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디오 음질

Search Result 13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Quality Assessment and Predistortion Evaluation of the Multi-channel Audio Codec according to the bitrate changing (압축율 변화에 따른 멀티채널 오디오의 품질 및 Predistortion 의 영향 평가)

  • Cha, Kyung-Hwan;Jang, Dae-Young;Kim, Sung-Han;Kim, Chun-Duc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2
    • /
    • pp.55-60
    • /
    • 1996
  • This paper describes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the multi-channel audio quality according to the bitrate changing and evaluates the predistortion effect to avoid the unmasked noise after matrixing/dematrxing process in transmission and regeneration of the multi-channel audio. The simulation is processed by the perceptual coding that is MPEG-2 Audio layer II algorithm. We evaluate the quality improvement about predistortion using or not by 384, 320, 256, 128kbps. As the result of the double blind subjective assessment, 5 Grade-Impairment Scale is scored under minus one to 320kbps and so audio quality is evaluated to be perceptible, but not annoying in 3/2 channel. The effect of the predistortion is improved one level in 128kbps and especially speech test material I better improved than music test materials.

  • PDF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pplied to the Subjective Test of the Sound Quality of the Car Audio (차량 음향 시스템의 음질평가를 위한 다변량 분산분석)

  • Choi, Kyung-Mee;Doo, Se-Ji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0 no.3
    • /
    • pp.475-485
    • /
    • 2007
  • In this work we measured and analyzed the subjective opinions of consumers towards the sound quality of car audios through a questionnaire. First of all, we chose eight controllable factors which had been known to affect the quality of reproduced sound. An orthogonal design of experiments was used to imitate the objective sound environments by reproducing the combinations of 8 sound characteristics, each with two levels. Then we defined 8 corresponding response variables to measure the subjective opinions towards the quality of reproduced sound. Finally, we applied the Multivariate Analysis of Valiance to explore the significant sound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 subjective opinions towards the quality of reproduced sound.

Improved MPEG-Audio Coding Method (MPEG 오디오 부호화 바업의 성능 향상)

  • 신종인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6c
    • /
    • pp.183-187
    • /
    • 1994
  • ISO/MPEG 에서는 스테레오 신호만을 부호화할 수 있는 MPEG-1 오디오 부호화 방법을 5.1 채널의 다채널 신호로 확장한 MPEG-2 오디오 방법을 제안하였다. 압축해야 될 신호가 증가하면서 MPEG에서는 채널 내의 부호화 방법으로는 MPEG-1에서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고, 부가적으로 채널 간의 부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MPEG-1과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호화 방법을 다방면에 걸쳐서 연구하여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PEG 오디오 부호화 방법을 두가지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MPEG에서 제안한 오디오 부호화 알고리듬을 개선하여 음질과 비트율에 있어 향상시키는 것으로 각 서브밴드의 비트 할당 방법과 시간 영역에서의 마스킹 효과 등을 사용한 심리음향 모델 등의 개선 방법이 제안되었다. 두 번째 방법은 부호화기의 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심리음향 모델이나 비트 할당시의 계산과정에 있어 반복적인 과정은 시간 여역에서의 중복성을 이용하여 계산량에 대한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Novel harmonic coding method for parametric audio codec (하모닉 보상방법에 기반한 파라메트릭 코덱 구현에 관한 연구)

  • Jeong, Jong-Hoon;Lee, Nam-Suk;Lee, Geon-H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143-144
    • /
    • 2008
  • 본 논문은 오디오 압축시 하모닉의 특성을 적용함으로써 신호의 압축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하모닉 코딩은 오디오 신호가 가지는 특징인 복합음(Complex tone)의 특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주파수 공간에서 정수배의 주파수가 존재하며, 정면파의 특성상 시간적으로 인접 신호들간의 유사성이 매우 높은 특징을 이용하여 압축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오디오 신호의 경우, 악기들의 harmonic stretch, 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왜곡, 외부 잡음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부정확한 하모닉의 판단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압축과정에서 심각한 음질의 열화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프레림간의 변화 추이의 판단을 통하여 하모닉의 변화를 예측하고, 예측 오류에 대한 보상값을 전달함으로써 오디오 신호의 안정적인 압축/복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호처리 방법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있다.

  • PDF

컨벌루션 신경망을 이용한 공간큐 기반 다채널 오디오 확장 기술

  • Beack, Seungkwon;Lim, Wootaek;Lee, Ta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153-155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하여 예측 된 공간 오디오 큐를 이용한 오디오 채널 확장 기술을 소개한다. 오디오 채널 확장 기술은 일반적인 스테레오 신호에 적용되어 5.1 레이아웃과 같은 고차원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스테레오 신호에서 채널을 확장하기 위해 스테레오 신호에서 공간 큐를 예측하고 예측 공간 큐의 방향에 따라 5.1 채널 신호의 스펙트럼 구성 요소를 할당하여 다중 채널 신호를 합성한다. 제안된 방식으로 생성된 5.1 채널 신호는 원 5.1 채널과 유사한 공간 정보 합성 능력과 스테레오 대비 주관적 선호도가 개선된 음질을 제공한다.

  • PDF

개선된 시간축 정보량 감축 기술 기반 오디오 부호화 기술

  • Beack, Seungkwon;Lim, Wootaek;Lee, Ta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32-3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시간축 정보량을 감축하여 오디오 부호화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한다. 시간축 정보량 감축 방법은 종전의 오디오 코덱에서도 활용되었던 대표적인 기술로 TNS(temporal noise shaping) 기술이 있다. 그러나 TNS 기술은 오디오 신호의 천이구간에서 선별적으로 유효하게 동작하며 그 효율성도 간헐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MDCT(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에서 예측 과정을 수행하는 구조적인 문제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종전의 TNS 기술의 취약점을 보완한 ITES(intensive temporal envelope shaping) 기술을 제안하였다. 제안 기술은 TNS 보다 유효한 오디오 시간영역 정보량을 예측하고 감축하였으며, 개선된 음질을 나타냄을 주관적 평가를 수행하여 검증하였다.

  • PDF

Audio Quality Enhancement using Perceptual Property at a Low-bitrate Compression (지각적 특성을 이용한 저 비트오율 압축 오디오 음질개선)

  • Cha Hyuk-Geun;Chae Byoung-Koog;Cha Hyung-Tai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75-27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저 비트오율 압축 시 발생되는 신호 왜곡을 인간의 지각적 특성을 이용하여 음질을 개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저 비트오율 압축 과정에서 손실된 고주파 영역의 신호를 부가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손실되지 않은 영역의 정보를 사용하여 고주파 영역의 신호를 첨가함으로써 음질을 개선하였다. 비 손실 영역의 순음 및 비 순음 성분을 검출하여 손실영역에 해당 하모닉 성분을 청각 자극 에너지로 스케일 하여 새로운 신호를 첨가한다. 원 신호와 저 비트오율 압축으로 인해 왜곡된 신호, 그리고 본 논문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선된 신호를 신호 대 잡음 비를 측정하고 청감 테스트를 통해 음질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Signal Quality Enhancement using Perceptual Convolutional Noise Suppression (지각형 컨벌루션 잡음 제어를 통한 음질 개선 방법)

  • 김헌중;한헌수;홍민철;차형태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8 no.1
    • /
    • pp.11-18
    • /
    • 2003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ovel signal quality enhancement algorithm with a perceptual interference analysis and perceptual convolutional noise suppression. A perceptual convolutional noise is reflected in the audible disturbance that can still be recognized after the additional noise suppression and tonality change which is caused by the noise energy excitation. The enhancement system is organized with a perceptual additional noise suppression part and a perceptual convolutional noise suppression par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se two parts have an equivalent quality enhancement performance.

Robust Audio Watermarking Algorithm with Less Deteriorated Sound (음질 열화를 줄이고 공격에 강인한 오디오 워터마킹 알고리듬)

  • Kang, Myeong-Su;Cho, Sang-Jin;Chong, Ui-Pil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8 no.7
    • /
    • pp.653-660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robust audio watermarking algorithm for copyright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sound quality after embedding a watermark into an original sound. The proposed method computes the FFT (fast Fourier transform) of the original sound signal and divides the spectrum into a subbands. Then,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energy of each subband and sort n subbands in descending order corresponding to its power. After calculating the energy we choose k subbands in sorted order and find p peaks in each selected subbands, and then embed a length m watermark around the p peaks. When the listeners hear the watermarked sound, they do not recognize any distortions. Furthermore, the proposed method is robust as much as Cox's method to MP3 compression, cropping, FFT echo attacks. In addition to thi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generally 10 dB higher than Cox's method in SNR (signal-to-noise ratio) aspect.

A Two-Stage Bit Allocation Algorithm for MPEG-1 Audio Coding (MPEG-1 오디오 부호화를 위한 2단계 비트 할당 알고리듬)

  • 임창헌;천병훈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5 no.4
    • /
    • pp.393-398
    • /
    • 2002
  • The conventional bit allocation scheme for MPEG-1 audio encoding searches the subband with minimum MNR(mask-to-noise ratio) repetitively until its operation is completed, which occupies most of its total computational complexity. In this paper, as a computationally efficient approximation of it, we propose a new bit allocation scheme with a simple subband search and compare it with the existing schemes[1][2] in terms of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sound quality. For the performance comparison, we used the pop music signal contained in SQAM(sound quality assess material) CD from EBU.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about 42% of that of the existing one in [1] and the sound quality difference in terms of MNR between the two schemes is within the 0.2 ㏈, for the case of using the layer II at the bit rate of 128 kb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