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측 모델링

Search Result 2,23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MI filter의 감쇄 성능 예측을 위한 소자의 공통 및 차동 모드 모델링 기법

  • Kim, Hui-Seung;Baek, Mi-Ran;Won, Do-Hyeon;Hong, Seong-Su;No, Jeong-Uk;Han, Sang-Gyu;Won, Jae-Seon;O, Dong-Seo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464-465
    • /
    • 2010
  • EMI 감쇄성능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EMI 필터에 사용되는 소자에 대한 명확한 공통 및 차동 모드 임피던스 모델 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전도성 EMI 감쇄성능 예측 방식은 이러한 모델의 부재로 인해 고주파수에서 예측 값과 실험 결과에 큰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MI 필터의 소자를 전도성 전파 규제 범위에서 모델링하고 이를 이용하여 공통 및 차동모드 임피던스로 다시 모델링한다. 실험 결과 EMI 감쇄성능을 1MHz 이하의 영역에서만 예측할 수 있었던 기존 방식과 비교해 제안 방식은 10MHz 영역까지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종적으로 임피던스 분석기를 이용한 측정 결과와 모의실험 결과를 제시하여 제안 방식의 타당성 및 유용성을 검증한다.

  • PDF

Speech Quality Estimation Algorithm using a Harmonic Modeling of Reverberant Signals (반향 음성 신호의 하모닉 모델링을 이용한 음질 예측 알고리즘)

  • Yang, Jae-Mo;Kang, Hong-Goo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8 no.6
    • /
    • pp.919-926
    • /
    • 2013
  • The acoustic signal from a distance sound source in an enclosed space often produces reverberant sound that varies depending on room impulse response. The estimation of the level of reverberation or the quality of the observed signal is important because it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of system operating environment. It is also useful for designing a dereverberation system. This paper proposes a speech quality estimation method based on the harmonicity of received signal, a unique characteristic of voiced speech. At first, we show that the harmonic signal modeling to a reverberant signal is reasonable. Then, the ratio between the harmonically modeled signal and the estimated non-harmonic signal is used as a measure of standard room acoustical parameter, which is related to speech clarit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successfully estimates speech quality when the reverberation time varies from 0.2s to 1.0s. Finally, we confirm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in both background noise and reverberant environments.

Shape, Volume Prediction Modeling and Identical Weights Cutting for Frozen Fishes (동결생선의 외형과 부피 예측 모델링 및 정중량 절단)

  • Hyun, Soo-Hwan;Lee, Sung-Choon;Kim, Kyung-Hwan;Seo, Ki-S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2 no.3
    • /
    • pp.294-299
    • /
    • 2012
  • This paper suggests a modeling technique for shape and volume prediction of fishes to cut them with identical weights for group meals.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frozen fishes for group meals are very difficult because they have a bending deformation occurring at frozen stage and a hollow by eliminating the internals. Besides there exist twinkles problem of surface caused by freeze and variable weights by moisture conditions. Therefore a complex estimation algorithm is necessary to predict the shape and volume prediction of fishes exactly. Hollow prediction, pattern classification and modeling for tails using neural network, integration based volume prediction algorithm are suggested and combined to solve those problems. In order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the experiments of 3-dimensional measurement, volume prediction and fish cutting for spanish mackerel, saury, and mackerel are executed. The cutting experiments for real fish are executed.

Assessment of Reservoir Operation Module in Swat Model (SWAT 모형의 저수지 운영모듈 평가)

  • Lee, Jeong Eun;Kim, Nam Won;Kim, H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44-244
    • /
    • 2020
  • 일반적으로 실제 유역에서의 계절 유출예측을 위해서는 계절 기상예측에 기반한 장기유출모델링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하천에는 하천유량의 자연적인 흐름체계에 인위적인 영향을 야기하는 댐이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자연상태의 유역이 아닌 댐이 위치하고 있는 복잡한 유역에서는 반드시 저수지 운영이 고려된 유출모델링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기유출모형의 대표적인 모형 중 하나인 SWAT의 저수지 운영모듈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한강에 위치한 다목적댐인 소양강, 충주댐을 대상으로 SWAT에 탑재되어 있는 저수지 운영모듈의 적용시 한계점을 검토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모듈개선을 시도하였다. 또한, 각 댐의 방류량, 저수지 수위를 중심으로 모듈개선 전후의 모의능력을 검증하였다. 저수지 운영과 관련된 모의성능은 인위적인 저류시설물이 위치하는 복잡한 유역의 유출분석시 반드시 검토되어야 하는 사항이며, 모델링을 통한 저수지 운영의 평가와 가뭄대응을 위한 비구조적 대책 수립시 매우 중요한 기능 요소이다.

  • PDF

PSNR Estimation of H.264/AVC Bitstream for Hierarchical- B Picture Structure (계층적 B-픽쳐 구조를 고려한 H.264/AVC 비트열의 PSNR 예측)

  • Seo, Jung-Dong;Sohn, Kwang-Hoo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6 no.6
    • /
    • pp.996-1008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PSNR estimation algorithm of H.264/AVC bitstream for hierarchical B-picture structure.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a modeling method for DCT coefficients for I-pictures and an error estimation method for blocks encoded by skip mode. The modeling method selects an appropriate model between Laplacian and Cauchy model, and the error of skip mode is estimated from MSE values of reference pictur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odeling method predicts more accurate PSNR values than Laplacian and Cauchy model and the error estimation method of skip mode enhances PSNR estimation of hierarchical B-picture structure.

A new method to predict the protein sequence alignment quality (단백질 서열정렬 정확도 예측을 위한 새로운 방법)

  • Lee, Min-Ho;Jeong, Chan-Seok;Kim, Dong-Seop
    • Bioinformatics and Biosystems
    • /
    • v.1 no.1
    • /
    • pp.82-87
    • /
    • 2006
  • The most popular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method is comparative modeling. To guarantee accurate comparative modeling, the sequence alignment between a query protein and a template should be accurate. Although choosing the best template based on the protein sequence alignments is most critical to perform more accurate fold-recognition in comparative modeling, even more critical is the sequence alignment quality. Contrast to a lot of attention to developing a method for choosing the best template, prediction of alignment accuracy has not gained much interest. Here, we develop a method for prediction of the shift score, a recently proposed measure for alignment quality. We apply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to predict shift score. The alignment between a query protein and a template protein of length n in our own library is transformed into an input vector of length n +2. Structural alignments are assumed to be the best alignment, and SVR is trained to predict the shift score between structural alignment and profile-profile alignment of a query protein to a template protein. The performance is assess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trained SVR predicts shift score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observed and predicted shift score of 0.80.

  • PDF

Intra Prediction Method by Quadric Surface Modeling for Depth Video (깊이 영상의 이차 곡면 모델링을 통한 화면 내 예측 방법)

  • Lee, Dong-seok;Kwon, Soon-ka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7 no.2
    • /
    • pp.35-44
    • /
    • 2022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ra-picture prediction method by a quadratic surface modeling method for depth video coding. The pixels of depth video are transformed to 3D coordinates using distance information. A quadratic surface with the smallest error is found by least square method for reference pixels. The reference pixel can be either the upper pixels or the left pixels. In the intra prediction using the quadratic surface, two predcition values are computed for one pixel. Two errors are computed as the square sums of differences between each prediction values and the pixel values of the reference pixels. The pixel sof the block are predicted by the reference pixels and prediction method that they have the lowest error. Comparing with the-state-of-art video coding metho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distortion and the bit rate are improved by up to 5.16% and 5.12%, respectively.

Wind field prediction through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under tropical cyclones (생성적 적대 신경망 (GAN)을 통한 태풍 바람장 예측)

  • Na, Byoungjoon;Son,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70-370
    • /
    • 2021
  •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경로, 강도 및 폭풍해일의 사전 예측은 매우 중요하다. 이중, 태풍의 경로와는 달리 강도 및 폭풍해일의 예측에 있어서 바람장은 수치 모델의 초기 입력값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정확한 바람장 정보는 필수적이다. 대기 바람장 예측 방법은 크게 해석적 모델링, 라디오존데 측정과 위성 사진을 통한 산출로 구분할 수 있다. Holland의 해석적 모델링은 비교적 적은 입력값이 필요하지만 정확도가 낮고, 라디오존데 측정은 정확도가 높지만 점 측정에 가깝기 때문에 이차원 바람장을 산출하기에 한계가 있다. 위성 사진을 통한 바람장 산출은 위성기술의 고도화로 관측 채널 수 및 시공간 해상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을 통해 일련의 연속된 과거 적외 채널 위성 사진 흐름의 패턴을 학습시켜 미래 위성 사진을 예측하고, 예측된 연속적인 위성 사진들의 교차상관 (cross-correlation)을 통해 바람장을 산출하였다. GAN을 적용함에 있어 2011년부터 2019년까지 한반도 근방에 접근했던 태풍 중에 4등급 이상인 68개의 태풍의 한 시간 간격으로 촬영된 총 15,683개의 위성 사진을 학습시켜 생성된 이미지들은 실측 위성 사진들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성된 이미지들의 교차상관으로 얻어진 바람장 벡터들의 풍향, 풍속, 벡터 일관성 및 수치 모델과의 비교를 통해 각각의 벡터들의 품질 계수를 구하고 정확도가 높은 벡터들만 결과에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6개의 라디오존데 관측점에서의 실측 벡터와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 결과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장하여, 이와 같이 AI 기법과 이미지 교차상관 기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바람장으로부터 태풍 강도예측에 필요한 요소인 태풍의 눈의 위치, 최고 속도와 태풍 반경을 직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고. 이러한 위성 사진을 기반으로 한 바람장은 단순화된 해석적 바람장을 대체하여 폭풍 해일 모델링의 예측 성능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