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구 견봉 인대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9초

오구 쇄골간 슬링으로 보강된 변형 Phemister 술식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by Modified Phemister Operation Augmented with Coracoclavicular Sling)

  • 김덕원;김성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188-193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네 가닥의 Ethibond로 오구 쇄골간 sling으로 보강된 변형 Phemister 술식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의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 소견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9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네 가닥 Ethibond sling으로 보강된 변형된 Phemister 술식으로 30예의 견봉 쇄골 관절 탈구를 치료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8.2(24~33)개월 이었다. 술 후 기능 평가는 Weitzman 분류로 하였고 오구 쇄골 간격의 정복 정도를 방사선 영상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Weitzman 분류를 이용한 기능 평가에서는 우수 24예, 양호 4예, 보통 2예였고 오구 쇄골 간격은 수상 시 16.9 mm간격에서 수술 직후 7.3 mm로 정복되었고 최종 추시 시 건측과 비교하여 오구 쇄골 인대의 간격 비율은 평균 1.24 (0.68~1.71) 이었다. 합병증으로 5예에서 K-강선 후퇴와 4예에서 관절 운동 제한이 있었다. 결론: 견봉 쇄골 관절의 탈구에서 네 가닥의 Ethibond로 오구 쇄골간 sling으로 보강된 변형 Phemister 술식은 임상적으로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Tight-Rope®을 이용한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 예비 보고 -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Tight-Rope® for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 Preliminary Report -)

  • 권석현;최상수;이성인;김정우;김광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15-122
    • /
    • 2013
  • 목적: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R)}$ (Arthrex)를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0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 환자에 대해 Tight-Rope$^{(R)}$를 이용하여 치료한 환자 중에서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정복 상태의 평가는 쇄골의 방사선학적 추시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임상적 결과는 UCLA 점수, Constant 점수 및 VAS 통증 점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임상적 평가에서 UCLA 점수는 22예(73%)에서 우수, 5예(17%)에서 양호, 2예(7%)에서 보통, 1예(3%)에서 불량이었으며, Constant 점수는 평균 $92.5{\pm}7.5$점이었다. 방사선학적 결과는 26예(86%)에서 해부학적 정복을 보였으며, 2예(7%)에서 중등도의 정복 소실, 2예(7%)에서 완전 재탈구를 보였으며, 이중 완전 재탈구를 보였던 2예에서 임상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았으며 재수술을 필요로 하였다. 결론: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R)}$를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은 신뢰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제공하는 좋은 치료 방법이라 생각한다.

견관절 일차성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의 견봉하 관절경 소견 (Bursoscopic Finding in Primary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 남기영;문영래;김동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1호
    • /
    • pp.19-23
    • /
    • 2008
  • 목적: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일차성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에서 견봉하 점액낭의 병변을 발견하고 임상적 의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 2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견봉하 점액낭 유리술을 시행하고 환자의 견관절 운동 범위의 호전 정도를 측정하였고, VAS 점수 및 UCLA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발견된 병변은 점액낭염, 경도의 오구 견봉 인대의 마찰 소견, 충돌 소견 및 유착의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단순 견봉 상완 관절 유리술에 비하여 기능적, 통증의 호전 효과를 조기에 얻을 수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일차성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에서 견봉하 관절경을 시행하는 것은 숨겨진 이차성 동결견의 가능성과 이차변화를 평가하여 치료와 예후 판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TightRope®를 이용한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 수술 술기 및 예비 보고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TightRope® for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 Surgical Technique and Preliminary Results)

  • 조철현;손승원;강철형;오건명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65-171
    • /
    • 2008
  • 목적: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R)}$를 이용한 수술 술기를 소개하고 유용성 및 예비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총 1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2.4(8~16)개월이었다. 견봉 쇄골 관절의 내측 1 cm 부위에서 오구돌기 방향으로 4 cm의 피부 절개를 가하여 삼각근을 분리한 후 TightRope$^{(R)}$를 이용하여 오구 쇄골 인대 강화술을 시행하였으며, 술후 안정성을 주기 위해 2개의 1.6 mm K-강선을 이용하여 일시적인 견봉 쇄골 관절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UCLA 평가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평가에서는 해부학적 정복이 7예, 경도의 정복 소실이 2예, 중등도의정복 소실이 1예였다. UCLA 점수는 평균 30.8(24~35)점으로 우수 6예, 양호 3예, 보통 1예였다. 결론: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R)}$를 이용한 치료는 최소 침습적이며, 비교적 술기가 간편하고 안정된 고정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정확한 결과 분석을 위해서는 장기 추시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관절경하 원위 쇄골 절제술을 이용한 만성 제 2형 견봉쇄골 손상의 치료 - 6례에 대한 예비 연구 - (Arthroscopic Distal Clavicle Resection for Chronic Stage 2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 Preliminary Report of 6 Cases Study -)

  • 유연식;윤영곤;남일현;문기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1-176
    • /
    • 2002
  • 목적 : 저자들은 만성 제 2형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 시행한 관절경하 원위 쇄골 절제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2월부터 2001년 1월까지 제 2형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6례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추시기간은 평균 12개월이었다. 검사의 결과의 평가는 constant-Murray 기능평가법을 이용하였으며 술 전 constant score는 32점 이었다. 결과 : 임상평가 결과 constant score는 술 후 $3\~6$주에서 35점 이었고 3개월은 49점 그리고 6개월에서는 69점으로 증가되었고 전체 환자의 $83\%$에서 만족도를 보였다. 결론 : 만성 제 2형 견봉쇄골 탈구에서 시행한 관절경하 원위 쇄골 절제술은 수기가 쉽고 간단하여 개방성 방법을 통한 광범위한 인대 재건술 또는 오구 쇄골간 고정술에 앞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 PDF

견봉 쇄골 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Acromioclavicular Joint Injury)

  • 강호정;고일현;주종환;천용민;김형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59-66
    • /
    • 2011
  • 목적: 견쇄관절의 손상이나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으나, 견쇄관절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치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저자들은 견쇄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원위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및 결과, 예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견쇄관절의 손상을 동반한 쇄골 외측단에서 2.5 cm 내를 침범한 원위 쇄골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1명 (2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과 CT상 원위 쇄골의 골절선이 견쇄관절로 연장 (5예)되어 있거나, 7 mm 이상의 견쇄관절의 이개 (separation)가 있는 관절내 골절 (9예), 또는 건측과 비교해서 50% 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는 관절내 골절 (7예)을 견쇄관절의 손상이 있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Craig 분류상 III형이 16예, V형이 5예였다. 금속판 (9예), 소형나사 (1예), K 강선 및 긴장대 강선 (10예) 및 경 견쇄관절 K 강선 (1예)을 사용하여 골절을 고정하였다. 건측에 비해 100%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었던 1예 및 골편이 작아 고정력이 약하다고 판단된 1예에서 경 견쇄관절(transarticular AC joint) K 강선 고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견봉 쇄골 인대 또는 오구 쇄골 인대의 봉합이나 재건술은 시행하지 않았다. 결과: 21예 중 20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까지의 기간은 평균 8.4주이었다. 최종 추시시 5예에서 견쇄관절의 외상성 관절염이 관찰되었고, 4예에서 견쇄관절의 이개가, 2예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50% 이하의 상방전위가 남아 있었으나 견쇄관절의 이개 및 상방전위가 술전보다 증가된 예는 없었다. Kona 등의 기준에 따른 기능적 평가상 19예에서 우수, I예에서 양호, 1예에서 보통의 결과를 얻었다. 견쇄관절 손상의 분류에 따른 UCLA 점수는 I형에서 32.6점, II형에서 34점, III형에서 34.1점이었다. 술전 견쇄관절 손상 종류, 술후 잔여 관절의 이개 및 전위, 외상성 관절염의 유무와 임상 결과간에 유의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p>0.05). 합병증으로는 K 강선 및 긴장대 강선 고정술로 고정한 1예에서 불유합이 관찰되어 술후 3개월 금속판 고정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하여 골유합을 얻었으며,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예에서 추시 관찰 중 내고 정물의 이완이 있었으나 추가적인 치료 없이 골절이 유합되었다. 결론: 견쇄관절로 연장된 골절이 있거나 관절내 골절이 있으면서 견쇄관절 간격이 7 mm 이상 벌어진 경우 또는 정상측과 비교하여 50% 이상 원위 쇄골의 상방전위가 있는 견쇄관절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라도 원위 쇄골의 정확한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을 통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수술 전 견쇄관절의 손상 종류 및 수술 후 경도의 외상성 관절염이나 이개, 상방전위와 임상적 기능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