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예방접종력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4초

일지역 2012년 출생아에 대한 각차수별 예방접종력 분석 (2012 newborn infants' each stage protective injection Analysis)

  • 김정희;임청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5-186
    • /
    • 2014
  • 본 연구는 2012년에 시작된 국가예방접종사업의 지원 확대로 지역사회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퇴치 기반이 강화됨에 따라, 일지역 보건소의 2012년 예방접종 등록 출생아를 대상으로 정기예방접종에 대한 각 차수별 예방접종등록관리 보건정보시스템에 전산등록 된 영유아 예방접종의 기록을 근거로 만3세의 기본 예방접종력에 대한 각출생월별, 각백신별, 미접종률과 미접종에 대한 각각의 사유를 분석하고 미접종자에 대한 접종안내 및 접종실시를 하여 만3세의 기본접종에 대해 완전접종과 높은 예방접종률로 감염병을 예방하고 일지역 보건소의 예방접종사업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 PDF

일개 행정구역 3세 미만 영유아의 국가예방접종 분석 (One province, under 3 age infants National vaccination Analysis)

  • 김정희;임청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9-160
    • /
    • 2015
  • 본 연구는 어린이 국가예방접종과 관련하여 정기예방접종 감염병 대상 13종으로 C도 7개시, 2개구, 7개군으로 2012년 3세 미만 영유아의 총출생아로 C도 보건소에서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예방접종등록관리 보건정보시스템에 전산등록된 예방접종 기록을 근거로 예방접종력을 확인하고 미접종아의 백신별 미접종력과 미접종률을 파악하여 C도 2012년 3세 미만 영유아의 완전접종과 적기예방접종을 목표로 하며,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사업 추진에 기초자료를 활용하고 보건정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 PDF

2012년 출생아의 시기별 예방접종력 분석 (2012 Newborn Infants' Stage Protective Injection Analysis)

  • 김정희;임청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65-271
    • /
    • 2015
  •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 예방접종을 실시한 2012년 출생아 39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예방접종등록관리 보건정보시스템 전산등록 데이터에 축적된 2012년~2014년까지의 수집된 자료를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출생월별, 백신별, 접종시기별 미접종 현황을 분석한 결과 89명(22.4%)이 예방접종 전산 미등록, 미접종 영유아로 SMS 문자전송을 통해, 예방접종 안내 및 예방접종 실시를 하였으며 오류로 인한 전산등록 누락자, 연락처 부재로 인한 연락불가 20명을 제외한 69명(17.4%)의 미접종 영유아들로 39명(9.8%)이 기본접종을 완료하여 92.4%의 높은 예방접종률을 확인하였다. 예방접종을 통해 지역사회 내 감염병을 예방하고, 예방접종사업비 지원과 보건정책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농복합 지역 영유아 예방접종수첩 기록의 정확도 (Development of Vaccination Coverage Estimation Methods of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in Korea)

  • 이무식;김광환;김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885-888
    • /
    • 2010
  • 현재 우리나라는 보건소 중심의 예방접종등록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2004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현재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 예방접종등록사업은 피접종자들은 대체적으로 예방접종에 대한 적절한 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예방접종과 관련된 정보들을 국가나 사회에서 적시에 피접종자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확인이 등록에 앞서 그 정확성을 확인 필요가 있다. 예방접종등록사업의 가장 기본적인 사업으로 진행된 것은 예방접종 수첩의 제공과 그 관리를 통한 예방접종 사업으로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왔으며, 일반 국민과 개원의사들에서도 대중적으로 보급되어 있다. 국가 예방접종률의 산출 그리고 취학 어린이 예방접종력 증명서 제출 제도를 위하여 예방접종 수첩을 활용하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방접종 수첩의 예방접종력 정확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지역조사에서 접종기관으로 확인된 민간 의료기관 365곳 가운데 의료기관 이전 및 폐업으로 반송된 경우가 4건(1.1%)이었으며, 응답한 경우는 129곳으로 응답률은 35.3%였다. 조사된 의료기관 전체를 대상으로 확인된 1,201건에 대한 BCG 접종여부의 정확도는 69.5%였다. B형 간염의 정확도는 1차가 41.3%로 낮았으며, 2차와 3차는 각각 76.6%, 79.7%였다. DTaP의 정확도는 약 80%였으며, 정확도가 제일 높은 것은 DTaP 3차로 82.5%였으나 다른 것과 가장 낮은 정확도와 2% 정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폴리오의 정확도는 약 80%였다. MMR의 정확도는 83.2%였다. 일본뇌염의 경우 약 80.0%였으며, 수두의 정확도는 74.9%로 다른 질병과 비교하여 낮은 수치를 보였다. 조사된 의료기관을 전체로 한 기타예방접종별 예방접종수첩의 접종여부의 정확도는 인플루엔자는 정확도는 74.1%였으며, 뇌수막염은 72.7%의 정확도를 보였다. A형 간염 1차의 정확도79.5%였으며, 폐렴구균 1차의 경우 73.2%로 나타났다. 국가필수예방접종별 예방접종수첩의 접종일자에 대한 정확도는 BCG 80.1%로 확인되었고, B형 간염 1차 89.7% 2차는 82.1% 3차는 79%로 B형 간염 중 가장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DTaP는 1차와 2차는 약 87% 3차는 85.1% 4차는 83.5%로 확인이 되었다. 폴리오는 1차가88.1%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2차가 86.2%, 3차가 84.8%로 확인되었다. MMR의 정확도는 84%였으며, 일본뇌염 1차의 정확도는 83.1%로 나타났다. 수두의 접종일자 정확도는 83.7% 이고, 인플루엔자의 정확도는 55.3%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기타예방접종별 접종일자 정확도의 조사 결과 뇌수막염 1차과 폐렴구균 1차는 약 90%로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A형 간염 1차는 88.4%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2000년도 경남 서부 지역에 유행한 홍역의 임상양상 (Clinical Studies of Measles Prevalence in Western Kyungnam District in 2000)

  • 권병오;주혜영;김정희;유황재;김천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3호
    • /
    • pp.331-338
    • /
    • 2002
  • 목 적 : 1965년 국내에 홍역 예방 접종이 도입된 후 1985년대부터 국가사업으로 무료예방 접종을 실시하면서 홍역 환아의 발생이 급격하게 줄었다. 1990년과 1994년의 전국적인 유행에 따라 예방 접종방법이 조금씩 바뀌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2000년도에는 사상 유래 없는 32,080명이라는 엄청난 환아가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보건복지부에서 자체 역학조사가 있었지만, 학계에서는 이시기에 유행했던 홍역에 대한 임상연구 및 보고가 미비하여 저자들은 이시기에 경남 서부 지역에 유행한 홍역의 역학을 조사하여 2000년 홍역의 대유행의 역학적 특징을 분석하고, 예방 접종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홍역근절이라는 예방 대책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2000년 1월부터 12월까지 마산삼성병원을 방문 또는 입원한 환아들 중에 경남 서부 지역에 거주하는 자로서 임상적으로 홍역이 의심되어 홍역 IgM 항체 검사를 실시한 15세 미만의 환아 489명 중에 홍역 IgM 항체가 양성반응으로 확인된 344명만을 대상으로 하여 발병연령 및 월별 발생, 임상증상 및 합병증, 예방 접종력과 홍역 IgG 항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1) 발병연령 및 월별 발생현황 : 발병연령은 12개월 미만의 환아가 127명(36.9%)으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으며, 그 이후에는 11세에 정점을 보였다. 월별 발생현황은 5월에 첫 환아가 발생하여 10월부터 기하급수적인 증가를 보였다. 2) 임상증상 및 합병증 : 모든 환아에서 발열과 기침, 발진을 볼 수 있었으며, 결막염은 54.9%에서 발견되었으며, Koplik 반점은 23.8%에서 관찰되었다. 합병증을 보인 환아는 112명(32.6%)이었으며, 폐렴이 80명(71.4%)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기관지염, 장염, 후두염, 중이염의 순서였다. 3) 예방 접종력 : 예방 접종력을 확인할 수 있었던 261명 중에 1차 예방 접종을 했던 환아는 109명(41.8%)이었고, 연령별 1차 예방 접종률과 환아 발생 수를 비교하였을 때 12개월 이하에서 1차 접종률이 가장 낮았으며, 가장 많은 환아가 발생하였다. 이후 접종률이 증가하면서 환아수가 감소하였다가 접종률이 떨어지는 10세 전후로 해서 환아 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P<0.01). 하지만, 2차 접종률과 비교하였을 때는 오히려 2차 접종률이 높은 연령에서 환아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4) 홍역 IgG 항체 : 홍역 IgM 항체와 IgG 항체를 동시에 검사한 환아는 152명이었으며, 이들 중에 1차 예방 접종을 받은 35명의 환아 중에 IgG 항체가 음성인 환아는 22명(62.9%)이었으며, 2차 예방 접종을 받은 6명중에는 3명(50%)이 IgG 항체가 음성이었다. 결 론: 2000년 홍역의 대유행은 전국적이었으며, 여전히 12개월 미만의 홍역 환아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러므로 현재 유행 시에만 실시하는 생후 6개월의 홍역 단독 예방 접종을 유행지역에서는 기본 접종에 준해서 시행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거나 원천적으로 기본 예방 접종으로 전환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예방 접종 후에 홍역 IgG 항체 형성율이 낮은 것은 예방 접종의 방법보다는 백신자체의 문제나 백신의 운반이나 유통과정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므로 객관적인 판단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증례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한국 청소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과 부모요인에 관한 융합적 연구 :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Personal and Parental Factors Influencing Influenza Vaccination in Adolescents: Based on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이은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51-158
    • /
    • 2017
  • 청소년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지역사회의 인플루엔자 확산 방지에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과 부모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12-18세 청소년 1,020명과 그 어머니 884명, 아버지 557명이었다. 분석을 위해 Rao-Scott $x^2$,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은 26.2%로 매우 낮았고, 청소년의 연령이 적을수록, 최근 2주간 몸이 불편했던 경험과 폐렴 과거력이 있으며, 자동차 앞좌석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경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이 높았다. 또한 부모의 연령이 적을수록, 부모 본인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한 경우 청소년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이 높았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와 의료인들은 청소년과 부모에게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에 대한 교육이나 홍보를 통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에 관한 인식을 개선하고 다양한 융합적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영유아의 예방접종 및 그 관련요인 (Up-to-date or Complete Immunization Coverage and Their Related Factors)

  • 이무식;김은영;김건엽;이진용;장민영;홍지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7권4호
    • /
    • pp.233-245
    • /
    • 2012
  • 이 연구는 지역단위 예방접종률 시범조사를 통해 획득한 다양한 예방접종 자료를 분석하여 예방접종의 수진 관련 요인을 파악, 분석하였다. 2005년 2월부터 4월까지 일개 도농복합 지역사회 영유아 전수를 대상으로 해당 연령의 영유아들이 거주하는 가구를 조사자가 직접 방문하여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접종조사력에 대한 확인은 예방접종수첩자료를 우선적으로 하고, 없을 시에는 보호자의 기억력에 의존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2005년 5월부터 7월까지 지역 가구조사에서 확인된 예방접종 의료 기관을 대상으로 예방 접종력 확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논산 및 대전지역 병의원에 대해서는 조사자가 직접 방문하였고, 타지역의 경우 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예방접종수첩에 근거한 국가필수예방접종률은 DTaP 4차(79.3%)를 제외하고 92.7~96.4%였으며, 국가예방접종 완전접종률은 74.0%, 4:3:1 시리즈 완전접종률은 77.1%였다. 국가필수예방접종의 완전접종은 주 양육자가 부모인 경우(19개월 이상 영유아에서 교차비 0.59, 95% 신뢰구간 0.39-0.87), 출생순위가 셋째 이상에 비해 빠를수록(24개월 이상 영유아에서 교차비 1.79, 95% 신뢰구간 1.05-3.03) 접종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4:3:1 시리즈 완전접종은 19개월 이상 영유아에서 주양육자가 부모인 경우(교차비 0.58, 95% 신뢰구간 0.38-0.88), 출생순위가 첫째아일수록(교차비 1.94, 95% 신뢰구간 1.21-3.14) 접종률이 높았으며, 24개월 이상 영유아에서는 출생순위가 첫째아에서(교차비 2.23, 95% 신뢰구간 1.27-3.91) 유의하게 높았다. 90% 미만의 예방접종률을 보인 부적절한 수준의 예방접종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며, 완전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양육하는 부모의 존재와 출생순위 파악과 이에 대한 중재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최근 10년간 경인지역 20세 이하 소아 청소년에서 발생한 대상포진의 역학적 변화와 임상적 고찰 (A Recent 10-Year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Study on Zoster under 20 Years Old)

  • 목혜린;박소영;이수영;최상림;정대철;정승연;김종현;허재균;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2호
    • /
    • pp.195-201
    • /
    • 2005
  • 목 적 : 우리나라에서 성인에 대한 대상포진에 대한 연구 자료는 많이 보고되고 있지만, 소아 청소년 영역에서 발생하는 대상포진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 10년간 소아 청소년에서 대상포진의 역학과 임상양상을 조사하였고 수두 과거력과 예방접종 유무에 따라 나타나는 대상포진의 양상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방 법 : 1995년 7월부터 2005년 6월까지 10년간 경인지역 4개 대학병원에 대상포진으로 입원한 20세 이하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누락된 기록이 있는 경우 전화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1) 최근 10년간 경인지역 20세 이하 소아 청소년에서 대상포진으로 입원한 환자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2) 수두 예방접종 후에 대상포진의 발생이 증가되는지를 설명할 수는 없었다. 3) 입원 당시의 주증상은 3/4 환아에서 통증이 동반된 피부병변이었고 대부분 간기능 검사치는 정상이었고 주사용 acylcovir 치료를 받았다. 4) 입원치료 중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는 17%이었고, 그 중 뇌수막염(41%)이 가장 많았다. 5) 예방접종 유무와 무관하게 수두 과거력이 있는 환아는 수두 과거력이 없던 환아들보다 대상포진에 의한 합병증 발생률이 높았다(P<0.05). 6) 수두 과거력이 없는 환아들 경우, 수두 예방접종을 시행한 환아는 접종하지 않는 환아보다 대상포진에 의한 합병증 발생률이 낮았다(P<0.01). 결 론 : 최근 10년간 경인지역 소아 청소년에서 대상포진으로 입원한 환아수가 증가하는 추세이었으나, 그 증가 원인과 수두백신이 대상포진의 증가에 영향을 주는가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자료의 제한점이 많지만,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예방 접종력과 무관하게, 수두 과거력이 없는 환아들은 수두 과거력이 있는 환아들보다 합병증 발생률이 낮았고 수두 과거력이 없는 환아들 중에서는 예방접종을 시행한 환아들이 예방접종을 시행하지 않는 환아들보다 합병증 발생률이 낮았다. 올해부터 수두 예방접종이 기본접종으로 시행된 시점에서, 기본접종으로 시행되기 이전과 이후 발생되는 수두와 대상포진에 대한 역학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학생의 A형간염 지식, 예방접종 실태, 예방행위에 관한 연구 (Knowledge, Immunization, and Prevention behavior to Hepatitis A in University Students)

  • 최선미;구상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50-15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A형간염 지식, 예방접종 실태, 예방행위를 파악하고 지식과 행위와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여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U대학 1-4학년에 재학중인 학생이며, 임상 실습 전 필수로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간호학과 3, 4학년 학생을 제외한 219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WIN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형 간염 지식은 성별, 전공, 한 달 용돈, 3개월 이내 HAV 교육경험, 본인의 항체 보유, HAV 감염 여부, 가족 중 HAV 감염력이 있는 경우와 A형간염 예방행위는 거주형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A형간염 지식과 예방행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A형간염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방접종의 필요성과 성인기 예방접종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며, 습관화된 예방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유행하는 CPV-2a 분리주에 대한 CPV-2와 CPV-2b 백신의 방어효능 평가 (Evaluation for Protective Effect of CPV-2 and CPV-2b Vaccines against a Korean CPV-2a Isolate in Pups)

  • 정석영;이준석;김현태;김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61-366
    • /
    • 2014
  • 본 연구는 상용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CPV-2 백신과 CPV-2b 백신이 국내에서 주로 유행하고 있는 CPV-2a 분리주에 대해 방어능력을 가지는 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CPV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은 생후 9주령의 잡종 강아지 20두를 예방접종 미실시군(대조군) 4두와 예방접종군 16두로 편성하였다. 예방접종 군의 강아지 8두씩은 3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CPV-2 또는 CPV-2b 백신을 각각 예방접종하였다. 3차 예방접종 2주 후에 모든 강아지에 $1{\times}10^6\;TCID_{50}$의 CPV-2a (VR00174 strain) 바이러스를 경구접종하였으며 강아지들의 임상증상, CPV의 변 내 배출, CPV에 대한 혈청학적 반응에 대하여 2주 동안 관찰하였다. 국내 분리 CPV-2a를 공격접종한 후에, 예방접종을 실시한 모든 강아지에서는 어떠한 임상증상도 나타나지 않았지만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은 강아지들은 식욕부진, 우둔, 구토, 점액 또는 혈액성 설사를 나타내었으며 2두는 공격접종 6일째에 폐사하였다.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은 강아지들에서는 공격접종 4일 후부터 변에서 CPV가 검출되었지만 예방접종을 실시한 강아지에서는 변에서 CPV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예방접종 실시한 강아지들은 1차 예방접종에 의하여 방어수준 이상으로 CPV에 대한 항체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시판 중인 CPV-2와 CPV-2b 백신이 최근 국내에서 주로 분리되는 CPV-2a에 대하여 교차 방어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