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예복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19초

단령의 구성에 관한 연구

  • 이태옥;조우현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9-49
    • /
    • 2003
  • 단령은 둥근 깃이라는 뜻으로 군신(君臣)이 착용한 관복명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단령은 검박(儉朴)하고 활동적인 옷의 형태로 AD 1세기 경 서아시아 일대의 기마 유목민족에게 발생되었고 중국에서는 호복(胡服)이라고 불렀으며 4 세기 초부터 17세기까지 군신(君臣)의 관복으로부터 일반인의 생활복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에서 착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28대 진덕여왕 2년(AD 648년)에 김춘추가 당(唐)나라 태종에게 단령을 하사 받음으로 착용하기 시작하였고 고려시대 조선시대에는 주로 관복(官服)으로 계속 착용하였고 현재에는 혼례 예복으로 착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랜 기간 동안 착용되어 온 단령은 봉재와 구성면에서 깃의 너비나 형태 앞 뒤 길이 차이 소매의 너비무의 변화 등 구성과 여러가지 면에서 변화를 거쳐 왔다. 단령의 구조는 깃이 둥근 형태에 옆 목점에서 매듭단추나 끈으로 여미며 길이가 길다. 따라서 15-16세기의 전단후장형 단령과 현재 혼례시 신랑 예복으로 착용되는 후기의 단령을 비교하여 구성의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한다.

  • PDF

3D 가상의상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가족예복 디자인 개발 (The Design Development of Family Formal Clothes Using 3D Virtual Clothing Software)

  • 이나연;성옥진;김숙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3호
    • /
    • pp.35-50
    • /
    • 2019
  • Modern family culture manifests various different social phenomenon due to shifts caused by increased societal response to industrialization in our country. It is noted that as our lifestyle patterns have shifted from being work-oriented to family-oriented, by focusing on the trend where there is an increase in families enjoying hobby and leisure activities together and where families go shopping together, I attempted to propose various different family-look' designs. In this research study we designed and planned family normal clothes designs that are required and desired for family gatherings and family events, and these designed were produced using 3D virtual clothing design software technology.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formative features of natural plants and textiles containing a symbolic motif as an element of design, and the creation of family formal clothes were designed and planned based on the method. The development of family formal clothes designs was implemented using CLO 3D virtual clothing design software. Because utilizing 3D virtual clothing design software enables prototyping various types of designs, silhouettes, fabrics and textiles, and color schemes etc. in a short amount of time, it was possible to utilize an advantage from using the software as leveraged to propose designs with a strong symbolic motif and symbolism . Also, by confirming and examin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design process when using CLO 3D, It can improve the utilization of IT technologies, and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at efficiency.

중국 흑룡강성 조선족의 혼예복에 관한 연구

  • 장순애;김진구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1-123
    • /
    • 2003
  • 현재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 이주민으로서 가장 큰 집단은 중국에 살고 있는 조선족인데 약 200만에 이르고 있는 이들은 19세기말부터 이주하기 시작하여 자치주를 형성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의 일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흑룡강성의 조선족들은 그 인구가 46만 여명으로 늘어났으며 “대산재, 소집병”의 형식으로 그 사회구조를 이루고 있다. (중략)

  • PDF

비즈 장식 기법을 응용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 정경희;양숙희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8-69
    • /
    • 2003
  • 현대인은 복식활동에서 개성이 강하게 표현되기를 원하며 웨딩드레스에서도 차별화 된 다양한 디자인을 요구한다. 복식의 한 분야인 웨딩드레스는 복식의 흐름에 동조하면서, 디자인 개발보다는 복식사적 틀 속에서 재현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신부들의 개성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과 표면적인 재질감의 표현에 있어 예술성 및 가치부여를 비즈장식 기법을 응용한 웨딩드레스와 웨딩예복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기독교 예복에 관한 기독교인의 의식 조사 (Christians' Consciousness on the Christian Ceremonial Dress)

  • 이은옥;이현정;오경화
    • 복식
    • /
    • 제53권3호
    • /
    • pp.1-11
    • /
    • 2003
  •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true meaning of christian ceremonial dress, based on the Biblical background, by examining the origin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Catholic ceremonial dress. The influence of the Liturgical movement on the ceremonial dress and the changes i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Christian ceremonial dress are studied. This research also aims to closely examine the difference in Christians' consciousness on the Christian ceremonial dress such as gown, stole, and clergy shirt. It aims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the education and further study on the Christian ceremonial dress through reconfirming the basic understanding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Christian ceremonial dress.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lesson of the Bible and the ideology of the Reformation, it is suggested that priests should wear regular suits or the traditional Hanbok rather than wearing gown or Roman collar. However, if most of Christians believe that it is critical to wear ceremonial dress to project holiness and seriousness during the service, it is suggested that priest should wear gown only and avoid Roman collar and stole because they only show the hierarchy of priests. Accordingly, there is a hope in this research that the knowledge of ceremonial dress could be re-defined based on the Evangelism in the Bible th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결혼사진에 나타난 남녀 결혼예복의 형태 분석 (An Analysis of Wedding Outfits through Families's Wedding Photographs)

  • 김재숙;송경자;이혜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1권2호
    • /
    • pp.253-262
    • /
    • 2003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1) to analysis Korean traditional wedding costumes through families's wedding photographs from 1940 to 2000, and (2) to categorize bride and groom's costumes according to the wedding time by means of a time series analysis. (3) to find out functional relationship among changes in garment types, garment details, embellishments and colors. The study was a documentary research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390 family wedding photographs by a convenient sampl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 and the statistic used were frequency, content analysis, and cross-tab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arments of wedding couples were categorized into 5 period according to garment's characteristics. 1. The period between 1940~1959 : Korean traditional wedding costumes and western style wedding costumes were existed together in Korean wedding culture. 2. The period between 1960~early 1970's western wedding costumes were dominated. 3. The period of late 1970's : wedding couple's costumes became more formal and decorative. 4. The period of 1980's : introducing see-through materials for brides and tuxedo suit for grooms. 5. The period of 1990's : extravagance in shapes and exposur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brides's dress types and neckline, glove length, embellishments and transparency of materials and among groom's garment types and necktie types, types and color of shirts, vests. Third, the time series analysis of bride and groom's outfit produced 5 schematic expressions of wedding outfits according to the period.

  • PDF

현대 남성 예복의 패턴과 봉제기술 연구 (A Study of Modern Men's Formal Wear Patterns and Sewing Technique)

  • 임현주;김정희;조효숙
    • 복식
    • /
    • 제60권10호
    • /
    • pp.28-46
    • /
    • 2010
  • Variety and individuality are characteristic of consumer in modern society. For the necessity of new designed men's formal suit is on the rise with advance of party culture and change of wedding style. In addition to growing numbers of Korean grooms are getting more interested in make themselves well-groomed on the wedding ceremo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en's formal suit pattern for right fit and better style for Korean grooms. In order to find out how to modify their fit, comparison among the existing patterns was necessary. In this study we proposed new patterns of men's formal suit, a morning coat, a tail coat, tuxedoes, director's suit, three-peaces suit, navy blazer.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developed patterns were altered to fit better and to smarter. They were well graded in waistline position, shoulder shape, back princess line shape. Also they were best to move around sleeve and bodice. And the developed patterns were altered to make armhole narrower to make bodice length shorter, to make bodice slimmer. The researcher's pattern's were made up into garments using wool 100%, silk 100%. According to verify the improvements and grade better in both appearance and comport, it will be to take the lead men's formal dress culture and expand the base of popular consume for men's formal wear.

광복이후 첫돌 복식의 변천 (Changes in the Ceremonial Dresses for Children's First Birthday Since 1945)

  • Ji, Yoon-Young;Hong, Na-Yo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81-1692
    • /
    • 2001
  • 본 연구는 광복 이후 현재까지 첫돌 복식 변화를 시대적으로 고찰, 그 변화 양상과 영 향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고찰과 사진 자료를 통한 내용 분석을 주로 하였다. 더불어 자료의 보충을 위해 첫돌 의례와 관련된 주변 인물들-가족, 기성 아동 한복 유통 상인, 상업적 사진사 등-의 면접 조사도 병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940년대 중반∼50년대 초에는 해방 이후 혼란과 전란으로 인한 물자의 부족으로 첫돌 의례의 명분은 남아있으나 복식 문화는 공백기를 맞는다. 1950년대 중반이후 60년대 전반기는 미국의 경제 원조와 섬유 공업 활성화로 의료의 공급이 원활하여 전기에 비해 의례적 의미를 지닌 첫돌 복식의 착용이 가능해 졌다. 전통 한복을 기본으로 한 위에 서양식 복식 품목들이 섞여서 나타나고 있다 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의 두드러진 양상은 기성복 산업 의 발달로 전문적 인 기성복 시장이 형성되었고 이는 기성복화 된 첫돌 복식의 일습 개념을 등장시키게 하였다. 또한 한복이 예복화 되는 경 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시기로 70년대 후반의 칼라 필름의 보급은 금박과 자수와 같은 다양한 재료와 재단 방법을 사용한 장식화 된 첫돌 복식의 사용을 가속화 시 켰다. 특히 70년대 중반에 소수의 일반에게 입혀졌던 궁중복식의 하나인 당의가 소매없는 당의로 바뀌어 여아의 돌옷으로 입혀지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전반기는 칼라 TV의 보급, 비디오 촬영의 보편화로 한복이던 양복이던 일습화 된 첫돌 복식이 대중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후반기에는 국내의 국제적인 행사의 유치와 전통 복식 소개를 위한 전시들을 계기로 왕실 복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이로 인해 여아에게 소매없는 당의를 입히고 남아에게 용포를 입히는 유행이 가속화되었다. 또한 서양식 예복을 입히는 유행이 시작되었다. 90년대에 들어와 아기 전문사진점의 등장은 1 회적인 첫돌 의례에 한복과 서양식 예복, 일상복 등을 다양하게 착용시키는 계기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변화 양상에도 불구하고 첫돌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한 옷을 마련하고자 했으며, 그 복식의 구성 이 전통적인 일습 개념을 꾸준히 지향해 온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최근 과열된 아동 산업은 보다 다양한 복식을 입혀서 촬영한 사진으로 특별하게 꾸민 상업적인 기념물들을 남겨주게 하고 있다. 비록 특별한 옷을 준비하여 아동에게 입히는 행위는 유사한 표현 양태이나 지나치게 많은 옷을 갈아 입히는 표현 방식은 지양되어야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