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재교육진흥법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Legal Imperatives Related to Teacher Certification in Gifted Education (영재교육기관 교원자격에 관한 법 규정의 검토)

  • Park, Chang-Un;Seo, Hae-A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0 no.1
    • /
    • pp.231-256
    • /
    • 2010
  • The research attempts to explore legal issues related to teacher certification in gifted education. For this end, first, the institutional processes of the 'Law of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and its legal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The 'Law of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appeared to be superior to the 'La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in order to ensure the right of the gifted to receive a proper education. In consequences, regulations related to teacher certification in gifted education should require to obtain professional knowledge and ability in addition to gener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Law of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and 'La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Law of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s not sufficiently articulated in terms of required and elective courses and hours to certify teachers for the gifted as well as their employment at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conclusions, further attentions to legal imperatives in gifted education are called for establishing and upgrading teacher certification in gifted education.

초등 수학 영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 개발 : 5${\sim}$6학년을 중심으로

  • Kim, Hae-Gyu;Sin, Mun-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311-330
    • /
    • 2003
  • 2000년 1월 28일에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 ${\cdot}$ 공포되었고, 2002년 4월 18일에 영재교육진흥법시행령이 공포됨에 따라 본격적으로 공교육 차원의 영재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그에 따라 영재교육의 목적을 이룰 수 있는 적절하고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시급한 쟁점으로 부각되었고, 비로소 2002년 6월 15개 시${\cdot}$도 교육청이 한국교육개발원에 위탁해 영재학급과 영재교육원에 투입할 학년별 50차시 분의 초등학교 4${\sim}$6학년 영재 심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게 되었다. 하지만 영재교육의 내실을 기하고 활성화를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교수-학습자료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많은 시도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학급용으로 개발된 심화 교수-학습 자료에 제시되지 않은 내용을 중심으로 영재학급에 활용할 수 있는 초등학교 5${\sim}$6학년 수학 영재교육을 위한 학습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 PDF

Legal Issues in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Law (영재교육진흥법에 대한 교육법적 쟁점)

  • Park, Chang-Un;Choe, Ho-Seong;Seo, Hae-A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9 no.2
    • /
    • pp.211-240
    • /
    • 2009
  •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issues related with the S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legal aspects. To accomplish this goal, the legal system connected with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s examined. It includes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framework act on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etc,. Second, the institutional process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Law and legal characteristics is reviewed. It is found that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Law and its regulations is designated to achieve goals of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with gifted and talented seem to attain more investment than general education institutions. Third, main issues in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Law is discussed. They are the legal system, legal name and aim, rights and oblig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selection of gifted and talented,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and teacher education. In conclusion, it needs deeper study on each issue and needs to be presented the specific alternatives. So, it should be improved the law in such a way to meet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영재교육, 주요 정책방향 및 향후 과제

  • 오승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2.05a
    • /
    • pp.51-65
    • /
    • 2002
  • 올 3월1일부터 영재교육진흥법이 시행됨에 따라 영재교육이 공교육차원에서 실시되는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그간 영재교육에 관해서는 필요성을 공감하면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어 왔다. 그렇지만 1996년부터 판별도구 개발 및 영재교육 시행방안에 대한연구를 계속해왔고, 최근 사회의 급격한 변동, 그에 따라 우수인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작년부터 관계부처간 협의 및 각계의견을 수렴하여 영재교육 추진방향을 정립하게 되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인적자원개발회의(의장: 교육부총리)에서 영재교육 추진방향에 대한 정부차원의 의견을 모으는 한편, 몇 십년 전부터 영재교육을 실시해온 미국을 각 시.도교육청 담당자들과 방문하여 수업현장을 살펴보고, 이스라엘 영재학교 교장을 면담하는 등으로 영재교육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추진해 왔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올 4월 10일 인적자원개발회의에 '영재의 조기발굴 및 육성에 관한 2002년도 국가인적자원개발 시행계획'을 보고하고, 5월3일자로 부산과학고를 영재학교로 지정하면서 영재교육은 교육정채그이 한 영역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여기에서는 현재까지 정립된 국가차원의 영재교육 시행방안에 대한 설명과 함께 앞으로 영재교육이 공교육 제도 안에서 자리잡도록 하기 위한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 PDF

환경교육진흥법 시안 개발 제정 연구

  • 최석진;신호상;이재영;이선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dation Conference
    • /
    • 2002.01b
    • /
    • pp.1-168
    • /
    • 2002
  • 이 연구는 지난 20여 년 동안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많은 연구자, 학교 교사, 환경단체 지도자가 제안해 온 과업을 다루고있다. 그것은 학교 안팎에 걸쳐 요람에서 무덤까지 환경교육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법제적 뒷받침이 환경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충분조건은 되지 못하더라도 필요조건으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이 연구를 수행한 사단법인 한국환경교육학회는 국회환경포럼과 함께 환경교육진흥법(가칭) 시안의 개발과, 나아가 실질적인 입법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에 이미 존재하는 도서벽지 교육진흥법, 특수교육진흥법, 산업교육진흥법, 영재교육진흥법, 과학교육진흥법, 유아교육진흥법, 이상 여섯 개의 교육진흥법을 분석하여 환경교육진흥법 시안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외국의 환경교육 관련법에 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미국의 경우 1970년 처음 환경교육법이 제정된 이후 몇 차례의 개정과 재승인 과정을 거쳐왔다. 미국에서는 1990년에 제정된 국가환경교육법의 재승인에 관한 공청회가 지난 2000년 여름 동안 개최되어 환경교육법의 필요성, 효과, 고려할 조항 등 본 연구에 중요한 참고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본 학회의 다른 연구진에 의해 2001년 10월에 완료된 제2차 환경교육 중 ·장기 강화방안 연구의 결과물도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안에 담아야 할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진과 국회환경포럼의 환경교육활성화위원회의 위원이 윤독과 수정을 거쳐 시안의 타당성과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작성된 시안에 대해서는 먼저 국내의 환경 또는 환경교육 관련 전문가에게 설문지를 보내어 의견 수렴을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시안에 포함된 대부분의 항목에 대해 높은 찬성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설문지로부터 수정 ·보완 요청 사항을 정리하여 최종 시안을 작성하는데 반영하였다. 끝으로 10월 2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된 공청회를 통하여 다양한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공청회 동안 제시된 의견들을 반영하여 최종 시안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작성된 환경교육진흥법 최종 시안은, 제1조 목적에서 제11조 환경교육연구의 진흥에 이르기까지 총11조로 구성되었으며, 환경교육사 자격증제 및 환경교육 프로그램 인증제 등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특히 환경교육진흥법의 주무 부처를 환경부로 제안한 것은 기존의 교육 관련 진흥법들이 교육인적자원부를 주무로 하고 있는 것에 비해 매우 특기할 만 하다. 그 이유는 본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환경교육이 갖고 있는 특수성 때문이다. 환경교육진흥법의 주무 부처를 환경부와 교육인적자원부 중 어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는 연구진 내부는 물론 공청회에 참가한 사람들 사이에도 이견이 있었음을 밝혀 둔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 마련된 시안과 연구 결과가 최종적으로 속히 법제화가 되고, 우리나라 환경교육 진흥에 기여하게 되기를 바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