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화 시스템

검색결과 530건 처리시간 0.025초

R에서 협업 필터링과 개인화 요인을 이용한 개인화 영화 추천 시스템 (A Personalized Movi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and Personal Propensity in R)

  • 심대수;김철환;박진수;박두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46-449
    • /
    • 2017
  • 인터넷의 보급과 동시에 데이터의 누적으로 생성된 수많은 빅 데이터의 활용을 통해 수 없이 많은 개인에 대한 분석과 추천이 가능해졌다. 그중 영화는 현대인의 문화로 자리 잡으며 수많은 데이터의 누적이 이루어 졌으며 계속해서 누적되어가고 있다. 이런 누적된 데이터를 통해서 개인에게 맞는 영화를 추천하는 협업필터링 시스템을 R을 통해 분석하고 Cold Start 문제를 개인화 요인으로서 보안하여 보다 신뢰성 높은 추천 시스템을 제안 한다.

협업필터링과 리뷰 기반의 영화추천시스템 (A Movi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and review)

  • 박주현;김민기;김민정;박두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94-296
    • /
    • 2015
  • 최근 들어, 영화에 대한 많은 추천시스템이 제안 되고 있는데, 나이와 장르, 성별에 관한 협업필터링 추천 방식을 주로 사용했다. 협업필터링 방법에 좀 더 정확한 추천을 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협업필터링 방식에 더해서 사용자의 리뷰에서 인간의 '감정'을 장르에 편입시켜 좀 더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명확하게 추천하는 영화추천시스템을 제안한다.

개인 성향과 협업필터링 기반 영화 추천 시스템 성능 향상 (Performance Improvement of a Movi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the Personal Propensity and Collaborative Filtering)

  • 장슬기;박두순;정영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13-1114
    • /
    • 2010
  • 협업필터링 방법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추천 시스템이다. 그런데 협업필터링 방법은 희박성, 확장성 그리고 투명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성향 중 장르, 성격, 나이, 성별, 혈액형, 지역 등을 고려하여 희박성 문제를 개선한 영화 추천 시스템을 제시한다. 즉, 개인 성향 정보에 따라 가장 성향이 비슷한 사용자들을 분류하고, 그 분류된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개선된 영화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소셜 상황 인지를 통한 추천 시스템: MyMovieHistory 사례 연구 (Social Context-aware Recommendation System: a Case Study on MyMovieHistory)

  • 이용승;정재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643-1651
    • /
    • 2014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정보를 가족, 친구, 그리고 소속단체원들과 공유하는 것을 가능케 해 준다. SNS 상의 정보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페이스북은 연예오락(영화, 음악, TV쇼 등)과 관련된 흥미로운 기능을 채택해 오고 있다. 그러나 페이스북은 사용자들에게 관심 아이템을 추천할 때 필요한 사용자들의 시간, 장소, 소셜 상황 등 상황적 정보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 누구와 영화를 보는지 등에 대한 다양한 상황적 정보의 통합에 기반을 둔 영화 추천 접근법을 제안 하고자 한다. 또한 두 명이 함께 영화를 관람하러 갔을 때 동시에 만족할만한 영화 추천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위해 사용자들의 영화관람 내용을 기록하고 이에 기반을 두어 적절한 추천 영화를 소개해 줄 수 있는 'MyMovieHistory'라는 페이스북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상황기반과 협업 필터링 기법을 이용한 개인화 영화 추천 시스템 (Personalized Movi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ntext-Aware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 김민정;박두순;홍민;이화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4권9호
    • /
    • pp.289-296
    • /
    • 2015
  •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로 사용자들은 원하는 정보를 빠른 시간에 얻는 것이 힘들어졌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새로운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개인에게 맞는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개인화 추천 시스템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추천 시스템 중 협업 필터링은 추천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개인화 추천 시스템 중에서 가장 성공적인 방법이다. 협업 필터링 방법은 고객들의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을 하므로 희박성 문제와 cold-start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에게 더 정확하게 추천하기 위해 협업 필터링 기법과 상황기반 기법을 함께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황기반 기법은 사용자를 둘러싼 시간, 감정, 장소 등과 같은 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법으로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기반 기법을 활용하기 위해 상황정보로 감정을 이용하며 이를 위해 개인의 주관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데 효과적인 영화 리뷰를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협업 필터링 방법보다 성능평가 결과,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독립영화에 나타나는 영상의미 전달 효과 분석 - "길"을 중심으로 - (The Delivery Effect Analysis of an Image Meaning appeared the Independent Film - Focused on the Independent Film "The Way" -)

  • 백보국;이형석;전병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7-321
    • /
    • 2006
  • 독립영화의 영상의미 전달 효과 및 불일치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자체 제작한 독립영화 '길'을 중심으로 독립영화에 대한 이해도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일반 대학생들과 영화전공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설문 조사한 결과, 독립영화를 예술영화로서는 인정하지만 일반 대중 관객에게는 영상의미 전달이 어렵고, 영화 전반적인 지식과 관련 학문에 대한 이해 없이는 영화를 완전히 이해하기 힘들었다. 즉 독립영화 시스템 자체가 관객에게 흥미를 자아내는데 실패했으며, 마니아적 성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또 영화 전공자들도 기획의도와 시놉시스의 설명 없이 영상의미를 바르게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으며, 영상의미에 따른 공감과 함께 반대의견도 제시되었다.

  • PDF

영화 <아가씨>의 각색에 따른 영화 흥행 요인 분석 (Analysis of Performance Factor of the Movie-The Handmaiden by Adapting)

  • 최영미;조이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17-425
    • /
    • 2017
  • 본 연구는 영화 <아가씨>에서 변형된 시공간과 캐릭터를 통해 흥행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원작 소설이 있는 영화는 소설의 내러티브를 기초로 영화의 경험재적 특성을 감소시켜 관람 욕구를 유도한다. 본 영화는 소설의 배경인 빅토리아 시대와 다른 일제강점기를 선택하여 식민주의 남성성의 특징을 구현하는 캐릭터를 만들고, 남성에게 억압받는 여성들이 계급성을 초월하여 탈주하는 내용으로 변형하였다. 이를 통해 원작소설의 동성애 요소가 여성의 성장과 연대로 치환되어 부정적 요소를 감소시켰다. 또한 영화 개봉 시기 발생한 여성 대상 범죄의 젠더 담론은 캐릭터들의 공감 요소를 증대시키고 영화의 주제와 부합하였다. 그외 감독과 배우의 스타시스템과 영화 예고편의 효과적 공개 마케팅, 영화제 진출작 선정을 흥행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영화는 소설의 각색을 통해 다원적인 창작 역량을 증대하고 관객의 공감 요인을 확대한다. 흥행하는 각색 영화의 차별성은 변형된 내용이 창의적이면서도 시공간을 초월하는 보편적 인식과 상응할 수 있는 주제를 내포하고 매체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데 있다.

사용자 영화취향을 반영한 크로스미디어 플랫폼 도서 추천 시스템 (Cross Media-Platform Book Recommender System: Based on Book and Movie Ratings)

  • 김성섭;한선우;목하은;최혜봉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582-587
    • /
    • 2021
  • 도서 취향을 고려하여 도서를 추천해주는 도서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독서 경험과 독서에 대한 인식 개선에 효과적이다. 축적된 사용자 평점 기록이 상대적으로 적은 도서의 경우 추천 정확도에 한계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풍부한 사용자 평점 데이터를 가진 영화 평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도서를 추천하는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도서 추천의 정확도를 높이고 보다 다양한 종류의 추천을 수행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였다. 영화 평점 데이터를 활용한 도서추천 시스템은 도서 분야 외 타 미디어 플랫폼의 데이터를 도서추천에 활용하는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일제강점기 역사 서사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환경과 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 밀정, 암살, 박열, 동주, 군함도 그리고 덕혜옹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 of Storytelling Based on the History of Japanese Imperialism and Its Problems and Improvements - Around the Militia, Assassination, The Battleship Island, Anarchist from Colony, Dongju and Princess Deokhye -)

  • 진승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9
    • /
    • 2019
  • 이 논문에서는 계획 및 장르 영화가 고품질 영화를 만드는 경향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고부가 가치의 의미있는 영화와 탄탄한 스토리 텔링이 필요하다. 블록버스터 군함에서 예술 및 저예산 영화에 이르기까지 영화 장르는 픽션과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영화를 제작한 선례이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를 소재로 한 영화를 중심으로 성공 사례와 그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한 논문으로 영화제작에 있어 시의성과 그 가능성을 제시하려 노력하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를 포함한 과거의 역사를 소재로 한 역사 영화는 역사적 사실을 사실적 가치에 두고 다루기는 하되 흥미로운 요소를 결합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물론 현재의 영화산업 구조상 투자와 배급 시스템에서 벗어나기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상업영화라는 구조적인 틀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는 현재 한국 영화산업이 역사 영화에 대해 가진 한계이다. 하지만 감독과 작가의 역사 해석과 그에 가미된 창작력은 관객들에게 역사는 물론 또 다른 감동과 재미를 선보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기획, 장르 영화가 제작비 높은 영화가 제작되는 경향이 지속될 수 있다고 예측하나, 영화의 가치와 그 의미가 높은 영화나 탄탄한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블록버스터 군함도에서 예술, 저예산의 동주까지 영화 장르는 허구와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만들어지고 있다고 사료되며 논문주제의 분석과 연구를 통해 스토리텔링의 대한 중요도를 다시 한 번 재확인하는 연구라 하겠다.

아티스트 시네마에 관한 연구 -엘리자-리사 아틸라의 <상담 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Artists' Cinema -Focusing on Eija-Liisa Athia's Consolation Service-)

  • 유승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9-200
    • /
    • 2018
  • 오늘날 미술관에서 멀티스크린 기반의 영상설치 작품을 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와 관련해 갤러리 영화, 전시의 영화, 다른 영화 등과 같은 용어와 담론들이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많이 사용되는 '아티스트 시네마'라는 용어를 사용 한다. '아티스트 시네마'를 영화이론(Film Theory)과 미술사(Art History)의 맥락이 교차하는 지점에 두고, '아티스트 시네마'가 경유하는 영화적 요소들과 현대 미술적 요소들을 엘리자-리사 아틸라의 <상담 서비스>(1999)를 통해 분석한다. 분석의 단계는 첫째,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프레임 안의 내용', 둘째, 영상 설치 작품을 구성하는 오브제와 작품이 놓인 미술관이라는 '프레임 밖의 맥락', 셋째, 관람자의 시간적, 공간적 경험이다. 이를 통해 '아티스트 시네마'와 미술관이라는 시스템이 가지는 비평의 지점에 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