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방/대비/대응/복구

Search Result 7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stablishing of Mid-and Long-term Strategy by Analyzing the Storm and Flood Damage Management System (풍수해 관리 현황 분석을 통한 중장기 전략 수립)

  • Ryu, Si saeng;Park, Ju-i;Park, Eun hee;Park, Sung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2-362
    • /
    • 2017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자연재해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자연재해 중에서도 태풍, 호우 등 풍수해의 발생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최근 곤파스(2010), 무이파(2011), 볼라벤(2012) 등 태풍의 영향으로 많은 인명피해와 1조원 이상의 직접손실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자연재해 예측 및 피해저감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체계적인 방재정책을 수립하고자, 안전관리 기본계획 및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등 풍수해 관리를 위한 관련 정책들을 정비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법률구조상 효율적인 재난관리정책을 뒷받침할 법적 근거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체계적인 풍수해 관리를 위하여 재난관리단계를 예방, 대비, 대응, 복구로 구분하고 관리 현황 분석을 진행하여 풍수해관리 중장기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풍수해 관련 법령 및 법 제도 체계를 검토하였고, 루사(2002)와 볼라벤의 피해사례 분석을 통해 풍수해 관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현행 방재정책은 사후복구위주의 중앙정부 중심 체계이며, 피해규모가 대형화되고 복합재난이 발생하는 등 새로운 재해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풍수해 관리에 있어 (1)관련법 규정의 미흡, (2)재해정보의 부족 및 정보관리의 미흡, (3)대응체계의 복잡성, (4)방재산업에 대한 전략적 과학적 투자 미흡 등을 문제점으로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풍수해관리 중장기 전략은 첫째, 법 제도 개선을 통한 풍수해 관리수준 고도화, 둘째, 재해연보 개선을 통한 풍수해정보관리 고도화, 셋째, 풍수해 피해예측시스템을 활용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재난대응체계 구축, 넷째, 풍수해 저감 핵심기술 확보와 국내 방재산업 활성화 체계 구축으로 제시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informationattributes in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s through Unstructured Data: Spotlighting on the OECD Guidelines for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Preparedness, and Response (비정형 데이터를 이용한 화학물질 사고 대응 체계 정보속성 비교 분석 : 화학사고 예방, 대비 및 대응을 위한 OECD 지침서를 중심으로)

  • YongJin Kim;Chunghyun Do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4
    • /
    • pp.91-110
    • /
    • 2023
  • The importance of manuals is emphasized because chemical accidents require swift response and recovery, and often result i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asualties. In this regard, the OECD revised OECD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Preparedness, and Response to Chemical Accidents (referred to as the OECD Guidelines), in June 2023. Moreover, while existing research primarily raises awareness about chemical accidents, highlighting the need for a system-wide response including laws, regulations, and manuals, it was difficult to find comparative research on the attributes of manuals. So,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econd and third editions of the OECD Guidelines, in order to uncover the information attributes and implications of the revised version. Specifically, TF-IDF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was applied to understand which keywords have become more important, and Word2Vec was applied to identify keywords that were used similarly and those that were differentiated. Lastly, a 2×2 matrix was proposed, identifying the topics within each quadrant to provide a deeper comparison of the information attributes of the OECD Guidelines. This study offers a framework to help researchers understand information attribute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it appears valuable for the revision of standard manuals by domestic government agencies and corporations related to chemistry.

Study on Corresponding Water Level to Inundation of Ungaged Point using 1D Hydraulic Analysis Mode (1차원 수리해석을 통한 미계측 지점 침수대응수위 검토 연구)

  • Kim, Tae Hyung;Kim, Keuk Soo;Kwak, Jae Won;Ro, Young Sin;Park, Yong 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38-338
    • /
    • 2017
  • 하천기본계획, 생태하천 복원사업, 또는 하천재해예방 사업 등에 의해 수행되는 하천정비사업은 홍수재해예방, 생태하천 복구 등 여러 목적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이루어지는 하천정비사업은 공원, 캠핑장, 주차장 등 시민들에게 다양한 편의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친수공간으로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구역 내의 친수공간 조성은 홍수주의보 및 홍수경보에 대응하는 유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에도 침수피해가 발생함으로써 중소규모의 유량에 대한 홍수위험도도 함께 증가시켰다. 친수공간 및 교량하부도로 등 저수위에 대한 홍수취약구간의 홍수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해당 위험지점의 수위관측을 통해 위험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홍수피해에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하지만, 예산과 인력 등의 문제로 인해 모든 지점에 대해 수위관측을 실시하여 홍수예보시스템에 의해 홍수예측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친수공간에서의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 친수공간의 지형정보가 인근의 홍수예보지점 또는 수위관측소 지점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통해 원거리에 위치한 수위관측 및 홍수정보를 이용하여 하천구역내 위치한 친수공간에 대한 침수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원거리에 위치한 수위관측소의 수위 및 유량 정보를 활용하여 수위관측이 이루어지 않는 지점의 침수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낙동강 하류부에 대해 제시한 방법론에 의해 목표로 하는 친수공간에 대한 유량별 수위에 대한 침수도표를 작성하였다. 본 방법론과 이에 의해 작성된 친수공간의 침수도표는 취약구간에 대한 각 수위별 침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Analysis of Importance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Respond of Heavy Snowfall (대설 대응의 제도적 개선을 위한 중요도 분석)

  • Kim, Heejae;Yoon, Sanghoon;Park, Keunoh;Kim, Geunyo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3 no.3
    • /
    • pp.340-347
    • /
    • 2017
  • This study deducted institutional improvement factors for respond of heavy snowfall disaster and performed AHP analysis for choosing the priority. The result of Analysis, establishment of plan concerned heavy snowfall respond was represented most important factor(Importance : 0.461), this is meaningful establishment of plan is more important than facilities, sources, policies for building system of heavy snowfall respond. Establishment of plan concerned respond was represented most important element(Comprehensive Importance : 0.175) in plan for heavy snowfall respond, it is suggested that establishment of respond plan of heavy snowfall has to need for improving law and institution about heavy snowfall.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when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 establish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for respond of heavy snowfall disaster.

A Study on Establishing a system for monitoring chemical complex (화학단지 모니터링체계 구축방안 연구)

  • Lee, Jun-Woo;Chun, Young-Woo;Cho, Myeong-he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302-303
    • /
    • 2016
  • 최근 화학사고는 '10년 15건에서 '15년 111건으로 급속히 증가되고 있다. 이는 기존 산업시설의 노후화와 더불어 사용량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화학사고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단계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재난사고의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현장중심의 위험물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신속히 위험을 감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단지 모니터링체계 구축을 위해 공간정보 기반의 위험물질 정보를 구축하였다. 또한 실시간 기상정보의 취득 및 처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실시간 기상정보를 활용하여 화학단지 내 바람장 분석을 통해 지점별로 풍향, 풍속을 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형, 지물을 고려한 화학사고 발생시 그에 따르는 영향범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국내외 BCP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기업에 효율적인 BCP 적용 방안 연구

  • KIM, Yun-Jong;KIM, Sung-Hyun;Park, Mi-Hye;Choi, Seung-Woo;KIM, Hak-Beom
    • Review of KIISC
    • /
    • v.26 no.1
    • /
    • pp.68-78
    • /
    • 2016
  • 최근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사이버 공격, 안전 불감증 등의 인재 및 지진, 태풍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나 이에 대한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에 대한 일련의 체계적인 활동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업무 연속성 계획(BCP : Business Continuity Planning)의 정의 및 필요성에 대해 소개하고, 효율적인 BCP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국내외 BCP 현황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미국, 영국, 호주, 일본은 각각 정부기관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는 바 그 효과에 대해 검토하여 우리나라 BCP 현황과 비교 분석한 후 우리나라 기업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Framework for MICE Planning and Management Manual (MICE 안전관리 실무 매뉴얼 개발을 위한 프레임웍 도출)

  • Choi, Hee-Cheon;Yoon, Myong-O;Kim, J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82-283
    • /
    • 2015
  • MICE 분야의 안전관리를 위해, 정책적이고 제도적인 부분에 대한 연구와 함께 현장에서의 실무 매뉴얼에 대한 연구결과물들이 있었고 지금도 만들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기존의 매뉴얼들은 매뉴얼이 상정하는 범위의 한계, 전문가 중심의 시각, 구체성의 결여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가 자신의 전문분야가 아닌 MICE 분야 현장에서 각종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 관리하는 실무 관리자들의 시각에서 실제적인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안전관리 실무 매뉴얼의 주요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MICE를 기획 운영하는 데 있어서의 대략적인 업무요소들을 파악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재난 및 안전분야의 논리인 '예방-대비-대응-복구'의 단계에 따라 MICE 안전관리의 요소들을 재구성하였다.

  • PDF

A Study on Countermeasure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r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of Pohang, Korea (우리나라 포항지진 재난관리에 대한 중앙·지방정부 간 대책 방안 연구)

  • La, Hong 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2 no.3
    • /
    • pp.25-34
    • /
    • 2019
  • Modern disasters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and recover after accidents are very important. Our government's current response to these accidents is not appropriate. As for disaster management so far, it has been the center of disaster response and recovery efforts, and has been led by the government against it. The reality is that most private organizations and agencies have only subsidized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Korea is no longer a safe zone for earthquakes. Now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earthquakes in the diagnosis is very urgent and the problems of the operational disaster management, which the problems of the nation.Policies to improve academic efforts to seek alternative proposal is also at a time when volume can be said to be very big need to mine. This study from 2016 to 2019, about the earthquake that took place betwee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based on analysis of data to. First of all, research 1: What was the government's plan on Pohang earthquak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idents' evacuation of Pohang was important in the Pohang earthquake, but for the sake of students' safety, they were directly assigned to the test site to cop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Therefore, the research and analysis shows that the nation should continue to think about the causes and responses of the damage at the disaster site and strive to develop technologies and methods to minimize the damage.

A Study on the Standard Code Systematization of Disas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for Earthguakes, Fires and Fine Dusts (지진·화재·미세먼지에 대한 재난환경 정보 데이터의 표준 코드 체계화 연구)

  • LEE, Yongsoo;Ryu, Sanghun;Ko, Hyun-A;Jeong, Insu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0 no.12
    • /
    • pp.27-32
    • /
    • 2019
  • Disaster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tandardization and harmonization simplifies the process of disaster management (prevention, preparedness, response and recover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isaster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people's life and property damage. Disaster safety standardization is to standardiz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in the past to respond to an uncertain future and systematically manage disaster safety accordingly. This study developed a standard code system to utiliz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such as earthquake, fire, and fine dust, which are of social interest among various and complex environmental disasters. It aims to support practitioners to conduct efficient disaster tasks in the event of a disaster.

Development of Estimation Functions for Strong Winds Damage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Disaster Annual Reports : Focused on Gyeongsang Area (재해연보 기반 지역특성을 반영한 강풍피해예측함수 개발 : 경상지역을 중심으로)

  • Rho, Jung-Lae;Song, Chang-yo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2
    • /
    • pp.223-236
    • /
    • 2020
  • Purpose: In this study, a strong wind damage prediction func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be used as a contingency during disaster management (preventive-preventive-response-recovery). Method: The predicted strong wind damage function proposed in this study took into account the re-enactment boy power, weather data and local characteristics at the time of damage. The meteorological data utilized the wind speed, temperature, and damage history observ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disaster year, and the recovery costs, population, vinyl house area, and farm water contained in the disaster report as factors to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Result: The function developed in this study reflected the predicted weather factors and lo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history of strong wind damage in the past, and the extent of damage can be predicted in a short time. Conclusion: Strong wind damage prediction function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believed to be available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such as decision making by policy-makers, deployment of emergency personnel and disaster prevention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