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술

Search Result 4,52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Methods for Artistically Gilled Children in the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시각예술영재의 판별방법에 관한 연구)

  • 이용애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1 no.3
    • /
    • pp.203-22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identification of artistically gifted children by considering the methods of it as a part of the basic study for artistically gifted children education. The result of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artistically gifted children in literature, the identification methods are classified into the formal standardized art test, the informal test, and non-test measure. And they are considered and discussed laying importance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 PDF

E-sports OTT Platform Design Based on autonomous Multi-View (자율 선택형 멀티뷰를 기반으로 한 E-sports OTT 플랫폼 설계)

  • Gowoon Park;Minyeong Kim;Mingyeong Jeong;Lina Kim;Sohyeon Park;Sang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11a
    • /
    • pp.196-198
    • /
    • 2022
  • 코로나19의 여파로 E-sports 산업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현재 E-sports만을 중계하는 OTT 플랫폼은 전무한 실정이며, 기존의 E-sports 중계는 전문 선수들의 경기를 옵저버가 잡아주는 화면만으로 시청 가능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율 선택형 멀티뷰 시스템'을 도입하여 보다 몰입도 높은 E-sports 경기를 제공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누구나 쉽게 이용 가능한 E-sports OTT 플랫폼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Design of a Live Commerce Platform Using a Multiview (멀티뷰를 활용한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 설계)

  • Woo, Yeji;Won, Aeryeong;Yun, Jeongwon;Lee, Shinhwa;Jeon, Sumin;Lee, San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57-160
    • /
    • 2021
  •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가 계속되면서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고객이 증가했다. 그중 원활한 소통이 가능한 라이브 커머스 시장이 크게 성장했다. 모바일 기기만 있으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라이브 커머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제한된 정보제공과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가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멀티뷰 화면을 송출하고 TTS, 딥러닝 기반의 STT 기술을 활용해 시·청각 장애인을 위한 기능을 포함한 새로운 형태의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 및 시스템 구조를 제안한다.

  • PDF

A Ontact Relay System Based on Audience Participation Using a NDI Technology (NDI 기술을 적용한 관객 참여형 온택트 중계시스템)

  • Kim, Jin-joo;Kim, Na-eun;Kim, Ye-eun;Choi, Ji-hye;Kim, Ju-hee;Lee, San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252-255
    • /
    • 2021
  •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이전에는 부가적으로 이루어졌던 온라인 공연이 오프라인 공연의 대안으로 떠오르며 비대면을 일컫는 '언택트(Untact)'에 온라인을 통한 외부와의 '연결(On)'을 더한 개념인 온택트 공연의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오프라인 콘서트에 직접 참여하여 느낄 수 있는 공연자와 관객 간의 상호작용을 전달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ZOOM'이라는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현장감을 더하고, 기존의 중계시스템에서 사용하던 SDI 방식보다 더 간단하고 효율적인 NDI(Network Device Interface) 기술을 적용한 온택트 중계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Design of a Media Platform Using a Multiview (멀티뷰를 활용한 영상 플랫폼 설계)

  • Shin, Junehyunk;Kang, Chanmin;Kim, Yebin;Son, Myeongji;Ju, Minyeong;Lee, San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301-304
    • /
    • 2020
  • 시대가 변화됨에 따라 다양한 비대면 방송들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가상현실(VR)을 이용한 쇼케이스부터 실시간 쌍방향 소통을 활용한 무대까지 멀티뷰를 활용한 방송들이 여러 방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 속에 관객과 조금 더 밀접한 방송을 진행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장에서 녹화되고 있는 모든 카메라 소스들을 썸네일 사이즈로 만들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플랫폼을 구성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카메라를 선택해 보고 싶은 장면을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Untact Real-Time Broadcasting System (비대면 실시간 방송 시스템 : Untact System)

  • Moon, Jiyoung;Kim, Soomin;Park, Soyoung;Jeon, Joohyeon;Sung, Yunsol;Lee, San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286-289
    • /
    • 2020
  • 본래 대중문화는 그 자체로 '집단(Mass)'의 의미가 들어있다. 하나의 방송콘텐츠는 PD, 작가, 출연자와 방송 스텝들은 물론이고 관객들까지 참여함으로써 완성된다. 하지만 방송의 이런 집단 창작 시스템은 코로나19 같은 전 세계적인 감염병 유행 앞에서 유례없는 변화를 가져왔고, 쉽게 가라앉지 않는 감염병으로 랜선 콘서트, 라이브 뮤지컬 등 여러 언택트 시스템(Untact System)이 시도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언택트 시스템(Untact System)의 도입으로 변화하는 방송에 대해 알아보고, 라이브 방송 시스템을 설계한다.[2]

  • PDF

Effects of Quality of Culture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 on Satisfaction (문화예술 평생교육기관 품질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Kim, Gi-Beom;Lee, Sae Bom;Moon, Jae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205-206
    • /
    • 2020
  • 노년기를 더욱 의미 있고 창조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노년층의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평균수명의 연장은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촉발시켰고 특히, 문화예술관련 평생교육은 노인의 감수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평생교육은 우리나라에서 2000년 3월부터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노년층의 문화예술 평생교육기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노년층의 문화예술 평생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품질, 행정서비스 품질, 환경 품질 요인에 따라서 이용자들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고령화 사회에서 평생교육이 노인문제해결에 요한 분야가 될 수 있다는 데에 의미를 부여하고 노인평생교육에 한 인식과 질 제고를 한 정책시사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I Image Generators in the Creative and Art Field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기의 창작·예술 분야 활용 방향성에 대한 연구)

  • Dong-Hoo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85-88
    • /
    • 2023
  • 미국 콜로라도주 박람회 미술전에서 신인 디지털 아티스트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한 게임 디자이너인 제이슨 앨런의 작품 스페이스오페라 극장'이 AI Image generator Midjourney를 활용해서 완성된 작품이라는 것이 알려지면서 창작과 예술 분야에 AI 활용이라는 논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창작과 예술을 돕는 탁월한 기능을 가진 툴로 바라보거나 창작과 예술 활동에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작품을 구체화하는 과정의 조력자로 환영하는 입장과 예술가의 작품을 허가 없이 훔쳐서 만들어 낸 이미지일 뿐이라는 이상도 이하도 아니며 도덕적으로 허락되어서는 안되다는 입장이 크게 충돌하고 있다.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주요 AI Image generator를 살펴보고 창작과 예술 분야에 AI 활용은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AI 활용의 긍정적인 측면을 예측하고 연구해 보고자 한다.

  • PDF

Zwei Perspektiven für die Kunst - Kants Ästhethik des Empfangenden und Nietzsches Physiologie der Kunst - (예술에 대한 두 가지 태도 - 칸트의 수용미학과 니체의 예술생리학 -)

  • Chung, Nak-rim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30
    • /
    • pp.277-304
    • /
    • 2014
  • Der vorliegende Beitrag zielt darauft ab, zwei Perspektiven $f{\ddot{u}}r$ die Kunst bei Kant und Nietzsche und ihre Schlussfolgerungen zu $er{\ddot{o}}rtern$. Kants Kritik der Urteilskraft hat eine enorme Rolle in der Geschichte der ${\ddot{A}}sthetik$ gespielt. $F{\ddot{u}}r$ Kant sollen ${\ddot{a}}sthetische$ Urteile ebenso wie Erkenntnis- und Moralurteile $allgemeing{\ddot{u}}ltig$ sein, obwohl sie auf einem $pers{\ddot{o}}nlichen$ Geschmack beruhen. Die $Allgemeing{\ddot{u}}ltigkeit$ des $Sch{\ddot{o}}nen$ sei $m{\ddot{o}}glich$, weil sie nicht auf dem Gegenstand, sondern auf dem transzendentalen Subjekt basiere. Die $sch{\ddot{o}}ne$ Kunst als Kunst des Genies soll uns wie die $Natursch{\ddot{o}}nheit$ ohne Interesse wohlgefallen. Nietzsches Stellungnahme zu Kants ${\ddot{A}}sthetik$ ist sehr kritisch. Nietzsches erster Kritikpunkt richtet sich gegen das 'interesselose Wohlgefallen'. Gegen Kant behauptet Nietzsche, dass die $Sch{\ddot{o}}nheit$ sehr wohl mit Interesse verbunden ist. Grund $daf{\ddot{u}}r$ ist, dass das $Sch{\ddot{o}}ne$ wesentlich aus dem Willen zur Macht entspringt. Der zweite Kritikpunk Nietzsches liegt darin, dass in Kants ${\ddot{A}}sthetik$ die Moral im Vordergrund steht. Das $Sch{\ddot{o}}ne$ ist $f{\ddot{u}}r$ Kant durch die Moral gerechtfertigt. Nietzsche dreht diese Stellung der Moral zur Kunst um. Der dritte Kritikpunkt Nietzsches ist, dass Kant statt von der Erfahrung des $K{\ddot{u}}nstlers$ (Schaffenden) aus das ${\ddot{a}}sthetische$ Problem zu betrachten, allein vom Zuschauer (Empfangenden) aus ${\ddot{u}}ber$ die Kunst und das $Sch{\ddot{o}}ne$ nachgedacht habe. $F{\ddot{u}}r$ Nietzsche ist die Kunst $prim{\ddot{a}}r$ vom $K{\ddot{u}}nstler$ aus zu verstehen. Nietzsches Physiologie der Kunst ist mit dem Begriff 'Leib' $verkn{\ddot{u}}pft$, d.h. Nietzsche behauptet, dass physiologische und ${\ddot{a}}sthetische$ Prozesse wesentlich $zusammenh{\ddot{a}}ngen$. Die Schlussfolgerung der Physiologie der Kunst lautet: erstens, jeder Mensch ist $K{\ddot{u}}nstler$, sofern er schaffend ist, und zweitens, die Welt selbst ist nichts als Kunst. Nietzsches Physiologie der Kunst hat einen $gro{\ss}en$ Einfluss auf die $gegenw{\ddot{a}}rtige$ Kunst $ausge{\ddot{u}}bt$ und kein anderer Philosoph hat auf die $gegenw{\ddot{a}}rtige$ Kunst nachaltiger gewirkt.

A study on Multiple Entity Data Model Design for Visual-Arts Archives and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case of the KS X ISO 23081 Multiple Entity Model (시각예술기록정보 관리를 위한 데이터모델 설계 KS X ISO 23081 다중 엔티티 모델의 적용을 중심으로)

  • Hwang, Jin-hyun;Yim, Jin-hee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33
    • /
    • pp.155-206
    • /
    • 2012
  • Interests in archives management are getting expanded from the public sector into the cultural and artistic field for the ten years after legislation of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Archives" in 1999. However, due to lack of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archive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field, it is rather frequent that information is kept scattered or archives are lost. As an example, absence of precise contract documents or notes of bestowal keeps people from locating great amount of cultural properties, and because of it these creative properties are in the risk of thefts, the closed-door auctioning, or trades in unofficial channels. As how a nation manages cultural and artistic creation inside the nation reflects its cultural level, it can be said that one of the indexes to notice the extent of a nation's cultural level is to take a look at how they are circulated. This study started from this point. Growing economy and rising interests in culture and art made the society more cognizant of the importance and value that visual artworks have, but the archives and information which are showing the context of these artworks and are produced in the course of social interaction are relatively disregarded because too much emphasis lies on the work itself. It is harder to find archives or documentations in Korea than in other advanced countries about the artists themselves or philosophical discourse on the background of the artworks. There is not so much interest to preserve the archives and information produced after the exhibition also, and they are used for no more than promotion or reference. Hereupon, the researcher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visual arts archives and believed that systemic management on them are high in need. And metadata is an essential way for the systemic management, as recently management on artworks or their archives are conducted using the system of the agencies even though they are not produced electronical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anage visual arts archives systematically by designing a data model reflecting traits of visual arts archives. Metadata are needed in the every course of archives from acquisition to management,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Visual arts archives find its rich value only when a systemic relationship is established among information on artist, artwork and events including exhibition. By establishing a Multiple Entity Data Model, in which artworks, artists and events (exhibitions) make relationship all together, metadata for management on visual arts archive gets more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explanatory trait of the archive gets higher. For this reason we, in the study, tried to design a data model by setting each as an independent entities and designating relations between them, in order to find a way to manage visual arts archives more systemat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