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송영석(2007), 북한의 농촌용수 이용실태 분석과 개발가능량 산정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
2 |
김기성(1999), 북한 밭기반 정비 및 경사지 복구 협력방안, 통일문제연구 31집, 평화문제연구소, pp.22-40.
|
3 |
사공호상, 서기환, 한선희(2006), 북한지역의 국토이용 실태조사연구, 국토연2006-38, 국토연구원.
|
4 |
이승호, 홍석영, 임상규, 이정철, 김이현(2008),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의 농업환경 분석 I.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북한의 지형과 토지피복분류, 한국환경농학회지, 한국환경농학회, 제 27권 제 2호 pp.120-132.
과학기술학회마을
|
5 |
Paulsson, B.(1992), SPOT Data for Urban Land-Cover Mapping and Road. Map Revision. Intem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29, B4, pp. 352-357.
|
6 |
Jensen, J. R.(1983), Urban/suburban land use analysis, In Manual of Remote Sensing. Second Edition. edited by R. N.
|
7 |
한국수자원공사(1998), 북한 수자원 조사 연구.
|
8 |
조선지리전서: 물자원(1993),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
9 |
이진덕, 이성순, 정태식(2006), SPOT-5 HRG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지형정보 추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 14권, 제 4호, pp.61-70.
과학기술학회마을
|
10 |
한국농촌공사(2006), 북한의 농업용저수지 개발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I ).
|
11 |
이강열(1997), 인공위성자료 분석에 의한 북한 서해안 간척현황, 제3회 북한농업기반 국제세미나,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
12 |
이정철(2004), 북한의 농업용수개발 및 이용실태, 통일과 국토, 한국토지공사, 통권 제 13호, pp.56-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