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월

Search Result 25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f the flood alleviation effect by the gate control of washland (천변 저류지 수문운영에 따른 홍수저감효과 분석)

  • Park, Jung-Heu;Park, Cheong-Hoon;Ryu, Kwan-Hyung;Kim, Jo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31
    • /
    • 2011
  • 해마다 반복되는 수해를 대비하여 배수펌프장을 설치하고, 취수보를 철거하는 방법으로 수해예방시스템을 고도화 시키고 있지만, 증가하는 홍수량에 대한 대비책으로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홍수 피해에 대한 선제적 대응방안으로 강변저류지를 설치하여 상습 침수구역에 대한 대비가 진행되고 있다. 강변저류지 설치를 통해 유역의 홍수량을 분담하고 인접지역의 침수피해를 예방하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영월군의 상습침수구역에 대한 대비책 중 하나로 국토해양부 및 강원도가 함께 영월강변저류지 조성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영월군은 지난 2002년과 2003년에 태풍 '루사'와 '매미'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2006년 집중호우시에도 현재 저류지 예정지역인 방절리 일대와 영월읍 시가지, 북쌍리 등이 대규모로 침수피해를 입은 바 있다. 해당 저류지의 총 넓이는 68만 8천 $m^2$로 물 290만 $m^3$을 가두어 둘 수 있는 규모이다. 하지만, 영월 강변저류지의 저류용량이 290만 $m^3$에 불과해 홍수예방 효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따라서, 적절한 수문운영을 통해 홍수저감량과 저류효과를 증대시키는 홍수예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하여 강변저류지에 설치된 수문의 운영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홍수저감량을 최대화하고자 하였다. 수리 수문학적 모형인 HEC-RAS, HEC-I 모형을 연계 운용하여 평창강 유역을 대상으로 수문분석, 홍수유출량 분석, 하류 하천의 홍수영향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강변저류지 설치로 인하여 저류지 직하류부를 기준으로 약 $131\;m^3/s$의 첨두홍수량 저감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검토되었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된 최적화 기법이 적용된 수문운영 방법을 병행하여 운영한다면 추가적으로 $24\;m^3/s$를 저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효율적으로 저류지를 운영하여 홍수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고 나아가 다른 저류지 유역에도 본 연구를 적용하여 홍수피해를 줄이고 합리적으로 용수를 이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udies on the Antioxidant Effect of Korean Propolis (국산 프로폴리스의 합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 김희재;황보식;이수원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2 no.1
    • /
    • pp.77-80
    • /
    • 2002
  • The studie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on effect of Korean propolis. Oxidation period of soy oil was 17.5 hr, soy oil with propolis(1,000 ppm) was extended the length of oxidation period. The length of oxidation periods of soy oil with Yecheon, Youngwol, Brazilian, Chinese, and Australian propolis were 33.5, 35.4, 32.0, 33.1, and 27.1hours respectively. The length of oxidation period of lard with propolis 1,000ppm of Yecheon, Youngwol, Brazilian, Chinese and Australian were 191, 167, 296, 230, and 207hours,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22.5hours). When compared to tocopherol as natural antioxidant and BHT as synthetic antioxidant were revealed 16.7 and 20.5hours, respectively. The length of oxidation period was not different when compared to tocopherol and Youngwol propolis with soy oil. Ascorbic acid and citric acid had synergistic effect to propolis with soy oil when 200ppm of propolis was added.

Determination of Design Channel Width for Small Stream in Youngwol (영월군 소하천 계획하폭 산정에 관한 연구)

  • Yoon, Min-Hyu;Ahn, Jeong-Hwan;Cho, W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74-878
    • /
    • 2009
  • 본 연구는 강원도 영월군 소하천의 계획하폭을 결정하기 위한 관계식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계획하폭 산정공식은 모두 중규모 이상의 하천에 대하여 개발되어 하천 및 유역의 특징이 중규모 이상의 하천과 상이한 소하천에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월군내 소규모 하천을 대상으로 유역의 수리 수문학적 특성 인자인 유역면적, 유로연장, 계획홍수량, 하상경사, 그리고 manning의 공식의 특성 인자인 조도계수를 수집하고, 5개의 인자를 매개변수로 하는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소하천의 다양한 특성을 갖는 계획하폭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유도한 관계식을 다양한 가상 수로에 적용시켜 계획하폭을 검증한 결과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중부지방 경험식, 하천설계기준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소하천의 계획하폭 산정공식은 소하천정비계획 수립시 계획하폭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f development proprity in Goi cave Yung-Woul Gun (영월군 괴골굴의 개발 타당성에 관한 연구)

  • 김성길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0 no.41
    • /
    • pp.39-57
    • /
    • 1995
  • 본 연구는 영월군에 속하고 있는 괴골굴과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동굴 내부의 가치성 판단과 개발 타당성의 평가를 하고, 주변지역의 자연, 인문, 문화자원 등을 종합적으로 관련시킨 개발 타당성을 조사함에 목적을 둔다. 이 동굴지역은 영월과 제천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의 휴식 관광지는 물론, 광역적 관광지원으로서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의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며, 또한, 국민의 경제성장에 부흥하여 관광객의 증가 추세에 대처 할 수 있는 관광자원으로서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관광지리학의 연구 동향은 크게 네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관광자원에 관한 연구, 관광수요에 관한 연구, 관광객의 인지와 선호에 관한 연구, 관광 개발 및 계획에 관한 연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에 의하면, 본 연구는 네번째의 관광개발에 관련된 논문이라고 볼 수 있다.(중략)

  • PDF

C00rdinated Testing between transformer Tap Selection and Inverter Voilage Control in the PV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태양광 분산 발전 시스템의 계통연계용 변압기탭 선정과 인버터전압조정 협조시험)

  • Yoon, kap koo;CHO, Seong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098-1099
    • /
    • 2015
  • ${\bullet}$ 시험대상: 영월태양광 4,990kW(998kW ${\times}$ 5호) ${\bullet}$ 13.07.31 연계기술검토의뢰 ${\bullet}$ 13.08.28 한전검토결과: 인근변전소 영월S/S(40MW) 초과로 10.8km 지점의 평창 D/L 평창간 347호 주진S/S에 다음의 보완대책과 연계 권고 ${\cdot}$ 문제점: 적정전압이탈 및 순시전압변동률 유지불가 ${\cdot}$ 연계기준만족을 위해 한전에서 제시한 보완대책 : 계통용량증설(설비보강), 연계용량 감소 및 전용선로 연계 ${\bullet}$ 14.01.09 분산형설치자의 용역사(에이스기술단)에서 송배전용전기설비 이용규정과 연계기준 만족을 위한 보완대책 제안 ${\cdot}$ 태양광발전시스템 인버터 자동전압(역률/무효전력) 조정기능 및 감시설비 구비 ${\cdot}$ 최적 공통연결점 선정: 분산형전원으로 부터 전기적으로 가장 가까운 영월D/L 영월S/S측에 개폐장치설치 하고 주진S/S 측으로 연계 ${\bullet}$ 14.01.29~06.19 한전(전력연구원)의 유효성 검토 ${\cdot}$ 보완대책 기술적 유효(실증시험 시행 후 시행공문 발송 예정) ${\bullet}$ 14.08.08 송배전용전기설비 이용규정 개정에 따른 협의 ${\cdot}$ 변압기 대당 20MW에서 25MW ${\cdot}$ 변전소 전체 60MW에서 75MW까지 허용 ${\cdot}$ 영월 S/S 측 문곡/영월 D/L 연계 공사 협의 ${\bullet}$ 14.10.04 사용전검사, 한전계통연계운전 시작 ${\bullet}$ 인버터 고정역률(99.9~100%) 운전 시험 ${\cdot}$ 14.11.21 22.9kV 계전기(SEL-751) 5대, 15분 간격 자료저장 ${\cdot}$ SEL-751/USB to RS232C/노트북 15분간격 측정(첨부) ${\bullet}$ 14.03.07 인버터 역률 95.0% 조정 15분간격 측정(첨부) ${\bullet}$ 변압기탭 선정과 인버터전압조정협조시험 계획 ${\cdot}$ 변압기탭을 현장에서 상하 1탭씩 변경 ${\cdot}$ 인버터역률을 인버터공급사에서 원격조정 ${\cdot}$ 22.9kV 보호계전기 SEL-751, 15분 간격 측정 ${\cdot}$ 인버터 370V 계전기 K-PAM DG3000/현장감시설비 연계 ${\cdot}$ 15분 간격 측정 저장 ${\cdot}$ 현장감시설비/인터넷 연결 원격측정(첨부예정)

  • PDF

한국의 지방기념물 동굴

  • 한국동굴학회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18
    • /
    • pp.106-136
    • /
    • 1988
  • 강원도 영월군 하동면 진별리에 위치한 비공개 석회수식동굴로 영월군 소유로 해발 420m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수리적 위치는 북위 37$^{\circ}$08' 동경 128$^{\circ}$32'이다. 이 굴은 강원도 지방기념물 제23호로 1976년 6월 17일 지정되어 있으며 그 옛날 용이 도사리고 있었다하여 용담굴이라 부르는데, 인근의 고씨굴, 단종의 유서깊은 장릉, 청령포, 동굴주변의 남한강변 경치등은 이 용담굴과 아울러 좋은 관광자원이 되고 있다.(중략)

  • PDF

Sequence Stratigraphy of the Yeongweol Group (Cambrian-Ordovician), Taebaeksan Basin, Korea: Paleogeographic Implications (전기고생대 태백산분지 영월층군의 순차층서 연구를 통한 고지리적 추론)

  • Kwon, Y.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5 no.3
    • /
    • pp.317-333
    • /
    • 2012
  • The Yeongweol Group is a Lower Paleozoic mixed carbonate-siliciclastic sequence in the Taebaeksan Basin of Korea, and consists of five lithologic formations: Sambangsan, Machari, Wagok, Mungok, and Yeongheung in ascending order.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of the group indicates that initial flooding in the Yeongweol area of the Taebaeksan Basin resulted in basal siliciclastic-dominated sequences of the Sambangsan Formation during the Middle Cambrian. The accelerated sea-level rise in the late Middle to early Late Cambrian generated a mixed carbonate-siliciclastic slope or deep ramp sequence of shale, grainstone and breccia intercalations, representing the lower part of the Machari Formation. The continued rise of sea level in the Late Cambrian made substantial accommodation space and activated subtidal carbonate factory, forming carbonate-dominated subtidal platform sequence in the middle and upper parts of the Machari Formation. The overlying Wagok Formation might originally be a ramp carbonate sequence of subtidal ribbon carbonates and marls with conglomerates, deposited during the normal rise of relative sea level in the late Late Cambrian. The formation was affected by unstable dolomitization shortly after the deposition during the relative sea-level fall in the latest Cambrian or earliest Ordovician. Subsequently, it was extensively dolomitized under the deep burial diagenetic condition. During the Early Ordovician (Tremadocian), global transgression (viz. Sauk) was continued, and subtidal ramp deposition was sustained in the Yeongweol platform, forming the Mungok Formation. The formation is overlain by the peritidal carbonates of the Yeongheung Formation, and is stacked by cyclic sedimentation during the Early to Middle Ordovician (Arenigian to Caradocian). The lithologic change from subtidal ramp to peritidal facies is preserved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Mungok Formation. The transition between Sauk and Tippecanoe sequences is recognized within the middle part of the Yeongheung Formation as a minimum accommodation zone. The global eustatic fall in the earliest Middle Ordovician and the ensuing rise of relative sea level during the Darrwillian to Caradocian produced broadly-prograding peritidal carbonates of shallowing-upward cyclic successions within the Yeongheung Formation. The reconstructed relative sea-level curve of the Yeongweol platform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Taebaek platform. This reveals that the Yeongweol platform experienced same tectonic movements with the Taebaek platform, and consequently that both platform sequences might be located in a body or somewhere separately in the margin of the North China platform.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thologic and stratigraphic successions imply that the Yeongweol platform was much far from the Taebaek platform and not associated with the Taebaek platform as a single depositional system. The Yeongweol platform was probably located in relatively open shallow marine environments, whereas the Taebaek platform was a part of the restricted embayments. During the late Paleozoic to early Mesozoic amalgamations of the Korean massifs, the Yeongweol platform was probably pushed against the Taebaek platform by the complex movement, forming fragmented platform sequences of the Taebaeksan Basin.