 매우 적다. 본 연구는 광산(탄광)지역의 장기간의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을 통하여 계절별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량을 비교하고, ESTIMATOR 모델 방법으로 T-N과 T-P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광산(탄광)지역의 장기적인 모니터링 수행으로 비점오염부하 산정의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ong-Term Effect of Consolidation on Contaminant Transport (압밀이 오염물질 이동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 Lee, Jang-Guen;Kim, Do-Yoon;Park, Jae-Woo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7 no.1
    • /
    • pp.35-40
    • /
    • 2011
  • Dredging and disposal is a conventional method to remove contaminated sediment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dredging and disposal, such as disturbance of contaminated sediments, disposal site determination, and high construction cost. Recently, in-situ capping which overcomes the problems of dredging and disposal is widely applied to isolate local contaminated sites. Numerical studies, which have been conducted to simulate contaminant transport during in-situ capping, have been concerned mainly with diffusive transport. However, contaminated sediments experience large strain consolidation induced by self-weight because of initially high moisture content of sediments, and contaminant transport results from advection and diffusion. Previous studies focus on contaminant transport during consolidation, but have neglected consolidation effect on long-term contaminant transport in sediments. This study presents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of consolidation effect on long-term contaminant transport in sediments.

Analysis of Reduction Efficiency of Storm water and Pollutant in Filter Type and Clearance Type Permeable Blocks (침투형 및 틈새형 투수블럭에서의 빗물유출 및 오염물질 저감효율 분석)

  • Gil, Kyungik;Lee, Da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0-210
    • /
    • 2020
  • LID (Low Impact Development, 저영향개발)는 산업화 및 도시화 진행 지역에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제어해 개발지역 내 자연순화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고, 물순환 기능증대를 통해 강우 유출수를 지역 내에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점오염원 저감 LID 시설에는 자연형과 장치형 시설이 있다. 자연형 시설에는 저류형, 침투, 식생형 시설 등이 있다. 특히, 침투시설에는 대표적으로 투수블럭이 있으며, 이는 투수성 포장재를 통해 강우 유출수를 지하로 침투시켜 여과나 흡착 등으로 비점오염물질을 제어하는 시설이다. 장치형 시설로는 여과재나 망을 이용해 비점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여과형 및 스크린형 시설, 응집과 침전을 통해 비점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응집·침전 시설 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8년 3년간 전주 서곡지구 지역 내 설치된 필터형 투수블럭, 틈새형 투수블럭에서 진행했다. 각각의 투수블럭에서 총 19회, 20회의 강우 모니터링을 실시했고, 오염물질 유입 및 유출 EMC 등의 분석을 통해 유출 및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분석했다. 연구 대상 각 투수블럭의 주요 제원은 시설 용량 14.4㎥, 시설 면적은 14.4㎡이다. 모니터링 결과값을 분석한 결과 필터형 투수블럭의 경우 유출 저감율은 17.4 ~ 100%, 틈새형 투수블럭은 29.6 ~ 100%이었다. 필터형 투수블럭과 틈새형 투수블럭의 단위면적당 유량 저감량은 각각 0.014 ~ 0.583㎥/㎡, 0.035 ~ 0.588㎥/㎡이었다. 오염물질 저감효율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 항목(BOD, TOC)의 경우 틈새형 투수블럭에서의 저감효율(BOD 93.59%, TOC 90.39%)이 필터형 투수블럭에서의 저감효율(BOD 89.99%, TOC 86.94%)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영양염류 항목(T-N, T-P)의 경우 필터형, 틈새형 모두 비슷한 저감효율(필터형 T-N 89.02%, 필터형 T-P 98.12%, 틈새형 T-N 90.41%, 틈새형 T-P 98.04%)을 보였다.

  • PDF

Property of Organic Pollutants in Southwest Coastal Sea (서남해 연안에서의 유기오염물질 특성 규명)

  • Lee Mun-Hee;Park Ji-Yeong;Han Sang-Kuk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4.05b
    • /
    • pp.85-88
    • /
    • 2004
  • In this study, properties of organic pollutans were examinated using simultaneous determination from Kwang-Yang Bay, Ka-Mac Bay, Ywan-Do, Hae-Nam, Young-Kwang, Mokpo in Southwest coastal sea. As result, score species of organic pollutants detected coastal sea during summer-winter season Many species of Phenols and Phthalates detected regardless of season in several point Especially, Pesticiides reprosented during summer between Kwang-Yang Bay, Ywan-Do, Hae-Nam. But in winter-season, many species of Aromatic compounds analyzed out in Kwang-Yang Bay. This results consider by pollution of organic pollutans from ship, flow hrbor, estuary, bay.

  • PDF

DComparison of nonpoint source models for considering water and nutrient process in paddy fieldsl (물순환 및 물질순환 기작을 고려한 논비점오염 모델링 비교)

  • Cho, Jae-Pil;Jang, Jeong-Ryeol;Jeon, Ji-Hong;Song, In-Hong;Song, J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86-186
    • /
    • 2012
  • 새만금에서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서는 새만금호의 수질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농업비점오염 부하량이 총인기준으로 52~72%를 차지하는 것을 고려할 때 농업비점오염 관리는 중요하다. 이에 "새만금유역농업비점오염 저감기법 개발 연구"를 통해 논과 밭 등의 농업비점 오염원별 최적관리기법 개발을 목적으로 모니터링 연구가 수행되었다. 유역규모 물수지 및 물질수지 분석에 있어서 논은 전체 농업용수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농업비점오염 중에서 논은 물고 및 담수심의 관리에 따라서 기타 토지이용과 상이한 유출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유역규모에서 논으로부터 발생되는 비점오염의 시공간적인 부하량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논에서의 물관리와 시비관리에 따른 수량과 수질의 유출특성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물관리 및 시비관리 방법에 따라 논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부하량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논에서의 물수지 및 물질수지 모니터링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모니터링 접근 방식은 오랜 시간과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려되어 지고 있는 여러 저감기법들 중에서 농업비점오염물질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가장 적합한 저감기법 (Best Managment Practices, BMPs)을 선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수학적인 모형들이 사용되어 왔다. 비점오염 관리는 오염물질이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양 자체를 줄이거나 또는 오염원으로부터 수체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운송을 차단시키는 방법들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논에서의 비점오염 모델링 또한 논에서의 유출 특성 및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물질과 관련된 기작을 고려한 모형들이 선택 및 적용되어야 한다. 논에서의 물관리 및 시비관리를 고려할 수 있는 모형들로는 CREAMS-PADDY, GLEAMS-PADDY, PADDYMOD, APEX와 같은 모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논으로부터의 비점오염 부하량 예측을 위해 사용되어 온 모형들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고 적합한 모형들을 동일한 시험포장에 적용하여 논 비점오염관련 모형들의 국내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