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방자료

Search Result 3,270,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일부 산업장 생산직 근로자의 예방적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 Kim, Yeong-Ra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2
    • /
    • pp.52-59
    • /
    • 1992
  • 본 연구는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와 실천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요인분석하여 산업장의 예방적 건강행위를 이끌기 위한 프로그램의 기틀을 세우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도구는 참고문헌과 선행연구 등을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만든 설문지를 사전 조사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2개 기계제조업체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이였으며 1989년 5월 5일부터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탈락 및 기재가 불충분한 질문지를 제외한 284명의 응답자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예방적 건강행위의 필요성 인식정도의 평균은 122.1점으로 매우 높은 점수분포를 나타냈으며, 실천정도의 평균은 87.6점으로 필요성 인식정도 보다는 낮은 실천정도를 나타냈었다. 2)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와 실천 정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29개 예방적 건강행위 중 20개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것을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실천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정도가 행위에 영향을 미침을 반영하고 있다. 3) 요인분석결과 29개의 예방적 건강행위 항목들은 7가지의 요인으로 범주화되었으며 각 범주들은 요인부하량이 높은 것들을 참고로 하여 보건의료자원활동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개인위생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 작업과 관련된 건강행위, 식습관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휴식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기호습관(금연, 금주)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활동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등으로 명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생산직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들은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으나, 실천정도는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예방적 건강행위의 필요성 인식정도와 실천정도간의 상관관계에서 29개 항목중 20개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인식정도가 높을 수록 실천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로자의 건강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업간호사의 역할 중 보건교육에 대한 업무가 보다 중요한 비중으로 수행되어져야 함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볼수 있다.

  • PDF

공정위 발표자동판매기 구매권유시 피해 예방요령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Vending industry
    • /
    • v.5 no.1 s.13
    • /
    • pp.62-63
    • /
    • 2005
  • 공정거래위원회 부산지방사무소는 지난해 연말 자판기 구매자들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요령이 담긴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이 자료에는 자판기 구매의 피해유형을 제시하고 어떠한 점들에 대해 주의를 요해야 하는 지가 명시가 되었다. 그 세부내용을 살펴봤다.

  • PDF

The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in middle school : Based on the Practical Action Teaching Model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

  • Son, Joo Young;Chae, Jung-Hy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5 no.2
    • /
    • pp.103-12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eaturing the Practical Action Teaching Model(hereafter, PAT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prevent school violence by Home Economics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process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based on ADDIE were conducted.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twice by Home Economics education experts(36 experts for the first group and 10 experts for the second group)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modified according to the comments from the evaluators.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 Home Economics classes consisted of 5 topics such as changing perception on school violence, enhancing self-esteem, relating with others, practicing consideration and sharing, and strengthening the will of preventing school violence. Twenty-four units were developed with 7 practical problems(What should I do to make friends to help with each other?, What should I do to establish positive self-concept?, What should I do to communicate to build good relationship?, What should I do to solve the conflicts peacefully?, What should I do to practice consideration and sharing in food consumption?, and What should I do to practice consideration and sharing in clothing?) in 5 topic areas. Teaching-learning plans included four steps such as problem perception, practical reasoning, action, and evaluation that comprise PATM to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Every step of the teaching-learning plan consisted of questions for practical reasoning and activity assignments. Materials for students and teachers were developed. Materials for students comprised 80 pieces in total including student activity, reading, movie, and clips to make students enhance understanding and interest. Materials for teachers comprised 35 pieces in total such as rationales, newspaper articles, and movies that make teachers that lesson teaching loads and were helpful for teachers. The PATM was incorporated into developing the program and a Likert-scale was used to assess usefulness, applicability, appropriateness, fidelity, substantiality, and validity of this program. This program gained more than 4.00 on a 1-5 Likert scale. This result indicated that program is expected to be effective and useful to school violence preven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