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화영상 제작

Search Result 265,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Technical Trend of Stereoscopic Content Production (입체 콘텐츠 제작 기술 동향 분석)

  • Kim, H.D.;Kim, H.S.;Jang, H.W.;Nam, S.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1
    • /
    • pp.13-24
    • /
    • 2011
  • 영화 "아바타"가 개봉되면서 입체 콘텐츠 특히 입체 영화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초기 국내에서, 스테레오 영상 제작 시도는 많았지만, 입체 영상을 단순히 한 쌍의 영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하여 잘못 제작되는 경우가 많았다. 입체영상 제작 기술은 한 쌍의 영상을 인간의 양안에 각각의 영상을 보여주면 3차원으로 인식한다는 데 기술적 근간을 두고 있으나, 초기엔 실세계에서 인간이 인식하는 것과 유사하게 처리되지 않아 시각피로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본 원고에서는 "아바타" 영화와 같은 입체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어떠한 기술과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이 있는지 살펴본다. 현재 입체 영상 획득 방식인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사로 촬영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그 결과 영상을 후반작업에서 보정하고 합성하여 시각피로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기술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Viral Video (바이럴 영상의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 Lee, Yo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316-31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영화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이럴 영상의 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영화에서 사용되는 바이럴 영상은 네티즌의 입소문에 근거하여 영화를 미리 알리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작되며 그 유형은 크게 인터뷰, 거짓뉴스 등으로 구분된다. 바이럴 마케팅과 연관되어 결국 적은 투자로 많은 효과를 거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면 영화산업에서 사용되는 바이럴 영상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럴 영상의 기존 영화 적용에 대해서 알아보고 최근의 스토리기반 바이럴 영상에 대해 알아본다. 스토리기반 바이럴 영상은 제작에 많은 분석이 필요하다. SNS점유율에 따른 특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기존의 인터뷰나 뉴스보다는 새로우면서도 영화에 대한 직접적인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새로운 방식에 대해서도 발전방향을 알아보아야 한다.

  • PDF

A Study on the Technique of the 3D Stereoscopic Cinema (3D 입체영화의 제작 기법 연구 단편영화 <내 생일>을 중심으로)

  • Kim, Byeong-Cheol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8
    • /
    • pp.994-1004
    • /
    • 2013
  • 3D stereoscopic cinema emerged as a new dominant media format. In principle, the stereoscopic cinema imitate the vision of the human being has two eyes. The stereoscopic cinema is filmed with 2 connected cameras at the same time and projected these 2 different images. With the stereoscopic glasses, the human being can see the overlapped images as a single 3D stereoscopic image. To make 3D stereoscopic cinema, it is very important to systemize the process of the 3D stereoscopic cinema production and to use the principle of the 3D stereoscopic cinem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ssibilities of the using the 3D stereoscopic principles such as the I.O.D, convergence point, parallax and the 3D comfort zone. Using the principle of the 3D stereoscopic cinema can be the technique of directing the film. Using the example of 3D stereoscopic short film My Birthday, I investigate the main technique of the 3D stereoscopic cinema.

Study on VR image content shooting technique (VR 영상콘텐츠 촬영 기법 연구)

  • Yan, JiHui;Choi, Chu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3-464
    • /
    • 2018
  • 리얼리티를 추구하는 영상기술의 발달은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하드웨어의 발달을 불러왔다. 최근의 가상현실 콘텐츠들은 프로토타입이나 게임에의 시험 적용을 넘어 영화시장에도 문을 두드리고 있다. VR 콘텐츠가 보급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뿐 아니라 콘텐츠의 제작방식에도 기존과 다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내용들이 제작 사례들을 통해 알려지고 있다. 본문에서는 VR 단편 영화의 카메라 설정과 관객들의 청취에 방해요소들을 사전에 줄여나가기 위해 모션캡쳐를 통해 사전영상제작을 수행한 사례를 통해 필요한 사전제작의 작업공정을 분석해 보았다.

  • PDF

3D Stereoscopic CGI Production Pipeline -Focus on Making Process of Avatar- (입체영상제작 파이프라인 구축방향 -영화 아바타의 제작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Choi, Eun-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8
    • /
    • pp.159-167
    • /
    • 2010
  • Since success of in the box office, there are not only highly interested in 3D Stereoscopic in Media market but also has been briskly supporting for 3D Stereoscopic producing in variety platforms including film, broadcasting, mobile They expect 3D Stereoscopic will be a new standard format for media of domestic market as well as overseas. However there are required professional production system and grant capital for 3D Stereoscopic production. In case of domestic industry, there are not forged through specialized production system and lack of 3D Stereoscopic producing. They are needed not only Pipeline for 3D Stereoscopic production but also strategic supporting like specialized education and test-bed for 3D Stereoscopic production. It is able to established efficient and specialized system for 3D Stereoscopic production given the pipeline proposal.

A Study on the Stereoscopic 3D Filmmaking Curriculum in the Film and Image Major (영화 영상 전공에서의 스테레오스코픽 3D 제작 교육 과정 연구)

  • Lee, Chan-B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6
    • /
    • pp.222-235
    • /
    • 2010
  • After its remarkable success, "Avatar" brought another way of creating cinematic story; the stereoscopic 3-D cinema. Comparing conventional 2-D filmmaking, you need twice as much of budget and manpower in 3-D filmmaking because of the complicated process and slow production speed. The 3-D hardware like 3-D TV and 3-D projector are already showing at the retail stores while 3-D filmmaking is still in veil, and no major educational institution is yet to start 3-D related education. As 3-D movies get popular and demand more 3-D filmmaking professional crew, educating 3-D filmmaking to 2-D based film students will improve their hiring rate in the market. The successful result of the box office showing 3-D films like "Alice in Wonderland 3D" and "Titan 3D" forecasts that there will be more demand on 3-D related jobs very soon.

An Evaluation on the Audio-visual Investment Fund's Contribution to Korean Film Production Capital (한국영화 제작자본에 대한 영상전문투자조합 정책의 기여도 평가)

  • Kim, Mee-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9
    • /
    • pp.212-220
    • /
    • 2019
  • This study evaluates the extent to which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olicy, the Audio-visual investment fund, contributed to raising capital for Korean films. Audio-visual investment fund in the Korean film industry, which has been formed through the public sector support since 1999. The Audio-visual investment fund is a leading financial support policy for the Korean film industry, and began with the investment of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nd the Korean Film Council. It has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Korean film production costs and has spread to other cultural industry sectors, as a way of capital procurement for a start-up companies and cultural projects. This study reconstruct the data of the organizations such as the size of a new investment fund by public sector, the ratio of public capital contribution, the amount and number of investment in Korean films, investment multiplier compared to equity investment, and the internal return rate(IRR) of liquidation funds in the Korean film capital market from 1999 to 2017.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provide the basis for assessing the achievements of the Audio-visual investment fund policy in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the film industry.

The Reflection of Chinese Elements in The Film (영화 속에 나타난 중국적 요소의 반영)

  • Liu, Jing Rui;Choi,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99-100
    • /
    • 2019
  • 중국의 오랜 역사는 영화 제작에서도 중요한 소재이자, 기반이다. 실제로 세계 시장을 향한 전통적 소재의 영화가 다수 제작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영화 속에 나타난 중국적 요소를 체계화하고 분석하여 중국 영화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깊은 문화의 유산을 알리고, 효과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론을 체계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이머우(張藝謀)의 초기 영화에 나타난 중국적 요소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영화 장비 틈새시장 공략하는 '드림무비'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71
    • /
    • pp.26-26
    • /
    • 2005
  • 작년‘실미도’와‘태극기 휘날리며’를 통해 전국 관객 동원 천만의 시대를 연 한국영화계. 이제 한국영화에서 헐리우드를 능가하는 기술력을 보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 기술력은 대부분 미국∙독일∙일본 등 외국장비를 통해 만들어진다. 영화∙영상 관련 장비를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드림무비의 이명일 대표는 앞으로 한국영화는 물론, 외국의 블록버스터영화까지 한국 영화장비의 시대를 열기 위해 열심히 땀 흘리고 있다.

  • PDF

Using DSLR Camera for Digital Film Making (영화제작에서 DSLR 카메라의 활용성에 관한 연구)

  • Son, Bo-Wook;Min, Kyung-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5
    • /
    • pp.81-90
    • /
    • 2012
  • Since the Canon EOS 5D Mark II with which the Full HD video shooting is possible was launched in 2008, the utilization of the DSLR cameras has been increasing in the video production field. In this thesis, the shortages and advantages of the video functions that the 5D Mark II cameras have will be analysed and they will be compared with the RED cameras that are most widely used in the video production field today. Through this, the utilization of the DSLR camera in the film production field will be investigated. The DSLR camera has the advantage of having good clear picture since it uses the image sensor of big size, and of being able to utilize the various lenses of good quality, and is small in size and light in weigh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D cameras. Al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that there are parts to be improved such as the sound recording problems and development of various additional equipments, the excellent usage that the DLSR cameras have is presenting a new possibility for the film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