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예고

검색결과 16,625건 처리시간 0.042초

슬관절 관절경 수술 후 발생한 심부 감염 (Postoperative Deep Infection after Arthroscopic Knee Surgery)

  • 김기용;하동준;심형남;서승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0-23
    • /
    • 2007
  • 목적: 슬관절의 외상 및 질환에 대한 관절경 수술 후 발생한 심부감염의 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2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슬관절의 관절경 수술을 시행 받은 총 894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심부 감염의 빈도를 조사하였으며 감염으로 확진된 환자군에 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894예의 슬관절 관절경 수술에서 7예의 심부 감염이 발생하여 0.9%의 발생율을 보였으며 419예의 절제와 봉합을 포함한 반월상 연골 수술에서 반월상 연골 봉합을 시행한 1예에서 감염이 발생하였다(1/419=0.2% 발생율). 십자인대 재건술 343예에서 6예의 감염 이 발생하였으며(6/343=2% 발생율) 전방 십자인대 단독 수술군에서 3예 (3/152), 후방 십자인대 단독 수술군에서 2예(2/70), 십자 인대에 부가하여 관절외 재건술을 시행한 25예의 환자 중에서 1예에서 감염이 발생하였다(1/26). 결론: 슬관절의 관절경 수술 후 감염 발생율은 비교적 낮았으나 이식물을 사용하여 관절강내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경우에서는 높게 발생 한 바 전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등의 수술시 이에 대한 주의를 요한다.

  • PDF

신생아기의 일시적 장폐쇄증: 허쉬스프룽병과의 비교 연구 (Transient Intestinal Ileus in Neonate: A Study of Comparison with Hirschsprung's Disease)

  • 최광해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194-198
    • /
    • 2009
  • 목 적: 본 연구는 후향적으로 신생아기의 일시적 장폐쇄와 허쉬스프룽병에서 임상 양상과 검사법에 따른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양 질환의 감별 진단을 위한 검사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8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심한 복부팽만으로 방문한 신생아 중 단순복부촬영을 하여 전체 장관의 심한 확장을 보이면서 직장에 공기 음영이 보이지 않아 바륨조영술, 항문직장압력 검사, 직장흡인 생검을 모두 시행한 19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일시적 장폐쇄군과 허쉬스프룽병군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총 19예 중, 일시적 장폐쇄군의 경우 남아 8명(66.7%), 여아 4명(33.3%)이었다. 발생 시기는 일시적 장폐쇄군은 출생 후 2주에서 6주, 허쉬스프룽병군은 출생 후 3주 이내였다. 바륨조영술에서 이행부위는 일시적 장폐쇄군 6예(50%), 허쉬스프룽병군 4예(57.1%)에서 관찰되었다. 항문직장압력 검사에서 항문직장억제 반사가 관찰된 경우는 일시적 장폐쇄군 11예(91.7%), 허쉬스프룽병군 1예(14.3%)였다. 직장 흡인 생검에서 신경절세포가 관찰된 경우는 일시적 장폐쇄군 9예(75%), 허쉬스프룽병군 0예(0%)였다. 복부팽만의 호전 시기는 생후 1개월 이전 1예(8.3%), 1~2개월 8예(66.7%), 2~3개월 3예(25.0%)였으며, 전례가 3개월까지는 복부팽만이 호전되었다. 결 론: 생후 2주 이후에 심한 복부팽만이 나타나는 경우, 허쉬스프룽병과의 감별을 위해 바륨조영술보다 먼저 항문직장압력 검사를 시행하고 항문직장억제 반사가 없거나 불확실한 경우에 선별적으로 직장 흡인 생검을 하는 것이 불필요한 검사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거위발 건 압통의 원인 (Cause of Pes Anserinus Tenderness)

  • 김정만;이동엽;고인준;김상일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17
    • /
    • 2009
  • 목적: 거위발 건 압통의 원인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거위발 압통이 있었던 2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65.9세, 여자 23명, 남자 1명 이었다. 외래에서 거위발 압통 여부를 문진 및 진찰 소견으로 확인 후 초음파 검사로 거위발 점액낭염 여부를 검사하였다. 점액낭염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관절내 스테로이드-리도카인 혼합액을 관절내에 주사하고 2~3분 후 압통이 자연 소실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24예의 거위발 압통이 있는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 상 점액낭염이 확인된 예는 없었다. 스테로이드-리도카인 혼합액을 관절내 주사 한 후 전 예에서 2-3분 후 거위발 압통이 소실되었다. 6주 후 외래 추시 시에 16예(66.7 %)에서는 모두 거위발 압통의 소실 및 관절 내 삼출액이 감소 또는 소실되었다. 6주 추시 시 압통이 재발된 8예 중에서 4예는 반월상 연골의 파열로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하였고, 1예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을 시행한 전 예에서 추시 시 거위발 압통이 소실되었다. 나머지 3예는 Kellgren-Lawrence grade IV로 관절 간격의 완전한 소실을 보였으나 슬관절 전치환술은 시행하지 않은 예들이었다. 결론: 골 관절염에서 거위발 압통의 원인은 거위발 점액낭염이 없어도 발생하며 그 기전은 연관통으로 생각된다.

  • PDF

양성 및 악성 연골 종양의 Cyclooxygenase-2 발현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Benign and Malignant Chondroid Tumors)

  • 박혜림;민광선;박용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5-112
    • /
    • 2007
  • 목적: 최근 골 및 연부조직 종양을 포함한 각종 악성 종양에서 cyclooxygenase-2 (COX-2) 의 발현 증가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연골 종양에서의 COX-2 발현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대상 및 방법: 내연골종 10예, 연골모세포종 11예, 연골점액양섬유종 5예, 통상적 연골육종 17예, 투명세포 연골육종 7예, 간엽성 연골육종 6예를 대상으로 COX-2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양성 연골 종양 중 연골모세포종 11예 중 6예(54.5%)에서 특징적인 강한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내연골종과 연골점액양섬유종은 단 1예를 제외하고는 모든 증례에서 음성이었다. 통상적인 연골육종에서 3예(17.6%)는 COX-2에 대해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는데 이러한 양성 증례는 모두 조직학적 등급 3의 분화가 나쁜 연골육종이었다. 투명세포 연골육종 중 2예(28.5%)는 국소적인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고 모든 간엽성 연골육종은 음성이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통상적인 연골육종에서 COX-2 과발현이 조직학적 등급 진행과 관계된 소견임을 시사한다. 연골모세포종의 COX-2 발현은 특별히 이 종양에 동반되는 종양 주변부의 염증성 변화를 유발하는 중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 PDF

식도암의 방사선치료 (Radiation Treatment of Esophageal Cancer)

  • 오원용;서창옥;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권1호
    • /
    • pp.41-50
    • /
    • 1985
  • 한국에서는 식도암의 임상적 관찰과 치료성적이 아직까지는 광범위하게 연구 및 보고되지 않았지만, 소화기계통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 중에서는 비교적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학적 지식, 진단적 설비, 방사선 치료의 적용, 외과적 수술의 진보, 그리고 최근의 화학요법의 재발 등과 같은 괄목할만한 향상에도 불구하고 예후는 극히 불량하여 5년 생존율이 10%이하로서, 과거에 비하여 크게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70년 1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만 11년 동안 식도암으로 진단되어 연세 암 센터에서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63예에 대한 철저한 추적조사를 통하여 후향성 분석을 시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 63예의 식도암 환자의 85.2%인 52예는 조직병리학적 소견에서 상피성세포암(Epidermoid Carcinoma)으로 확진되었다. 그리고 $T_1$인 17예를 제외한 46예73%의 병변은 상당히 진행되였던 예들이였다. 2. 방사선 조사선량은 일일 일회 2Gys가 조사되였으며 총 조사선량 $50{\sim}74Gys$$5{\sim}8$주간에 조사되었다. 3. 전 63예중 28예에서 방사선 치료 후 1개월만에 식도조형상을 통하여 식도암에 대한 방사선치료 효과를 평가하여 본 결과, 완전관해는 7예였으며 나머지 15예는 부분적 관해, 그리고 6예는 변화가 없었다. 4. 전 63예의 3년, 5년 생존율은 11.8%, 8.8%였으며 그리고 $T_1$인 17예의 3년, 5년 생존율은 24.7%, 20.8%였다.

  • PDF

척수종양의 방사선 치료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Primary Spinal Cord Tumors)

  • 전하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2호
    • /
    • pp.197-203
    • /
    • 1989
  • 1969년부터 1983년까지 버지니아 의대부속병원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34예의 원발성 척수암중, 조직검사 또는 아절제술을 시행한 후 수술후 방사선 요법으로 치료받은 32예 (Astrocytoma 16, ependymoma 16)에 대한 치료실적을 보고하고자 한다. 29예에서는 $45\~55Gy$를 5내지 6주간에 조사 받았으며 나머지 3예에서는 40Gy이하의 선량을 조사받았다. 50Gy 이상 조사된 6예는 모두 척수가 조사야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최저 추적 기간은 5년이었다. 방사선 치료 실패 후 재수술로 치료된 3예를 포함하여, 모든 예에서 생존율은 5년과 10년에서 각각 $73\%\;와\;50\%$이었다. 각각의 투병생존율은 $60\%\;와\;32\%$이었다. 45Gy 이상의 선량을 받은 29예에서는 5년 무병생존이 $63\%$이었다. 13예에서 치료실패를 경험했으며 치료실패는 조사야에서만 관찰되었다. Ependymoma가 astrocytoma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무병생존율이 높았다 $(45\%\;:\; 89\%(p<0.05))$, 원발부위에 있어 경추가 포함된 예에서 그렇지 않은 예보다 생존율이 저하되었다. 원발부위의 cauda equina포함여부는 예후에 영향이 없었다. 최고 20년간 추적결과 방사선 치료에 의한 신경성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원발성 척수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 치료가 안전하고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소장질환의 진단에 캡슐내시경 검사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Capsule Endoscopy in Diagnosis of Small Bowel Diseases)

  • 은종렬;장병익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45-51
    • /
    • 2006
  • 소장질환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캡슐내시경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3년 8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영남대학병원에서 캡슐내시경을 시행한 66명(평균나이: 52.1세, 남/녀: 39/27)의 의무기록과 내시경 기록을 검토하였다. 상부 및 하부 위장관 내시경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아 소장질환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특히 소장출혈의 확인을 위해 시행한 경우가 47명(71.3%)으로 가장 많았다. 이 가운데 궤양 또는 미란이 22예(46.8%), 종양 5예(10.6%), 혈관이형성증 3예(6.4%), 용종 3예(6.4%), 협착이 동반된 궤양 1예(2.1%), 활동성 출혈 1예(2.1%), 정상 소견 12예(25.5%) 등이었다. 이들 가운데 출혈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병소는 32예(68.1%)였다. 종양이 발견된 5명에서 수술을 하였는데 위장관간질종양이 4예, 림프관종 1예가 진단되었다. 비특이적 복부 증상으로 시행한 경우의 병변발견율은 42.9%(6/14)였는데, 증상과 관련있는 경우는 1예에 불과하였다. 캡슐내시경 검사로 인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캡슐내시경은 소장질환에 대해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검사법이며, 소장출혈에 대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출혈 이외의 복부증상에 대해서는 더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