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물질 제거기작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Removal Mechanisms for Water Pollutant in Constructed Wetlands: Review Paper (인공습지에서 오염물질 제거기작 및 국내외 연구동향)

  • Ko, Dae-Hyun;Chung, Yun-Chul;Seo, Seong-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4
    • /
    • pp.379-392
    • /
    • 2010
  • In these days, constructed wetlands are applied in Korea for various purposes ; post-treatment of effluent in wastewater treatment, management of stormwater and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s. However, the removal mechanisms for water pollutant in constructed wetlands are not clearly understood because they are affected by climate, influent characteristics and local constraints. Therefore,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process that the pollutant, especially nitrogen and phosphorus, of the wetland is removed by. In this study, the main nitrogen removal is performed by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mechanism in the rhizosphere of constructed wetlands. And the majority of the phosphorus is removed by adsorption on the substrate of wetland. However the fate of phosphorus in wetlands can be diverse depending on the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ORP), adsorption/desorption, precipitation/dissolution, microbial effect, etc.

Performance Evaluation of CPRI using Weibull Distribution Function (Weibull 분포함수를 이용한 CPRI의 성능평가)

  • 이승훈;정장표;이승묵;신찬기;장남익;장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35-136
    • /
    • 1999
  • 대기 침적은 대기중으로 방출된 오염물질의 제거기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대기로부터 자연계의 표면에 침적되는 대기중의 유해물질들이 환경계에 미치는 영향과 그들의 이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작의 하나이다. 그러나 건식 침적의 경우 공간 및 시간적 변화가 크고 침적되는 표면과 대기 사이의 상호 반응이 침적되는 물질의 양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수 있기 때문에 그 측정이 상당히 어렵고 또한 시료 채취시 세심한 주의와 축적된 경험을 요구한다.(중략)

  • PDF

Nutrient Removal Efficiencies in Marsh- and Pond- type wetland Microcosms (실험실 조건에서 소택지, 연못형 습지의 영양염류 제거효율 평가)

  • Song, Keunyea;Kang, Hojeon0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7 no.4
    • /
    • pp.43-50
    • /
    • 2005
  • Wetlands can transform or remove pollutants from water body, such as nitrogen, phosphate, and organics. Many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relation to uptake process by aquatic plants in wetlands. However, water purification processes in wetlands are the results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especially microbiological reactions. As such, understanding on microbial processes is of great importance. In this study, we used pondor marsh-type wetland microcosms for investigating the water purification capacity and microbial functions, namely,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In a pond system, removal efficiencies of $NO_3{^-}$ and $PO{_4}^{3-}$ were 96% and 100 % respectively, while those in a marsh system were 94%, 100% respectively. These high removal efficiencies appeared to be caused by high adsorption ability to soils and microbial functions in wetland.

  • PDF

Effect of Surfactant Molecules on the Aqueous Solubility of two PAHs (새로운 계면활성제들에 의한 두 PAH의 수중 용해도 증가)

  • 이진희;박재우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5 no.1
    • /
    • pp.65-73
    • /
    • 2000
  • Surfactants have been extensively considered for decontamination of the subsurface polluted with hydrophobic organic compound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lecular structures on the solubilization of hydrophobic organic compounds, solubility enhancement of two PAHs in solutions of three different surfactants-conventional, dianionic, and gemini. The batch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gemini was the most effective and the dianionic was the least, indicating that organic carbon content of the surfactants was the major factor which determines the sorption capacity of surfactant aggregates in water, unlike some of the previous reports.

  • PDF

Evaluation of constructed wetlands' effectiveness based on watershed characteristics and facility size (유역특성 및 시설규모가 인공습지 효율에 미치는 영향 평가)

  • Choe, Hye-Seon;Reyes, Jett;Jeon, Min-Su;Geronimo, Nash Franz Kevin;Kim, Lee-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7-457
    • /
    • 2021
  • 인공습지는 자연이 가진 정화기작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조성한 자연기반해법에 해당한다. 인공습지는 습지 내 식물, 미생물, 토양 등의 상호기작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인공습지의 오염물질저감효율은 시설의 규모와 유량, 유입물질의 부하량 수리학적 부하량, 체류시간 등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인공습지 적정 규모는 유역 및 기상인자의 특성과 조성목적에 고려하여 산정된다. 본 연구는 전국 35개 지역에 설치된 54개 인공습지를 선정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2011년부터 2018년에 설치된 시설이다. 54개 시설 중 도심지역에 13개, 농업지역 25개, 공업지역 3개, 상업지역 3개, 축산 10개가 설치되어있다. 습지형태는 Cell형 자유수면형 인공습지(Free Water Surface, Cell-FWS), 유로형(Flow) 자유수면형 인공습지(Cell-FWS), Cell과 Flow형이 결합된 Hybrid-FWS, 수직흐름형 인공습지(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와 수평지하흐름형 인공습지(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가 결합된 HYBIRD 형 습지로 구분된다. 연구결과, 일반적으로 SA/CA 비율이 클수록 오염물질의 저감효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 물질별 인공습지 규모를 비교할 경우 저감효율 60%에서 인공습지의 규모는 유기물>영양염류>입자상물질 순으로 나타났다. 목표 제거효율 60%에서 SA/CA 비는 BOD에서 약 3.2%, COD에서 2.5%, SS에서 1.9%, TN 2.5%, TP 2.3%로 나타났다. 입자상물질인 SS는 유기물 및 영양염류에 비하여 유역면적 대비 시설면적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유기물질 제거에 큰 시설규모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습지 설계시 유역 토지이용 및 강우특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질과 유량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목표 오염물질 선정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업지역의 최적화된 인공습지 위치는 임야가 20~30%, 밭이 20% 이하, 논이 10~50%를 포함하는 곳이 적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도시지역 인공습지는 도시면적이 증가할수록 효율이 크게 변하지 않기에 가용위치가 적정한 위치로 평가된다. 인공습지의 효율은 유역의 세부 토지이용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인공습지 설계시 농업지역에서는 임야, 밭 및 논의 적정면적을 고려하여 인공습지 위치가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dentification of Source Location for Atmospheric Dry Deposition of Heavy Metals during Yellow-Sand Events Using Hybrid Receptor Models (황사시 서울시 대기 중 중금속 건식침적의 오염원 위치 파악을 위한 Hybrid Receptor Model의 적용)

  • 이승묵;허종배;정장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73-276
    • /
    • 2003
  • 대기 침적은 환경 내에서 침적된 물질들이 미치는 악영향으로 인하여 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이 중에서 건식침적이란 대기 중 입자상이나 가스상 오염물질들이 눈이나 비가 오지 않을 때 지구 표면으로 이동되어 제거되거나 반응하는 기작을 말한다. 이러한 건식침적에 관한 연구는 그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주로 간접 측정법에 의하여 추정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 대체 표면을 사용하여 건식침적량을 직접 측정을 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져왔다. (중략)

  • PDF

Water Treatment Using Constructed Wetlands and Research Perspectives in Korea (인공습지를 이용한 수처리 효율 및 향후 연구제언)

  • Gang, Ho-Jeong;Song, Geun-Y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6 no.2
    • /
    • pp.57-63
    • /
    • 2004
  • More than 1000 natural and constructed wetlands have been used to improve water quality. The general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was 84% for BOD and the lowest one was 48% for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In addition, total phosphous removal efficiency was 67%, and the removal efficiencies are related to inflow loading. Researches donducted in Korea have focused on input-output mass balance and uptake by aquatic plant. As such little information if available about complex processes regulating water quality and role of microbes. Therefore, to determine the optimal design for construct, and methods to operate constructed wetland, researches about complex mechanisms of contaminant removal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are necessary.

  • PDF

이론적 Biodegradability를 토대로 한 토양 내 PAH의 Bioavailability 예측 방안

  • 류혜림;남경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266-268
    • /
    • 2004
  • 대부분의 유기물은 토양의 특성에 따라 그 흡착 및 탈착 양상이 다르며 이는 오염물질의 토양에서의 지속성 및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유기오염물인 PAH(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에 대하여 흡착 및 탈착과 오염물질의 미생물 분해 등을 통한 제거 기작과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PAH의 이론적인 미생물분해반응식은 열역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반쪽반응방법을 사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오염물과 토양의 특성에 따른 흡착 및 탈착 양상을 파악하고, 앞에서 구한 미생물 분해반응식을 이용하여 이론적 분해량을 예측하면 오염물의 생물학적 이용성과 노출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여러 특성을 분석한 후, PAH의 미생물 분해량 및 분해율을 측정하고자 한다. 실험을 통하여 실제 토양에서 측정된 PAH 분해량과 위의 이론적 분해량 예측 결과 사이의 관계를 토양의 특성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오염물질의 생물학적이용성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일반화된 예측 모형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토양과 유기오염물질, 미생물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보다 실질적인 유기오염물의 생물학적 이용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Methodology development for measurement of gas phase ammonia and aerosol ammonium(${NH_4}^{+}$) in the atmosphere at real time (대기 중 암모니아 가스 및 암모늄 에어로졸의 실시간 측정 방법 개발)

  • 강은하;이재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96-98
    • /
    • 2000
  • 암모니아는 대기 중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존재하는 염기성 미량기체로서 SOx나 NOx와 같은 산성기체와 반응하여 대기중 산성도를 중화시키고 2차적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암모니아가스는 이 반응에 의하여 에어로졸 내에서는 암모늄 이온(${NH_4}^{+}$)으로 존재하게 된다. 산성기체를 중화시킨다는 입장에서 염생성 반응은 산성기체의 제거 기작이 될 수 있으나 이 때 생성된 에어로졸은 주로 PM2.5 이하의 2차적 에어로졸로 존재하여 호흡기장애, 건물 부식, 시정 감소 등의 피해를 주는 오염물질이 된다. (중략)

  • PDF

Recent Development of Removal and Treatment of Toxic Heavy Metals by Microorganisms (유독 중금속 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미생물균주의 최근 이용 및 개발)

  • 방상원;최영길;한명수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19 no.2
    • /
    • pp.93-99
    • /
    • 2001
  • There are several ways to remove and treat toxic heavy metals in the environment: chemical, physical and biological ways. The biological treatment utilizes the natural reactions of microorganisms living in the environments. These reactions include biosorption and bioaccumulation, oxidation and reduction, methylation and demethylation, metal - organic complexation and insoluble complex formation. The biological reactions provide a crucial key technology in the remediation of heavy metal-contaminated soils and waters. According to recent reports, various kinds of heavy metal species were removed by microorganisms and the new approaches and removal conditions to remediate the metals were also tried and reported elsewhere. This was mostly carried out by microorganisms such as fungi, bacteria and alga. In addition, a recent development of molecular biology shed light on the enhancing the microorganism's natural remediation capability as well as improving the current biological trea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