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도 산정

Search Result 971,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Seasonal Variation Estimation of Inflow Pollutant Loads of Yeong-il Bay by using Tank Model (Tank모델에 의한 영일만 유입오염부하량의 계절변동 예측)

  • Lee In-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6 no.3
    • /
    • pp.63-71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about the seasonal variation of pollutant loads flowing into the Yeong-il bay from constructing Tank model which is the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the daily river discharge and pollutant load in the Hyeong-san river watershed. The estimated annual average river discharge of Hyeong-san river flowing into Yeong-il bay is about 878.34×10/sup 6/㎥/year which is about 73% of annual average of total precipitation in Hyeong-san river watershed. The annual average of pollutant load flowing into Yeong-il bay was estimated each 15.11 ton-COD/year, 23.24 ton-SS/year, 10.65 ton-TN/year, and 0.54 ton-Tp/year. For the seasonal variation of pollutant loads, it was tended as increasing of river discharge as increasing of inflow pollutant loads at June and July of summer and October of autumn. The main source of pollutant loads was found to be the Pohang city and Pohang industrial complex which are located near the mouth of Hyeong-san river. Therefore, for effective water quality management of Yeong-il bay, the counterplan to reduce pollutant loads from the main source of pollutant loads is required.

  • PDF

Determination of EMCs for Rainfall Ranges from Transportation Landuses (교통관련 토지이용에서의 강우계급별 EMC 산정)

  • Lee, So-Young;Maniquiz, Marla C.;Choi, Ji-Yeon;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1 no.2
    • /
    • pp.67-76
    • /
    • 2009
  • The contribution of pollutant loadings from non-point source (NPS) to the four major rivers in Korea exceeded 22~37 % of the total loadings in 2004 and is expected to reach 60 % in 2020. Most of NPS loadings are coming from urban areas, especially from paved areas. Because of high imperviousness rate, many types of NPS pollutant are accumulating on the surface during dry periods. The accumulated pollutants are wash-off during a storm and highly degrading the water quality of receiving water bodies. For this reason,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MOE) developed the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program to protect the water quality by managing the point source and NPS loadings. NPS has high uncertainties during a storm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and watershed areas.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can affect on event mean concentrations (EMCs), mass loadings, flow rate, etc. Therefor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EMCs for rainfall ranges from transportation landuses such as road and parking lot. Two sites were monitored over 45 storm events during the 2006/06 through 2008/10 storm seasons. Mean TSS EMCs decrease as rainfall ranges increase and highest at less than 10mm rainf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efficient scale of BMP facility considering specific rainfall range.

  • PDF

Cost Allocation of River Water Quality Management Considering Development in Upper Basin and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상류지역 개발과 오염총량관리제를 고려한 하천수질관리 비용분담 방안)

  • Yeo, Kyu-Dong;Kim, Gil-Ho;Jung, Young-Hun;Lee,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22-822
    • /
    • 2012
  • 본 연구는 상류의 개발행위와 더불어 현재 수질관리의 기준이 되는 오염총량관리제를 대상으로 '규모의 경제'의 논리를 따른다는 가정 하에, 지자체간에 협조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여 서로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상 하류 지자체와 중앙정부 등 관련 당사자들 간의 비용배분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평동산업단지와 영본B, 영본C를 대상으로 광주, 전남, 중앙정부를 이해당사자로 하여 협조적 상황 하에서 대상 비용배분 문제를 정의하였고, 협조적 게임이론에 근거한 SCRB법 및 샤플리법을 적용하여 비용배분 결과를 제시하였다. 우선 광주와 전남이 각각 삭감해야 할 오염량을 산정하고, 해당 삭감량 만큼 처리하기 위한 하수처리시설의 규모를 설정하였다. 또한 하수처리시설의 건설비와 하수관거 공사비, 유지관리비를 산정하였으며, 하수처리시설의 내용연수인 20년간의 총비용을 2010년 현재가치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상 하류 지자체가 공동으로 대처할 경우 20년간 총비용은 416,311.8 백만원, 개별로 대처할 경우 464,439.6 백만원이며, 공동 대처가 42,359.3 백만원이 절감되므로 양 지자체 모두 협조적 게임에 응할 기본배경은 성립되었다. SCRB법에 의한 지자체별 비용배분율을 산정 결과, 광주 74.24%, 전남 25.76%로 산정되었으며, 2001~2010년 하수도 세입현황을 기준으로 중앙정부의 지원 비율은 10년간 최소 23.98%, 평균 29.22%, 최대 34.17%로, 각각의 비율별로 중앙정부, 광주, 전남의 비용분담액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략적으로 비용을 산정하였으나 오염총량관리 사업은 막대한 예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제로 두 지자체가 협조하여 비용배분을 하게 된다면 하수처리시설의 수질개선효과, 하수처리시설 위치선정, 사업비용 등을 세밀하게 분석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오염총량관리제에서 제시하는 목표수질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지자체의 정책에 따라 친수활동 증대와 생태 자연환경 개선 등과 같은 수질개선에 따른 간접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오염 총량관리제의 목표수질보다 더 나은 수질을 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협조적 게임의 상황을 복잡하게 하여 해결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으나, 수질개선에 의한 다양한 효과를 편익으로 산정할 수 있다면 이를 협조적 게임에 적용하여 전반적인 수질개선에 대한 지자체의 적극적 활동을 유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 PDF

The research about the estimate of concentration ratio by the hydrologic condition of river watershed (하천의 수문조건에 따른 오염물질 유달율 산정에 관한 연구)

  • Ahn, Seung-Seop;Seo, Myung-Joon;Jung, D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19-202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유역과 점오염원, 비점오염원을 종합하고, 방대한 자료를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유역의 지형적인 특성과 수리 수문학적인 특성 및 오염원의 공간적인 분포 특성을 반영하여 유달부하량의 모의가 가능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주요 지류에 대한 유달율산정에 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낙동강 유역 중 본류가 시작되는 곳으로부터 금호강지류와 합류하는 지점까지로 선정하였으며 SWAT 모형에 적용되는 자료는 2005년 1월${\sim}$12월의 실측 자료를 이용하였다. 유달율 산정 항목으로는 BOD, T-N, T-P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강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계절에 유달율이 높게 산정되었으며 또한 유역면적 보다 유량과의 상관성이 유달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확한 배출부햐량의 산정을 위하여 강우의 영향과 발생부하 원단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for Actual Discharge Data for TMDL in Nakdong River Basin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낙동강수계 실측유량 자료에 대한 평가)

  • Kim, Gyeong-Hoon;Shin, Chan-Ki;Kim, Yong-Seok;Park, Bae-Kyeong;Yoon, J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4-208
    • /
    • 2008
  • 오염총량관리제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단위유역별로 정확한 배출부하량 산정, 오염부하량 할당 및 이행평가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정확하고 정기적인 유량자료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낙동강 수계총량센터에서는 2004년 8월부터 현재까지 평균 8일 간격(30회 이상/년)으로 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41개 지점과 시도요구 6개 지점 등 총 47개의 지점에 대해 직 간접적으로 유량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이렇게 획득된 실측유량은 낙동강에서 시간에 따른 지점별 유량 변동추세 파악의 근거자료가 되며, 10년 평균 저수량과 같은 기준유량 산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주요 수질정책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총 4년간 수행된 낙동강수계 단위유역별 유량측정성과에 대한 평가 및 수행결과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mission of Criteria Pollutants Emission Factors from Stacks (환경기준물질 배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 홍지형;이덕길;김대곤;석광설;이대균;이석조;김정태;장세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3-164
    • /
    • 2003
  •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는 국가기관, 연구기관, 학교, 배출사업장, 환경영향평가사업 등 수많은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배출원에 대한 배출특성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본부과금의 산정, 대기오염방지설비의 설계, 오염저감계획의 수립 등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 선진외국에서는 많은 비용과 인력을 동원하여 대기배출자료를 국가적으로 목록화하는 작업을 추진하여 왔으며, 전 세계적으로 강화된 국제적 환경협약과 환경보호를 위한 무역규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국가 대기배출량을 일정한 형식과 산정방법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