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성강 유역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Utilizing SPOT-5 Satellite Data for Present State Analysis of Irrigation Reservoirs of the Yeseong River Basin (예성강 유역의 저수지 현황 분석을 위한 SPOT-5 위성자료의 이용)

  • Lee, Jin-Duk;Lee, Byung-Hwan;Song, You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8 no.2
    • /
    • pp.255-263
    • /
    • 2010
  • In order to prepare the interchange between and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irrigation reservoirs and formulate technological and political directions for preparing effectively against the demand of agricultural countermeasure information like the analysis of rural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and the present state of agricultural land of North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truct the database of agricultural productive infrastructures and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irrigation reservoirs of the Yeseong River Basin in North Korea using SPOT-5 satellite imager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were able to not only design classification items but establish method and precedure for producing thematic maps related agricultural productive infrastructure without on-site survey by analyzing present condition related to agricultural water of the basin. And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nalyzing suitabile locations of irrigation reservoirs in the basin by performing basin extraction, volume evaluation of the existing reservoirs, scale cultivative lands, benefit area fo the reservoirs, and the existing agricultural water system. In addition,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problem and limit in constructing the database related agricultural productive facilities.

북한 예성강 유역의 수문분석을 위한 GIS/RS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정승권;전무갑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04-808
    • /
    • 2004
  •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남북한 교류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고, 통일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가고 있는 지금 어느때보다 북한에 내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동안 북한과 관련된 인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인문${\cdot}$사회과학분야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자연과학 및 공학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실정이다(배덕효, 1999). 특히 수자원 관련분야는 최근 몇몇 학자들이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나 그 결과는 매우 미비할 실정이다. 북한은 유역탐사 및 샘플채취 등을 위한 접근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자료의 수집 및 보정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문헌을 통해서만 소개된 북한지역의 유역특성에 따른 수자원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인공위성자료와 지형자료를 이용한 원격탐사(RS:Remote Sensing) 및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법을 이용하여 유역의 유출특성을 파악하였다. 대상유역으로 선정한 북한 예성강 유역은 수자원이 풍부하고 유역경사가 비교적 완만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용수이용에 있어서도 양수장을 이용하여 관개배수를 시행하는 북한지역의 일반적인 사례와는 달리 신곡저수지, 예의 저수지 등 대규모 저수지를 통한 관개를 시행하고 있어 남한유역과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에 적용에 있어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지형자료 구축을 위한 인공위성 자료는 USGS(US Geological Survey) DEM(Digital Elevation Model)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ro) 지구좌표계의 DEM 자료로 변환하였다. 또한 유역의 고도차를 이용한 흐름특성 분석을 위해 수치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유역흐름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TOPAZ(Topographic PArameteri-Z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TOPAZ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된 각 격자별 분포형 수문 매개변수는 적합한 관계식을 통해 분포형 유출량을 모의하는데 적용된다.

  • PDF

Estimation of equivalent rainfall by water level for Hwanggang dam in North Korea using hydrological model calibrated based on satellite images (인공위성 영상을 기반으로 보정된 수문모형을 이용한 북한 황강댐 수위별 상당강우량 산정)

  • Kim, Jin Gyeom;Hwang, Euiho;Kang, Kimook;Yu, Wansik;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1-291
    • /
    • 2022
  • 북한의 황강댐은 우리나라와 북한이 공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하천인 임진강 상류에 존재하는 댐으로서 팔당댐의 약 1.5배의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하류로의 발전방류와 함께 유역 외 지역인 예성강 지역으로 방류량의 일부를 도수시키며 이를 통해 예성강 1, 2호 발전소에서의 발전을 실시하고, 생활, 공업, 농업용수를 예성강 유역에 공급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2009년 9월 6일 임진강 상류 황강댐에서의 대규모 방류로 인해 경기도 연천군 일대에 홍수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임진강 하류에 군남홍수조절지를 설치하고 상류의 필승교 수위표를 이용하여 홍수경보체제를 운용하고 레이더 강우와 수문모형을 이용한 감시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나 황강댐 운영현황이 불확실함에 따라 정확한 예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미계측 지역의 홍수예보를 위해 산정한 상당상수량이란 저수지의 현재 수위로부터 특정 수위까지 도달하는데 요구되는 강우량을 말하며 강우예보 시점에서 저수지의 최대 수위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홍수예경보 수단이다. 미계측 유역인 임진강 상류 황강댐 유역의 상당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해 인공위성영상에서 획득한 댐 수위의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보정된 황강댐 상류의 수문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현재 댐 수위로부터 주요 수위(방류개시수위, 상시만수위, 계획홍수위)에 도달하게 되는 상당강우량을 산정하였다.

  • PDF

Prospects for changing in hydrological cycle components in North Korea basins by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RCP8.5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북한지역의 수문순환요소 변화 전망)

  • Jeung, Se Jin;Kwon, Bo Ra;Kim, Tae Hyung;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0-30
    • /
    • 2017
  • 한반도의 기후변화는 전 세계 평균보다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빈발하고 있는 태풍 및 극한 강우, 폭설과 한파, 온난화 현상 등이 그 예이다. 특히 북한지역은 오랜 식량난과 에너지난으로 산림생태계가 훼손되어 홍수 및 이수와 같은 기후변화 관련 자연재해에 매우 취약하다. 이렇게 예상되는 대규모 자연재해를 대비하고 기후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기상 및 기후 예측 정보의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북한지역은 우리가 수문자료를 구하기가 힘들고, 직접 측정을 할 수 없으므로 수문자료의 수집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관련 수문연구에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MO에서 제공하고 있는 북한의 27개 기상관측소의 강수량, 기온자료와 기상청의 RCP8.5기후변화시나리오를 제공 받아 각 관측소별 미래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lumped conceptual model인 WASMOD 모형을 이용하여 북한의 대표유역(금야강, 대동강, 두만강, 압록강, 예성강, 임진강, 장연남대천)에 적용하여 부족한 수문시계열자료를 산정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북한의 미래 수문순환요소의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 변화점분석, 유황분석등 시계열 분석 등을 통해 RCP8.5기후변화시나리오 기반의 기후변화가 북한지역의 수문순환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유역규모의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전망하였다.

  • PDF

Zoning Hydrologic Units for Geospatial Climatology in North Korea (북한지역의 소기후 추정을 위한 수문단위 설정)

  • Kim, Jin-Hee;Yun, Jin-I.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3 no.1
    • /
    • pp.20-27
    • /
    • 2011
  • High-definition, geo-referenced digital climate maps can be produced by applying watershed-specific modules to adjust synoptic observations for local effects including cold air drainage. Since there is no information available on North Korean watersheds, existing geospatial technology for digital climate mapping cannot be transferred to North Korea. We applied a watershed extraction algorithm based on ArcHydro to the North Korean portion of ASTER GDEM and utilized geographical information on major rivers and mountains to adjust the products. Proposed hydrologic zoning system for North Korean watersheds consists of 21 river basins, 93 stream basins and 885 catchments. Combined with the existing 840 South Korean hydrologic units, we now have a complete set of 1,725 catchments which may serve a framework for digital climate modeling across whole land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Study for influence by installing structures at lower the Han (한강하구지역의 구조물 설치에 의한 수리학적 영향)

  • Ahn, Kyung-Hoon;Choi, Gye-Woon;Jo, Hyeong-Geun;Jo, Sa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58-862
    • /
    • 2009
  • 한강하구는 하천의 담수와 해수가 만나 혼합되는 전이수역으로 유역면적이 $38,655km^2$이며, 한반도 17.4% 면적의 빗물이 모여 남한강, 북한강, 임진강, 예성강이 되어 하구에서 합류하고, 그 70%가 홍수기에 집중 방류되는 지역으로 매년 토사퇴적량이 증가하여 홍수위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한강하구의 각종 개발계획이 발표되면서 지형 변화에 대한 한강하구의 침식 및 퇴적 등의 수리학적 영향 검토에 대해 관심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한강하구 전체의 복학접인 상호작용으로 인한 유사의 이동과 침식 및 퇴적에 대한 수치적인 연구와 수공구조물 등과 관련된 국부적인 유사이동문제에 대해 평시와 홍수시의 수위 및 유속을 산정하고 한강 하구에 대한 유사 이동흐름을 분석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화도 인근을 수로로 가정하여 한강하구의 하류경계를 연장하여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주변환경을 고려한 분석은 배재하였으며 수공구조물에 따른 조건을 변화하여 해석함으로써 수위 및 유속 등의 수치적 해석을 위해 MIKE 11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강하구와 서해 접경지역에 수공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강화도 인근의 수로에 유출면적이 감소하여 강화도 북부의 청주초 일대의 수위가 높아지며, 이는 김포, 임진강 상류, 신곡수중보 하류까지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수공구조물 설치에 의한 한강하구 지역의 침식원인 기작 및 침식유발 원인 규명을 위해 현장 조사, 실험 연구 등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Monthly Water Balance Analysis of Hwanggang Dam Reservoir for Imjin river in Border Area using Optical Satellite (광학위성을 활용한 임진강 접경지역 황강댐 저수지의 월단위 물수지 분석)

  • KIM, Jin-Gyeom;KANG, Boo-Sik;YU, Wan-Sik;HWANG, Eui-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4 no.4
    • /
    • pp.194-208
    • /
    • 2021
  • The Hwanggang Dam in North Korea is located upstream of the Imjin River which is a shared river in the border area. It is known to have a reservoir capacity of 350 million cubic meters and releases a discharge primarily for generating hydroelectric power and partly for transferring to the Yesung River basin. Due to the supply of water from the Hwanggang Dam to another basin, the flow of the Imjin River has decreased, which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water supply, river maintenance flow, water quality, and ecological environment in Korea. However, due to the special national security issue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border region, the hydrological data is not shared,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Hwanggang Dam is unknown, so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the southern part of the downstream area. In this study, the monthly diversion as the long-term runoff concept was derived through the calibrated hydrological model based on optical remotely sensed Images and water balanc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water balance analysis from January 2019 to September 2021, the average diversion of the Hwanggang Dam was 29.2m3/s, which is equivalent to 922 million tons per year and 45.6% of the annual inflow of 2.02 million tons into the Hwanggang Dam.

Survey for Farmland Development in Western Coast of Nor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 Data (인공위성 화상데이터를 이용한 북한 서해안지역의 농지기반조성 현황조사)

  • An, Gi Won;Jo, Byeong Jin;Seo, Du Cheon;Lee, Jeong 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9 no.1
    • /
    • pp.96-96
    • /
    • 200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d confirm the project formulation, feasibility, scale and locations on the farmland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planned and ongoing tideland reclamation and irrigation facilities along the western coast of Nor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 data, Landsat TM, JERS OPS and SPOT PAN and aged maps. In order to apply to the study, remote sensing technologies such as geometric correction. digital mosaicking, image merging, linear extraction and land cover classification were studied.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claimable tidal flats are recognized at about 178,000 ha equivalent to 59% of announced 300,000ha. and 16,000 ha of completed, 17,000 ha of ongoing project areas although 27,000 ha were revealed to be completed during 1987-1993. Almost planned projects are appeared to be shortage of water supply due to their small watersheds, however, most projects are connected with 2000 mile canal system.

Survey for Farmland Development in Western Coast of Nor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 Data (인공위성 화상데이터를 이용한 북한 서해안지역의 농지기반조성 현황조사)

  • 안기원;조병진;서두천;이정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9 no.1
    • /
    • pp.95-106
    • /
    • 200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d confirm the project formulation, feasibility, scale and locations on the farmland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planned and ongoing tideland reclamation and irrigation facilities along the western coast of Nor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 data, Landsat TM, JERS OPS and SPOT PAN and aged maps. In order to apply to the study, remote sensing technologies such as geometric correction. digital mosaicking, image merging, linear extraction and land cover classification were studied.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claimable tidal flats are recognized at about 178, 000 ha equivalent to 59% of announced 300, 000ha. and 16, 000 ha of completed, 17, 000 ha of ongoing project areas although 27, 000 ha were revealed to be completed during 1987-1993. Almost planned projects are appeared to be shortage of water supply due to their small watersheds, however, most projects are connected with 2000 mile canal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