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경보

Search Result 397,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pplication Plan of Flooding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by Site Type of Excavation Work (굴착공사현장 수재해 예방을 위한 침수 예·경보 시스템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Wang, Jeong Ah;Park, Jong Pyo;Lee, Woo Jin;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9-379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 돌발 홍수 및 태풍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있고, 이에 따른 수재해 피해 사례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건설 현장 중 굴착공사 현장에서의 침수로 인한 사고는 인명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실질적으로 굴착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침수 대응 예측 시스템 및 구체적인 침수 예경보 체계, 기준, 매뉴얼은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굴착공사현장의 수재해 예방을 위한 침수 예·경보 시스템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공사현장 규모에 따라 적용하는 침수 예·경보 시스템을 이분화하여 소규모 공사현장에는 Track A, 대규모 공사현장에는 Track B 침수 예·경보 시스템을 적용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소규모 공사현장의 특성상 전체 공사비가 작고 운영되는 장비와 인력이 제한적이므로 침수 예·경보에 필요한 비용과 인력 투입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며, 또한 대피가 필요한 전체 인원이 대규모 현장에 비해서는 적기 때문에 비교적 신속하고 원활한 대피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시스템별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예·경보 기준을 제시하였다. Track A에서는 강우법에 의한 최소한의 경보시스템으로 필요한 안전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고, Track B에서는 현장인원 대부분이 성인 남성임을 고려하여, 성인 남성의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수심(H)과 유속(V)의 곱을 척도로 하는 한계 H·V곡선을 기준으로 운영되는 경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Food Forecasting and Warning Methodology considering Backwater Effect for Urban Stream (도시하천에서의 배수위 영향을 고려한 홍수예경보 기법)

  • Lee, jung-ho;Joo, jin-gul;Song, yang-ho;Song, young-seok;Park, moo-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441-442
    • /
    • 2013
  • 통합적인 홍수 예경보시스템의 구현을 위해서는 작은 단위지역별, 재해특성별 수요자의 요구상황에 맞는 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그런데 도시하천 유역의 경우 주로 본류하천에 의한 배수위 영향을 받고 있으며 제내지로부터는 배수펌프에 의한 인위적인 유입 유량이 하천 수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도시하천의 경우 강우-유출 관계 및 유량-수위 관계가 특수한 형태를 나타내어 이에 대한 면밀한 해석을 통해서만이 적용성 높은 홍수 예경보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수위 영향을 받는 도시하천에 대한 홍수 예경보 측면에서의 분석 기법을 수립하고, 특정 하천 지점에서의 예경보 발령 기준 수위에 대한 지속시간별 경보발령 예상 강우량 데이터를 구축하여 실제 호우상황 발생 시 직접적으로 이용 가능한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분석 체계를 마련하였다.

  • PDF

한강수계 홍수예경보 개선방안

  • 정상만;홍일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2.07a
    • /
    • pp.318-324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한강홍수예경보를 위한 기존 Telemeter 수문관측망의 현황을 조사하고 홍수예경보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호우사상을 분석하여 한강유역에 대한 호우의 원인별 시간분포를 권역별로 나타냈고 강우공간분포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출예측 프로그램의 유역유출모형과 하도유출모형의 변수를 결정하고, 예경보지점별 유출예측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개선하였다.

  • PDF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Construction site - Korea Gas Corporation Tongyeong Headquarters field demonstration (건설 현장 침수 예경보 기술 개발 - 가스공사 통영 기지본부 현장 실증 중심 )

  • Taekmun Jeong;Yeoeun Lee;Dongyeop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55-255
    • /
    • 2023
  • 우리나라의 경우 집중호우와 돌발홍수로 인한 침수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유역 및 하천관리 사업, 각종 풍수해 예방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 분야의 스마트기술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2013년 노량진 상수도관 공사 현장 사고, 2019년 신월 빗물저류 배수시설 현장 사고 등과 같은 건설현장 침수 피해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건설현장의 다양한 조건 및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구조적 대책 및 대응방안을 수립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지금까지는 법, 제도에 기초한 대응 매뉴얼을 제작·배포하여 현장 근로자 교육을 실시하는 수준에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자연재해, 특히 수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보다 과학적인 방법을 통한 현장 침수 예경보 체계를 수립하였으며, 강우예측-침수예측-침수예경보 생산-현장 상황전파에 이르는 일련의 시스템을 개발하여 공사별, 규모별, 공정별 침수 대응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건설현장 침수예경보 시스템 개발의 주요 내용은 요소기술 개발이며,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강우 예측정보 생산: 현장에서 발생하는 집중호우를 고려하는 실시간 강우측정 자료와 연계한 초단기 강우예측 기술 개발, ② 침수 예측모델 개발: 현장의 시공간적 특성, 수재해 피해의 유형 등을 반영할 수 있는 침수피해 예측 모델 개발, ③ 침수예경보 의사결정 방법론 개발: 침수 피해 예경보를 위한 침수 위험단계 세분화 및 노모그래프 개발과 모델 적용(예측정확도 85% 이상), 이를 통합하여 건설현장 침수예경보 시스템 개발을 수행하게 된다. 연구에서 개발된 침수 예경보 통합 시스템은 향후 수재해로 인한 건설현장의 인명, 재산 피해 최소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a Method for Integrated Standards for Prediction and Warning of Floodplain Flood Level by Urban River Section (도시하천 구간별 둔치 범람 수위 예·경보 통합기준 산정 기법 개발)

  • Moon, Hyeon-Tae;Lee, Jung-Hwan;Yoon, Jun-Seo;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97-297
    • /
    • 2021
  • 전 지구적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성 집중호우의 증가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도시홍수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침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중·소규모 도시하천은 대부분 홍수유출 도달시간이 매우 짧고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는 특성이 있어 집중호우에 매우 취약하여 더욱 선제적이고 정확한 홍수 예·경보가 요구된다. 현재 중·소규모 도시하천의 경우 실시간 하천수위가 위험수위에 도달할 시 하천을 통제하고 위험경보를 발령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둔치 침수에 이르는 시간이 매우 짧아 통제가 어려우며 이마저도 행정 자치구별로 예경보 운영 및 통제기준이 상이하여 실질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우 발생 시부터 즉각적 대응을 위해 강우-수위 관계 및 상류 돌발홍수와 강우강도의 영향을 분석하여 구간별 둔치 범람 기준을 제시하고 자치구별로 상이한 예경보 수위 기준을 통합하여 산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주요 침수취약지구인 도림천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도시하천 특성의 내외수를 연계한 강우-유출모형(SWMM)을 이용하여 확률강우 시나리오에 따른 대상하천의 수위변화 및 도달시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중, 소규모 도시하천에의 홍수예경보시스템 구축 및 효율적인 하천방재계획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Analysis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ntegration Methods of the Domestic Early Warning System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 현황 및 통합 방안에 대한 분석 연구)

  • Hwang, Woosuk;Pyo, Kyungsoo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7 no.1
    • /
    • pp.80-90
    • /
    • 2022
  • Currently, the domestic early warning system is issued differently for each disaster, and is operated independently by relevant organizations from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s. Representative domestic disaster warning systems include disaster broadcasting using CBS(Cell Broadcasting Service) and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DITS(Disaster Information Transform System) transmitted and displayed on TV screens, automatic response system, automated rainfall warning system, and disaster message board.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method of issuing each emergency alert at the site of an emergency disaster, the alerts are issued at different times for each media, and the delivered content is also not integrated. If these systems are integrated, it is expected that damage to people's property and lives will be minimized by sharing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disaster information such as voice, video, and data to comprehensively judge and make decisions about disaster situ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esent a plan for the integration of the disaster warning system along with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omestic early warning system.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rban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at Coastal Area Based on SWMM and HEC-RAS Models (SWMM과 HEC-RAS 모형을 이용한 해안 도시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

  • Shin, Hyun-Suk;Park, Yong-Woon;Kim, H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16-82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해안 도시 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홍수 재해 발생시 예상될 수 있는 피해에 대해 적절한 홍수예경보 및 피난대책을 수립하고자 대표적인 해안 도시 하천의 특성을 가지는 부산시 온천천 유역을 대상으로 수치지도에서 각종 지형자료를 추출하였고 수문 GIS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하천 수리 분석을 위한 한계유출량 산정을 위해 HEC-RAS 모형을 이용 조위의 영향을 고려하여 홍수위 및 한계유출량을 산정하였고 수문 분석을 위한 도시 돌발 홍수 기준 우량 산정을 위해 PCSWMM 2002를 이용하여 기준 우량을 산정하였다. 전형적인 해안 도시 지역 유역 특성을 나타내는 부산시 온천천 유역에 대한 경보발령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선정지점 세 곳의 한계수심 $H_{c1},\;H_{c2},\;H_{c3},\;H_{c4}$가 발생할 수 있는 강우량(위험 홍수량을 유발하는 위험 강우량(Trigger Rainfall))을 산정하였고 PCSWMM을 이용한 모형화 기법으로 해안 도시 돌발 홍수 기준 우량을 산정하였다. 산정 결과 온천천 유역의 홍수예경보 시스템과 이에 따른 홍수예경보 발령흐름도, 운영체계가 결정되어 해안 도시 돌발 홍수예경보 방안이 구축되었다. 해안 도시의 홍수 관리는 도시 우수 시스템, 하천, 해안 특성이 복합된 문제이다. 현재 해안 도시 지역의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 실적이 전무한 실정임을 볼 때 현실적으로 실용화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해내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이다. 앞으로 더욱 심도있게 연구하여 주요 하천에 대한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Method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Natural Disaster Early Warning Systems (자연재해 예·경보시스템의 효율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 Seo, Jung Pyo;Cho, Won 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6 no.1
    • /
    • pp.19-27
    • /
    • 2013
  • Damage on assets and live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can be minimized by the provision of early warning information and preventive activities. In this sense, the importance of a disaster early warning system continues to increase. This study specifies the kinds of early warning systems depending on the typ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 flood and heavy snow. The mechanism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tatus of early warning operations are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the urgent need to establish a national integrated early warning transmission system is emphasized. In addition, this study offers methods to prevent unnecessary overlapping of investments by establishing an organic mechanism among individual early warning systems.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disaster-related information, this study also provides method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isaster early warning systems by organizing a permanent team for handling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system.

Practical Forecast-Warning System for Distant Tsunamis (실용적인 원지 지진해일 예경보 체계)

  • Yoon, Sung Bum;Baek, Unil;Park, Won Kyung;Bae, Jae S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10
    • /
    • pp.997-1008
    • /
    • 2012
  • To construct the practical forecast and warning system for distant tsunamis suitable for Korea the state-of-art of the forecast and warning systems of United States and Korea is investigated, and the action conducted by Korea for the case of 2011 East Japan Tsunami is also analysed. The tsunami sources and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distant tsunamis that affect the Korean coastal area are considered along with the capability of earthquake monitering and numerical simulation and the available experts to propose the effective forecast and warning system for distant tsunamis.

A study on the factors of affecting the acceptance intention for disaster warning information (재난 예.경보정보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Sung, Yeon-Seok;Jeong, Duke-H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2
    • /
    • pp.91-96
    • /
    • 2008
  •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d to analyze and identify factors which has been impacted area on the level of people' acceptance for disaster warning information. For better results and more reasonably generally accepted the results, the research was targeted people who need disaster warning information by the disaster impact. The damages from disaster are increasing every year. The disaster warning information have been changed by the level of people acceptance for the disaster warning information which has not been enough to satisfy the level of information. The research model has been developed by intergrating 'TAM model' to show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Research hypothesis are verified and analyzed through the SPSS and AMOS program.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o enhance effectiveness of disaster warning information to the people who can be damaged from disas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