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지식증명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1초

DAA 자바 실험모듈 구현을 통한 모바일 DAA 모델 설계 (Design of a Mobile DAA Model through Java Test Module for the DAA Protocol)

  • 양석환;이기열;정목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8호
    • /
    • pp.773-777
    • /
    • 2008
  • 오늘날의 모바일 장비들은 무작위로 움직이는 이동성을 가지고 있어서 보안에 대한 다양한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모바일 장비에 대한 보안기술과 인증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를 위하여 TCG(Trusted Computing Group)에서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동시에 강력한 인증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보안칩에 해당하는 TPM(Trusted Platform Module)을 설계하고 영지식 증명을 이용한 DAA(Direct Anonymous Attest처ion) 프로토콜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바를 이용하여 DAA 프로토콜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서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모바일 DAA 모델을 제시한다.

전자투표에서 익명성 보장을 위한 빠르고 안전한 방식 (A Fast and Secure Method to Preserve Anonymity in Electronic Voting)

  • 양형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45-251
    • /
    • 2014
  • Mix 네트워크는 전자투표 시스템에서 익명성 보장을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많은 mixnet 방식들이 현재까지 제안되고 있다. 그러데, 기존의 방식들은 안전한 mixing 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해서 복잡하고 비용부담이 있는 영지식 증명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2010년도에 Seb$\acute{e}$ 등은 암호학적으로 안전한 해쉬 함수를 사용해서 효율적이고 비용 부담이 적은 mixnet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같은 가정하에서 Seb$\acute{e}$의 방식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이고 빠른 방식을 제안한다.

대칭형 인증 및 키 교환 프로토콜을 이용한 비대칭형 프로토콜의 설계 기법 (Method to Obtain Asymmetric Authenticated Key Exchange Protocols from Symmetric Ones)

  • 양대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2호
    • /
    • pp.179-187
    • /
    • 2004
  • 대칭형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 및 키교환 프로토콜은 비대칭형 프로토콜보다 설계, 분석, 효율면에서 더 좋은 성질을 가진다. 하지만, 인증 서버가 공격당하는 경우 대칭형 인증 프로토콜은 쉽게 사용자의 패스워드가 노출된다. 비대칭형의 안전성 증명을 가지는 PAK-X나 SNAPI-X같은 프로토콜이 제안되었지만, Diffie-Hellman 키교환에 비해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패스워드 기반의 대칭형 인중 및 키교환 프로토콜을 비대칭형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 안전한 다중 서명 기법 (A Post-Quantum Multi-Signature Scheme)

  • 고찬영;이영경;이광수;박종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517-526
    • /
    • 2021
  • 최근 양자 컴퓨터의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기존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인수분해 및 이산대수 기반의 전자서명 기법들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원(NIST)의 표준화 작업을 비롯하여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 안전한 여러 가지 전자서명 기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8년 Behnia 등이 CCS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TACHYON 전자서명 기법을 이용한 다중 서명 기법을 설계하여 제시하고, 안전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다중 서명 기법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암호화폐 분야에서 전자지갑의 개인키 의존도를 분산하여 보다 안전한 전자지갑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최근 많은 연구자들과 개발자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전자서명 응용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다중 서명 기법은 일반 공개키 모델(plain public key model)에서 공개키 결합(public key aggregation)이 가능한 기법으로, 부가적인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 기법이 필요하지 않으며, 결합 된 단일 공개키만으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기법이다.

온라인투표의 신뢰 메커니즘에 대한 고찰: 온라인투표 보안기술 및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ust Mechanism of Online Voting: Based on the Security Technologies and Current Status of Online Voting Systems)

  • 심선영;동상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47-65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투표의 본질적 속성인 4대 원칙을 기반으로 온라인투표시스템이 어떻게 신뢰를 구현할 수 있는지 기술적 관점에서 조망해 본다. 이는 오프라인투표가 온라인투표보다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다는 기존의 믿음을 투표 절차와 기술적 원리를 기반으로 정교하게 평가해 보려는 것이다. 많은 연구들이 온라인투표시스템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해왔지만 투표의 요구조건 관점에서 절차적으로 엄밀히 따져보지 않았고 또 현실적 수용의 측면에서 검증이 미진한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투표시스템이 어떻게 투표라는 과정의 엄격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지 현업에서 검증된 기술을 중심으로 분석해본다. 일반적 데이터 보안에 더하여 온라인투표는 데이터 위·변조 및 부정행위 방지와 검증을 위한 기술이 더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외부자는 물론이고 관리자 및 시스템 자체에게도 투표데이터가 노출되면 안 되는 고도의 기밀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은닉서명, 비트위임, 키분할 등을 활용하며 블록체인 기반 투표일 경우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믹스넷과 영지식증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으로 설명되고 있는 보안기술들을 실제 서비스하고 있는 현업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고찰해봄으로써 온라인투표시스템의 현황을 진단한다. 이러한 시도는 온라인투표 보안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온라인투표의 적용 확장성을 조망하여 보다 신뢰 기반 투표 메커니즘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영지식 증명을 활용한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관리 기법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ith Blockchain Using zk-SNARK)

  • 이정혁;황정연;오현옥;김지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299-308
    • /
    • 2019
  • 현재 개인정보의 활용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가장 일반적인 개인정보 제공방법 중 하나로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집단이 개인에게 동의를 얻어 개인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위의 방법은 두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는데, 첫째 개인정보 활용을 위해 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 이상의 정보가 노출되고 있는점, 둘째 기업에서 개인정보를 요청 할 때마다 신뢰기관(Trusted Party)이 해당 정보에 대한 인증정보를 기업에 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zk-SNARK (zero-knowledge Succinct Non-interactive ARgument of Knowledge)기법과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프라이버시 보호형 개인정보 관리기법을 제안한다. 프라이버시 보호형 개인정보 관리기법은 zk-SNARK를 통해 개인정보를 제공할 때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면서도 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을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면서도 개인정보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 공유를 기존의 인증방식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