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측위험

Search Result 2,15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ccounting Risk Variables Beta Prediction Model and Forecasting Error Analysis by Risk Levels (회계위험변수 베타예측모형과 위험수준별 예측오차분석)

  • Park, Soon-Si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6 no.2
    • /
    • pp.215-241
    • /
    • 199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장기업중 금융 보험업을 제외하고 비교적 상장기업수가 많은 9개 산업에서 임의로 선정한 180개 표본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1989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를 분석대상기간으로 설정하여 베타계수 예측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회계위험변수모형의 예측능력을 평가하고 위험수준별 예측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아울러 베타계수 추정시 사용된 수익률 측정간격에 빠른 베타계수의 안정성과 회계위험변수모형의 예측능력을 분식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경우 수익률 측정기간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예측오차가 유의적으로 적게 나타나 회계위험변수모형의 베타계수 예측능력이 우수하였으며 베타계수예측에 회계 변수의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위험수준에 따른 베타계수의 안정성 분석에서는 중위험집단의 베타가 안정성이 높았으며 고위험집단에서 예측오차가 가장 크게 나타나 불안정하였다. 회계위험변수모형의 예측능력은 위험수준에 관계없이 단순모형보다 우수하여 베타예측에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일반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수익률 측정간격에 따른 베타계수의 안정성과 예측능력 분석에서는 월별수익률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주별수익률을 이용하는 경우 추정베타의 안정성이 높고 베타계수 예측모형의 예측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OLS베타를 수정하지 않고 이용하는 경우보다 Bayesian 기법으로 수정한 Bayesian수정 베타를 이용할 경우 예측오차가 감소하여 Bayesian 수정기법의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 PDF

Long-Range Water Resources Prediction and Flood Risk Assessment using Climate Information (기후정보 활용 수자원 장기예측 및 중장기 홍수위험도 평가)

  • Yoon, Sunkwon;Choi, Jihyeok;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7-17
    • /
    • 2018
  • 재난발생 위험은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불확실성 요인을 줄이고 사전에 소멸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 될 수 있다. 또한 재난관리 관점에서 그것이 발생했을 때 어떤 식으로 대응할지에 대한 과정이 체계적으로 갖추어져 있어야 하며, 복구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수반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정보를 활용한 중장기 수문예측을 실시하고 통합홍수위험평가 시스템 구축을 통한 홍수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243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홍수관련 위해성, 노출성, 취약성 자료를 수집하여 표준화하였으며, 전문가 Delphi-AHP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가중치를 적용하고 위험도를 예측 평가하였다. 이러한 중장기 위험 예측 정보는 한 달 또는 수개월 전에 지자체 행정력을 집중 및 분산시키고, 수재해(홍수/가뭄 등) 위험관리 계획 수립이 가능하여 재난관리자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재난의 생애주기(Life Cycle)별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단계에 따라 사전과 사후에 가능한 주요 활동들을 구체화 할 수 있으며, 시간 스케일별 기후예측 정보를 활용한 재난관리 패러다임 전환과 골든타임 확보 등 수자원예측 분야 기술적 진보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통계 역학 모형 기반 중 장기 예측 정보의 신뢰도가 향상 된다면 보다 다양한 분야 예측 정보 서비스 및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경로 예측 및 운항 해역 항적 정보 기반의 비상상황인식 프레임워크 설계

  • 박정홍;최진우;김채원;홍성훈;김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73-7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예측 가능한 운항 경로 상에 잠재된 비상상황을 인식하기 위하여 운항 해역의 항적 정보를 활용한 방안과 이를 기반으로 충돌 위험과 같은 비상위험을 식별하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프레임워크는 크게 항적 특성 분석 모듈, 항로예측 모듈, 위험 식별 모듈로 구성된다. 항적 특성 분석 모듈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해역에 관한 선박들의 항적 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대상 VTS 관제 영역 내에서 취합된 누적 선박자동식별장치(AIS)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박의 항적 특성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DB)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운항 경로 예측 모듈에서는 누적된 항적 정보와 자율운항선박의 현재 운항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시간 동안의 운항 경로를 예측하기 위한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위험 식별 모듈에서는 예측한 운항 경로 상에 최근접점과 최근접점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충돌 위험 가능성이 있는 충돌위험영역을 식별하였다. 설계한 프레임워크는 자율운항선박의 육상 관제소에서 원격 제어를 통해 위험상황을 인지하고 회피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실제 항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Damage Prediction Using Heavy Rain Risk Assessment (호우 위험도 평가를 이용한 피해예측)

  • Kim, Jong Sung;Choi, Chang Hyun;Lee, Jong So;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54-154
    • /
    • 2017
  • 전 세계적인 기후변동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대규모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자연재난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재해에 노출된 특성을 지역적 특성과 함께 고려하여 지역별로 재해에 위험한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선행되어지고, 재난 피해 발생전에 피해 지역 및 범위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연재난 피해의 65% 이상을 차지하는 호우피해를 대상으로 PSR(Pressure-State-Response) 구조를 이용하여 호우피해위험지수(Heavy rain Damage Risk Index, HDRI)를 제안하여 호우 위험도를 평가하고자하였다. 또한 도출된 지역별 위험등급에 따른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여 재해발생 전에 개략적인 피해의 범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먼저 지역별 호우 위험도 평가를 위해 압력지표, 현상지표, 대책지표를 구축하고,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평가지표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평가지표를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호우피해위험지수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경기도 31개 지자체 중에서 가장 안전한 1등급인 지자체는 15개의 지자체로 나타났으며, 2등급인 지자체는 7개, 3등급인 지자체는 9개로 분류되었다. 지자체별 호우 위험도 등급에 따라서 재해기간별 총강우량, 재해일수, 선행강우량(1~5일),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1~24시간) 등의 자료를 설명변수로 구축하였고, 다중회귀모형과 주성분분석을 활용하여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등급별 호우피해 예측함수는 N-RMSE가 12~18%로 호우피해를 적절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자체별 호우피해위험도 등급을 파악 할 수 있으며, 평가된 호우피해위험도 등급별로 호우피해 예측함수 개발을 통해 사전에 호우피해 발생 및 규모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지자체 및 관련 부처에서 효과적인 방재체계를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Valuing the Risks Created by Road Transport Demand Forecasting in PPP Projects (민간투자 도로사업의 교통수요 예측위험의 경제적 가치)

  • Kim, Kangsoo;Cho, Sungbin;Yang, Inseo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5 no.4
    • /
    • pp.31-6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economic value of transport demand forecasting risks in the road PPP project. Under the assumption that volatility of the road PPP project value occurs only in regard with uncertainty of traffic volume forecasting, this study calculates the economic value of the traffic forecasting risks in the case of the road PPP project. To that end, forecasted traffic volume is assumed to be a stochastic variable and to follow the Geometric Brownian motion as time passes.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existing studies that simply use an arbitrary assumption by presenting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traffic volume growth volatility and the rates before and after the ramp-up period. Analysis of the case projects reveals that the risk premium related to traffic volume forecast of the project turns out as 7.39~8.30%, without considering option value-such as minimum revenue guarantee-while the project value volatility caused by transport demand forecasting risks is 17.11%. As the discount rate grows higher, the project value volatility tends to decrease and volatility in project value is always suggested to be larger than that in transport volume influenced by leverage effect due to fixed expenditure. The market value of transport demand forecasting risk-calculated using the project value volatility and risk premium-is analyzed to be between 0.42~0.50, implying that a 1% increase or decrease in the transport amount volatility would lead to a 0.42~0.50% increase or decrease in risk premium of the project.

  • PDF

The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Areas Considering of Root Cohesion and Crown Density (뿌리점착력과 수관밀도를 적용한 토사재해 위험지역 예측)

  • Choi, Won-Il;Choi, Eun-Hwa;Suh, Jin-Won;Jeon, Seong-K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7 no.6
    • /
    • pp.13-21
    • /
    • 2016
  • Since the landslide hazard areas prediction was analyzed by slope-angle and soil properties, regional characteristics is not taken. Therefore, in order to make more rational predic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ree roots have been known to increase soil cohesion in landslide hazard areas and to vary the degrees depending on the tree type. In addition, a reasonable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areas can be made by considering crown density based on crown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area of interest. In this study, using the roots cohesion considering the crown density of the trees, which is in the landslides risk areas around Mt. Gwehwa in Sejong City, the landslides risk areas were predicted and compared with predicted results obtained by not considering root cohesion.

Comparison of Prediction Models for Identification of Areas at Risk of Landslides due to Earthquake and Rainfall (지진 및 강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 위험지 예측 모델 비교)

  • Jeon, Seongkon;Baek, Se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0 no.6
    • /
    • pp.15-22
    • /
    • 2019
  • In this study, the hazard areas are identified by using the Newmark displacement model, which is a predictive model for identifying the areas at risk of landslide triggered by earthquakes, based on the results of field survey and laboratory test, and literature data. The Newmark displacement model mainly utilizes earthquake and slope related data, and the safety of slope stability derived from LSMAP, which is a landslide prediction program. Backyang Mt. in Busan where the landslide has already occurred, was chosen as the study area of this research.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rea of landslide prone zone identified by using the Newmark displacement model without earthquake factor is about 1.15 times larger than that identified by using LSMAP.

Assessment of Teleconnection based Long-Range Flood Risk Prediction during different El Ni?o phases: A Case Study of Gyeongnam (원격상관기반 엘니뇨 시기별 홍수위험 장기예측 평가: 경남지자체 대상)

  • Yoon, Sun-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1-91
    • /
    • 2016
  • 본 연구는 대규모 대기환경패턴 변화에 따른 극한 기후발생 및 극치 수문사상의 지역적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고, 통계기법을 이용한 기후지수와 수문변량간의 원격상관관계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한반도 중 장기 수문변량 예측의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또한 경남 지자체를 대상으로 다양한 통계예측모형(AR, MA, ARMA, ARIMA, VAR)을 구축하여 그 예측능력을 평가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고, 중 장기 통합홍수위험 평가를 위한 인덱스를 개발하였다. 서로 다른 엘니뇨 시기별 홍수 위험도 평가결과 전형적인 엘니뇨(Cold Tongue El Nino)해에는 남해안 일부 지역(거제시, 남해군)에서 위험도가 높게 산정되었으며, 경남 북부지역에서는 위험도가 매우 낮게 산정되었다. 중앙태평양 엘니뇨(Warm Pool El Nino) 해에는 경남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홍수위험지수가 높게 나타나 중앙태평양 엘니뇨가 발달 시 경남지역의 홍수위험 발생 가능성 평년에 비하여 큰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라니냐(La Nina) 해에는 경남 서쪽일부 지역(남해군, 하동군, 산청군)에서 통합홍수위험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는 홍수위험도가 작거나 중간 값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 장기적 관점에서 수자원 예측 및 효율적인 물 관리와 안정적인 용수공급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되며, 한반도 대상 특정 엘니뇨 해의 지자체별 홍수위험 취약성 평가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Predictive Modeling Design for Fall Risk of an Inpatient based on Bed Posture (침대 자세 기반 입원 환자의 낙상 위험 예측 모델 설계)

  • Kim, Seung-Hee;Lee, Seung-H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2 no.2
    • /
    • pp.51-62
    • /
    • 2022
  • This study suggests a design of predictive modeling for a hospital fall risk based on inpatients' posture. Inpatient's profile, medical history, and body measurement data along with basic information about a bed they use, were used to predict a fall risk and suggest an algorithm to determine the level of risk. Fall risk predic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a real-time fall risk evaluation and a qualitative fall risk exposure assessment, which is mostly based on the inpatient's profile. The former is carried out by recognizing an inpatient's posture in bed and extracting rule-based information to measure fall risk while the latter is conducted by medical staff who examines an inpatient's health status related to hospital fall risk and assesses the level of risk exposure. The inpatient fall risk is determined using a sigmoid function with recognized inpatient posture information, body measurement data and qualitative risk assessment results combined. The procedure and prediction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ailored services for inpatients and help ensure hospital fall prevention and inpatient safety.

Prediction of Forest Fire Hazardous Area Using Predictive Spatial Data Mining (예측적 공간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산불위험지역 예측)

  • Han, Jong-Gyu;Yeon, Yeon-Kwang;Chi, Kwang-Hoon;Ryu, Keun-Ho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9D no.6
    • /
    • pp.1119-1126
    • /
    • 2002
  •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predictive spatial data mining based on spatial statistics and apply for predicting the forest fire hazardous area. These are conditional probability and likelihood ratio methods. In these approaches, the prediction models and estimation procedures are depending un the basic quantitative relationships of spatial data sets relevant forest fire with respect to selected the past forest fire ignition areas. To make forest fire hazardous area prediction map using the two proposed methods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rediction power, we applied a FHR (Forest Fire Hazard Rate) and a PRC (Prediction Rate Curve) respectively. In comparison of the prediction power of the two proposed prediction model, the likelihood ratio method is mort powerful than conditional probability method. The proposed model for prediction of forest fire hazardous area would be helpful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forest fire management such as preven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and effective placement of forest fire monitoring equipment and man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