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Ultrasound Society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Volume 2 Issue 1
- /
- Pages.13-17
- /
- 2009
- /
- 1976-9105(pISSN)
Cause of Pes Anserinus Tenderness
거위발 건 압통의 원인
- Kim, Jung-Ma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Dong-Yeob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oh, In-J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Sang-I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김정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 정형외과) ;
- 이동엽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 정형외과) ;
- 고인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 정형외과) ;
- 김상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 정형외과)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cause of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Materials and Methods: Out of 24 patients with tenderness at pes anserinus, 23 patients were female and 1 patient was male, and their average age was 65.9 years old. We checked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by history taking & physical examniation and then, checked the pes anserinus for the presence of bursitis by US in outpatient clinic. With no evidence of bursitis by US, we injected steroid-lidocaine mixture intraarticularly and checked whether the tenderness disappeared after 2~3 minutes. Results: There was no case with bursitis at pes anserinus by US.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diminished in 2-3 minutes after the intraarticular injection of the steroid-lidocaine mixture. After 6 weeks follow up, 16 patients(66.7%) had little or no tenderness at pes anserinus. 8 cases had the recurrence of tenderness recurred, 4 cases underwent arthroscopic operation on the meniscal tear, and 1 case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All cases underwent any operations had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disappeared. The others 3 cases did not undergo total knee arthroplasty despite of radiologic obliteration of knee joint adequate for Kellgren-Lawrence grade IV. Conclusion: Without the bursitis at Pes Anserinus, patients the osteoarthritis may have the tenderness due to the referred pain.
목적: 거위발 건 압통의 원인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거위발 압통이 있었던 2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65.9세, 여자 23명, 남자 1명 이었다. 외래에서 거위발 압통 여부를 문진 및 진찰 소견으로 확인 후 초음파 검사로 거위발 점액낭염 여부를 검사하였다. 점액낭염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관절내 스테로이드-리도카인 혼합액을 관절내에 주사하고 2~3분 후 압통이 자연 소실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24예의 거위발 압통이 있는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 상 점액낭염이 확인된 예는 없었다. 스테로이드-리도카인 혼합액을 관절내 주사 한 후 전 예에서 2-3분 후 거위발 압통이 소실되었다. 6주 후 외래 추시 시에 16예(66.7 %)에서는 모두 거위발 압통의 소실 및 관절 내 삼출액이 감소 또는 소실되었다. 6주 추시 시 압통이 재발된 8예 중에서 4예는 반월상 연골의 파열로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하였고, 1예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을 시행한 전 예에서 추시 시 거위발 압통이 소실되었다. 나머지 3예는 Kellgren-Lawrence grade IV로 관절 간격의 완전한 소실을 보였으나 슬관절 전치환술은 시행하지 않은 예들이었다. 결론: 골 관절염에서 거위발 압통의 원인은 거위발 점액낭염이 없어도 발생하며 그 기전은 연관통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