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실태

Search Result 41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study of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Information System (수질오염원정보화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Lee, Kyoung-Do;Min, Yoon-Ki;Lee, Soo-Moon;Jung, Se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354-1358
    • /
    • 2008
  • 수질오염관리 정책이 배출원 관리에서 유역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사전 예방적 유역관리정책으로 변화됨에 따라 단순문서에 의한 오염원 자료관리 등의 업무처리체계로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실시에 따른 실무지원이 어렵다. 이를 위해서는 수질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에 근거한 하천, 호소 및 오염배출실태자료의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며, 유역환경(단위유역, 소유역 등)에 대한 기초정보와 국가수질측정망 자료 및 자치단체 소하천 등의 수질자료의 연계활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경기도에서는 수질오염총량제 시행에 따른 유역관리현황 정보를 구축하고, 국가하천을 중심으로 한 중앙정부의 유역환경정보와 지방하천 및 소하천을 중심으로 한 지방자치단체의 유역환경정보를 통합, 운영함으로써 통합적인 유역관리지원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수질측정망 및 수위-유량 등 수문자료와 배수구역도, 단위유역도, 항공사진 등 지리정보를 활용한 유역관리정책 기반을 구축하고, 경기도 및 31개 시 군의 유역관리정책수립 및 시행에 필요한 논리적, 기술적 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염총량관리제도의 의무제 전환이 예측되는 상황에서 향후 광역시도간 광역계획 혹은 경기도내 시군의 오염총량관리계획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기도 차원의 수질측정망 자료, 오염원 실태조사 자료 및 수위-유량 등 수문자료와 배수-구역도, 토지이용도, 단위 유역도, 항공사진 등 GIS 자료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경기도내 시 군 환경담당부서의 업무분석을 통해 업무에 활용되는 주요 환경자료에 대한 업무지원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수질오염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신항(창원) 배후지역의 미세먼지(PM10) 및 소음 특성 분석

  • Jeong, Su-Hyeon;Song, Hyo-Jin;Jeong, Jae-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76-178
    • /
    • 2019
  • 부산항은 초미세먼지 기준으로 세계 10대 오염항만으로 보고되어, 우리나라 항만도시의 대기오염도가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선박, 하역장비, 대형화물차 등 항만오염배출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는 항만지역 내외를 가리지 않고 배후도시 지역민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외 하역장비, 대형화물차 등 항만운영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 또한 지역민 주거생활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이 연구는 부산항 신항의 배후도시인 창원시 항만배후지역(웅동생활권)의 주민이 겪고 있는 환경피해실태를 파악하고자 항만배후지역의 생활환경 중 체감오염도가 높은 미세먼지($PM_{10}$)와 소음에 대한 기초 영향조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신항(창원) 배후지역의 미세먼지($PM_{10}$) 농도는 인근 지역인 창원시 경화동, 부산시 녹산동보다 높게 조사되었고, 경남지역 대기측정소(21개)의 평균보다 최대 $25{\mu}g/m^3$ 이상 높게 측정 되었다. 또한, 신항(창원) 배후지역의 소음도는 환경관리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실태조사 연구

  • 이윤규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6
    • /
    • pp.24-31
    • /
    • 2004
  • 국내의 경우, 2004년 5월부터 시행예정인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따라서, 학교 등의 일부 건축물을 제외하고 신축공동주택 및 대부분의 거주용 공간에 대한 실내공기질관리법이 제정되었다. 이러한, 건축물 내에는 다양한 오염원(sources)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포름알데히드(HCHO), 라돈(Radon), 석면(Asbestos),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_2$), 이산화질소(NO$_2$), 오존(O$_3$), 미세 먼지(PM10), 부유세균 등 유해오염물질(contaminants)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실내공기오염은 각 오염원에서의 유해오염물질 방산정도(emission rate)가 실내외 환경조건, 적용 건축자재의 종류 및 공법 , 환기설비의 특성 및 유형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측정방법의 정립과 그에 따른 적절한 실태조사의 실시가 필요하다. (중략)

  • PDF

Marine Pollution in Korean Seas: An Emerging Environmental Issue (우리 나라 주변해역의 오염현황과 오오원)

  • 이동수
    • 한국해양학회지
    • /
    • v.28 no.2
    • /
    • pp.132-136
    • /
    • 1993
  • Attempt was made to identify potential pollutants in Korean Sean and to assess their environmental qualities. Existing pollution data for these Seas so scarce that environmental quality assessment was not possible. However, numerous pollutants were identified. Among them, heat and radioactivity from electric power plants, organic wastes from ocean dumping and land based sources, and accidentally spilled oils are suspected to be of most concern.

  • PDF

A Survey of Zearalenone in Bean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and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HPLC-FLD 및 LC-MS/MS에 의한 두류 중 제랄레논 오염실태 조사)

  • Jang, Mi-Ran;Lee, Chang-Hui;Lee, Hyo-Jeong;Kim, Ji-Yeon;Son, Sang-Hyeok;Sin, Chun-Sik;Kim, So-Hui;Kim, Dae-Byeo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0 no.3
    • /
    • pp.354-359
    • /
    • 2008
  • A survey for zearalenone contamination was conducted on 27 soy bean samples, 27 red bean samples, 16 black bean samples, 19 seoritae samples, 14 seomoktae samples, for a total of 127 commercial Korean samples. Zearalenone was quantified by the immunoaffinity column clean-up method with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ion (HPLC-FLD), and was confirmed by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LC-MS/MS). The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were $2.0{\mu}g/kg$ and $6.0{\mu}g/kg$, respectively. The recovery in the beans ranged from 82.2 to 98.4%. According to HPLC-FLD, zearalenone was detected in 13 samples (10.2% incidence), including 1 soybean and 12 red bean samples. The zearalenone contamination levels were in the range of 8.01${\sim}38.98{\mu}g/kg$. Finally, LC-MS/MS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contaminated samples to verify the results of HPLC-FLD. The LC-MS/MS results confirmed the presence of zearalenone in all 13 samples. The contamination level was lower than that of EU, which is below $100{\mu}g/kg$ for raw grains.

Improvement of the Soil Pollution Investigation in South Korea and Gyeonggi-do (전국 및 경기도를 대상으로 한 토양오염실태조사의 효율성 제고방안)

  • Na, Kyung-Ho;Kim, Jong-Chan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6
    • /
    • pp.31-3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soil pollution investigation conducted at South Korea and Gyeonggi-do, and to drive the way to improve its efficiency. The average pollution discovery rates in the soil pollution investigation were 2,7% in South Korea and 1.9% in Gyeonggi-do respectively during the last six years (2002${\sim}$2007), which the discovery rates were lower than those of Japan and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exceeding rate of the Korea soil pollution standard of the heavy metal and petroleum compounds in the soil pollution investigation were 89.8% and 8.9%, respectively in the whole country. The investigation rate of topsoil for heavy metal and deepsoil analysis for petroleum compounds analysis were 38% and 62% respectively. This show contradictory result which is demanded the improvement of investigation method on the deep soil. The main steps affecting the discovery rate of soil pollution were site selection step, sampling step and analysis step. We suggested the the guideline of priority on the site selection step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step. Also, the certificate need to be provided to the companies which have lower soil pollution degree after conducting the soil pollution investigation.

Groundwater Contamination of Noroviruses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Korea (부산, 울산 및 경상남도 지역의 지하수 중 norovirus 오염실태 조사)

  • Park, Byung-Ju;Oh, Hae-Ri;Kang, Ho-Young;Jang, Kyung-Lib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1 no.6
    • /
    • pp.819-828
    • /
    • 2011
  • To inspect norovirus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in south eastern areas of Korea, a systematic survey of groundwater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was performed for two years from 2009 to 2010. For this purpose, we first optimized the nested reverse transcription-PCR condition by designing two sets of primers for the detection of norovirus genogroups, GI and GII. Of 145 samples, 21 (25.9%) and 15 (23.4%) were norovirus positive in the dry season (April to June) and wet season (July to August), respectively. The detection frequencies of norovirus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were 15%, 7%, and 32%, respectively, reflecting a geographical difference in their distribution. The GI and GII isolates were 5 and 31, respectively, indicating the prevalence of GII in the tested areas. According to phylogenetic analysis of their nucleotide sequences, all of the GI isolates were identified to genotype GI.5 whilst the GII isolates were divided into two genotypes, GII.3 and GII.4. Neither physical-chemical parameters such as pH, temperature,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and dissolved oxygen, nor microbial indicators of water quality such as total bacteria, total coliforms, and Escherichia coli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contamination of norovirus in the groundwater. Interestingly, however, the presence of norovirus was closely correlated with low turbidity (<0.50 NTU).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periodical monitoring of norovirus in groundwater is necessary to prevent epidemic waterborne diseases and to secure better sanitary conditions for public health.

오염방지 시설을 이용한 지하수 환경성 복원 연구

  • 이병대;조병욱;성익환;함세영;정상용;윤성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155-158
    • /
    • 2002
  • 질산성질소 및 탁도로 오염된 지하수공에 대하여 환경성 복원을 위한 오염방지 시설을 시범 설치하였다. 지하수공에 대한 오염 정도를 조사한 결과 PS-1, CW-1, 그리고 CW-2 공이 질산성질소로 오염되어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였고, CW-3 공은 탁도가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였다. 오염원은 지하수공 개발시 수량 확보를 위하여 그라우팅을 제대로 하지 않은 불량시공으로 인한 오염된 지표수의 유입으로 기인되었다. 금번 연구는 오염된 지하수의 환경성 복원을 위한 것으로, 오염원과 지하수를 격리시켜 오염물질의 지하수 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커 그라우팅을 완벽하게 다시 실시하였으며, 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먼저 대수층의 분포 및 특성팍악, 지하수공내 지표수의 유입구간 규명, 지하수 오염원, 오염실태, 오염경로 등을 파악하였다 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한 후, 설치 전,후의 질산성질소와 탁도의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PS-1의 경우, 오염방지시설 설치전의 질산성질소 함량은 16.1 mg/L 이었으나, 설치후에는 8.1 mg/L, 7.9 mg/L로써 설치전에 비하여 51% 감소되었으며, CW-1은 10.3 mg/L에서 6.3mg/L으로 39%, 그리고 CW-2는 14.9 mg/L에서 9.0 mg/L 으로 40% 감소되었다. CW-3 공의 탁도는 157 NTU에서 0.97 NTU로 완벽하게 복원되었다.

  • PDF

비점오염원 관리실태 및 향후 추진과제

  • Choe, Ji-Yong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2
    • /
    • pp.22-24
    • /
    • 2014
  • 비점오염원 관리는 점오염원과는 달리 사전예방적 토지에 기반을 둔 주민의 참여가 중요해지는 환경적 사회적 여건변화에 따라 국민의 환경관리 의식을 제고시키기 위해서 보다 적극적인 환경보전의무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비점오염원은 정상적인 사회 및 경제활동에도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축적되어 있다가 강우시 배출되고 있다. 또한 비점오염원의 특성상 오염원인자가 매우 많으며, 특정 원인자만을 지목하기 어려우며 특정 시설에 대한 책임만 고려하기 보다는 오염물질과 그에 따른 행위책임을 함께 부여하는 것이 타당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